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Va, Viera, ViVA, Panasonic !!!! 디스플레이 이야기

파나소닉, 한국 평판TV 재도전 (전자신문)


ⓒ스퀘어에닉스



파나소닉 코리아가 비에라의 한국 진출을 다시 생각하고 있다고 합니다.

일단 초대형의 100인치 이상급의 PDP로 B2B시장을 두들기고 반응을 본 후에 다음으로 실제 TV제품군을 팔아 볼 생각이라고 하네요. 개인적으로 이런 파나소닉 코리아의 행보에 대해서 매우 좋은 느낌을 받습니다. 뭐, 사실 TV계의 권왕인 삼성, 적어도 남두성권의 계승자는 될 LG 두 회사에 그래도 전통의 소니가 있는 한국 시장에서 파나소닉이 쉽게 뛰어들긴 어렵겠지요..

하지만 PDP라는 시장을 보면 파나소닉은 불꽃의 전교생과 같은 위치에 설 수도 있습니다. 아무리 줄어든다니 어쩌구 해도 PDP시장에서 파나소닉의 역량은 대단하고 전광판이나 어려가지 이유로 초대형 고성능디스플레이를 원하는 쪽이 많고 그 니즈를 만족시키기 가장 적합한 것은 파나소닉의 PDP이기 때문이죠. 이런 부분을 바탕으로 일반 컨슈머에서 어느 정도 화질을 원하거나 대형 제품군을 원하는 층에게 충분히 어필할 수 있지 않는가 싶습니다.


그런 의미에서 현재의 한국 진출에 참 좋은 느낌을 받습니다.


핑백

덧글

  • 계란소년 2010/01/21 19:10 # 답글

    TV는 됐고 카메라나...
  • 로리 2010/01/21 19:13 #

    저는 카메라 보다는 TV나....
  • 계란소년 2010/01/21 19:13 #

    TV는 살 수가 없잖아요.[...]
  • 로리 2010/01/21 19:14 #

    가격은 그닥 차이가 안 납니다. -_-;
  • 比良坂初音 2010/01/21 19:28 # 답글

    오호~~ 잘됐으면 좋겠네요
  • 로리 2010/01/21 19:36 #

    네, 잘 되었으면 합니다.
  • 淸年_D 2010/01/21 19:34 # 답글

    근데 PDP소모전력 보면 좀 압박이 심하게 오더군요. 누진구간 막 돌파할 기세라
  • 로리 2010/01/21 19:37 #

    PDP 전력 소모 기술에 있어서 파나소닉이 상당하다보니 말이죠 ^^
  • 城島勝 2010/01/22 20:22 #

    이번 CES에서 발표 한 네오PDP의 전력 소모를 보면 CCFL LCD보다도 적을 듯 합니다.
  • 까악이 2010/01/21 19:51 # 답글

    난 일단 장가 갈 여자부터 꼬셔놓고...
    =3=33
  • 로리 2010/01/21 19:52 #

    그래서 영원히 TV를 못 사실....(쿨럭)
  • _tmp 2010/01/21 19:56 # 답글

    살충 펀치!!! (...)
  • 로리 2010/01/21 19:57 #

    으악!
  • 천하귀남 2010/01/21 19:58 # 답글

    PDP에서 뿜어져 나오던 열기는 제법 인상적이더군요 ^^:
    여하간 잘되기를 바랍니다. 싸지는편 우리편~!
  • 로리 2010/01/21 19:59 #

    뭐 그런거죠 ^^
  • あさぎり 2010/01/21 21:39 # 답글

    일단 GF1부터...[응?]
  • 로리 2010/01/21 23:27 #

    흑흑 저도 GF-1은 사고 싶어요
  • 다물 2010/01/21 23:51 # 답글

    파코이므로 기대안해요.
    저도 GF1 가격이나 좀 떨어졌으면...
  • 로리 2010/01/22 00:00 #

    GH-2가 나온다면 좀 가격 좀 좋게 팔았으면 합니다 T_T
  • 바보이반 2010/01/22 08:45 # 답글

    오오 삼성의 살충 펀치와 파나소닉의 국철 펀치의 대결입니까. 한국에서는 살충이나 국철이나 다 두 음절이니 일본에서와는 달리 박빙의 승부가....
  • 로리 2010/01/22 10:29 #

    으하하하 하지만 어렵겠죠
  • _tmp 2010/01/22 13:18 #

    원작에서는 '국전' (=JR 로컬) 이니까 한국으로 치면 '광역전철 펀치'가 되겠습니다.

    ...살충펀치 승. 중간까지만 (...)
  • KOF 2010/01/22 10:19 # 삭제 답글

    이건 정말로 삼성이 일본시장에 도전하는것 못지않는 벌레공주 후타리 원라이프 클리어급의 도전이군요. 윗 댓글들만 봐도 한국에서 플라스마가 얼마나 가망이 없는지 잘 알수 있죠.

    일단 첫번째 문제점은 파나소닉이 소니만큼의 브랜드 인지도가 없다는겁니다. 워크맨 시절때도 로망은 소니였고 파나소닉과 아이와는 2인자 취급 당했는데 지금 와서는 더더욱 듣보가 되었으니까요. 디비디프라임만 봐도 소니라는 브랜드는 그 향수 덕분에 지나친 과대평가를 받아왔는데 반면 파나소닉은 그 밑천조차도 없는 상황이니까요.

    둘째는 파나소닉이 한국시장에 유일한 돌파구를 열수 있는 방법은 네오PDP의 제대로된 홍보뿐에 없는데 이 자금을 과연 적극적으로 투자할지도 의문입니다. "네오PDP는 전력소모는 CCFL LCD보다도 더 적어요. 네오PDP는 번인 및 이미지 리텐션이 제로에 가깝습니다. 네오PDP의 발열량과 두께는 LCD 못지 않습니다." 이런식으로 계몽을 해야할텐데 막대한 광고가 아닌한 불가능에 가깝습니다.

    셋째, 파나소닉의 포지셔닝은 대단히 애매합니다. 일단 가격대에선 삼성과 LG에 뒤지고 화질적인면에선 아직까지도 파이오니어를 못이기고 있는 형국입니다. 결국 양쪽 사이에 낀 미드레인지급이 파나소닉인데 이건 가격에 민감한 소비자들과 고부가가치 상품을 원하는 소비자 양쪽 모두 놓칠수 밖에 없는 포지셔닝입니다. 게다가 특히나 플라스마라는 불리한 포지션까지 고루 갖추고 있으니까요. 40인치 이하의 모델군까지 가지고 있다는 다양성이 있긴 하지만 과연 저인치대에서 LCD들과의 경쟁력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게다가 엔고까지 물려서 엎친데 덮쳤는걸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파나소닉이 도전을 한다니 그래도 박수를 쳐주고 싶습니다. 제품의 다양화란 측면에서는 언제나 환영이니까요. 일본 가전제품업계가 갈라파고스화 덕분에 몰락한것을 본다면 파나소닉의 등장으로 삼성SDI도 자극을 받을수 있고 또 그렇게 해서 삼성SDI가 삼성전자에게도 크게 한방 먹여줄수도 있을테니까요.
  • 로리 2010/01/22 10:30 #

    그 때문에 파나소닉도 고민이 많았고, 아무래도 대형 제품 즉 B2B 위주로 시작하는가 봅니다.
  • 城島勝 2010/01/22 20:21 #

    네오PDP도 이미지 리텐션 자체는 제로까진 아닌 모양입니다. 이번 3세대는 어떨지 모르겠지만 2세대 쓰고 계신 분 이야기로는 이미지 리텐션은 확실히 가끔 나타난다 하시더군요. 문제는 오비터 같은 메뉴가 없어서 상당히 불안불안 하시더라는. 허허.
  • _tmp 2010/01/22 13:32 # 답글

    하이엔드 걸어두고 위에서부터 조인다는 전략일텐데, 100인치 이상이면 과하게 안드로메다같습니다. 보통 사람들은 알지도 못하겠죠. 덧붙여 파나소닉도 37까지는 싹 LCD고요. (하기야 그렇지 않으면 IPS alpha 물량은 누가 받아주겠습니까마는 -_- 앞으로 47까지는 밀겠죠)
  • 로리 2010/01/22 16:50 #

    역시나 PDP는 지는 꽃일까요 T_T
댓글 입력 영역
* 비로그인 덧글의 IP 전체보기를 설정한 이글루입니다.



2019 대표이글루_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