SMD, 디스플레이 '감성화질평가' 제안 (모니터4U)
AMOLED는 아직 휘도면에서는 LCD에 떨어집니다.
자체발광이기 때문에 최대 휘도 표현시에 출력이랄까.... 그런 부분들이 LCD에 떨어지기 때문이죠. 하지만 색 재현성이 매우 높은 점도 있고, 자체발광식의 특성 때문에 색상에 대한 만족도는 높지만 기존 CRT나 LCD의 측정법으로는 이 부분에 대한 만족도를 쉽사리 나타낼 수 없던 약점이 있었습니다.
그것을 CIECAM02 색공간을 사용해서 재대로 표기해보자라고 주장하고 있는 것입니다.
예를 들자면...
이런 식으로 말입니다.
CIECAM02 의 경우에는 밝기의 밝은 쪽만 컬러인지로 생각하는 LAB 와 달리 암부의 깊이도 고려하는 색좌표로 알고 있는데(틀릴 수도 있습니다.. T_T 재대로 아시는 분은 지적 부탁드립니다) AMOLED에 유리한 방법론을 찾고 있는 것이 아닐까 합니다. 좌우지간 AMOLED에 맞는 측정표준이 계속 제안되는 것을 보면 조금씩 AMOLED의 시대가 온다고 보네요 ^^
PS. 그나저나 뭔가 좀 배웠다 싶으면 또 다른 무언가가 나옵니다.... 저 같은 허접의 취미성의 인간이 어려워하면 현업에 계신분들은 정말로 동정을 금할 수가 없습니다 T_T(저야 배워도 그만 안 배워도 그만이지만서도요...)
AMOLED는 아직 휘도면에서는 LCD에 떨어집니다.
자체발광이기 때문에 최대 휘도 표현시에 출력이랄까.... 그런 부분들이 LCD에 떨어지기 때문이죠. 하지만 색 재현성이 매우 높은 점도 있고, 자체발광식의 특성 때문에 색상에 대한 만족도는 높지만 기존 CRT나 LCD의 측정법으로는 이 부분에 대한 만족도를 쉽사리 나타낼 수 없던 약점이 있었습니다.
그것을 CIECAM02 색공간을 사용해서 재대로 표기해보자라고 주장하고 있는 것입니다.
예를 들자면...

(출처 : Emerging Technologies for the Commercialization of AMOLED TVs)
이런 식으로 말입니다.
CIECAM02 의 경우에는 밝기의 밝은 쪽만 컬러인지로 생각하는 LAB 와 달리 암부의 깊이도 고려하는 색좌표로 알고 있는데(틀릴 수도 있습니다.. T_T 재대로 아시는 분은 지적 부탁드립니다) AMOLED에 유리한 방법론을 찾고 있는 것이 아닐까 합니다. 좌우지간 AMOLED에 맞는 측정표준이 계속 제안되는 것을 보면 조금씩 AMOLED의 시대가 온다고 보네요 ^^
PS. 그나저나 뭔가 좀 배웠다 싶으면 또 다른 무언가가 나옵니다.... 저 같은 허접의 취미성의 인간이 어려워하면 현업에 계신분들은 정말로 동정을 금할 수가 없습니다 T_T(저야 배워도 그만 안 배워도 그만이지만서도요...)
덧글
문제는 LED쪽은 대세가 얇기 전쟁&엣지형으로 가고 있어서, 쿠로의 최대 장점인 블랙을 따라잡을 놈이 나올 것 같지가...그러고보면 기술력이라기 보다는 마인드의 문제가 아닐까도 생각하고 있습니다. 화질이란 것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