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CのアナログRGB出力が2015年までで終了へ-Intel、AMD、Dellなどが表明。DVIも収束へ (와치 임프레스)
갑자기 이런 소식이...
현재의 D-SUB 출력 단자와 현재 노트북 PC나 모니터의 내부 회로 전송방식인 LVDS( low voltage differential signalling)를 천천히 줄여나가서 2015년까지만 사용하고 그 이후로는 HDMI나 DP(디스플레이 포트)로 이행한다는 것입니다.
이 번에 특히 중요한 부분이 인텔과 AMD가 기존 LVDS 지원은 2013년에 끝난다는 말입니다.
이 말은 노트북과 같은 장비에서 칩셋 레벨에서 LVDS 컨트롤러 자체를 안 달아준다는 말이니... 패널 메이커도 LVDS 안 쓰게 된다는 말과 같다는 것이지요.
벌써 삼성, 델, 레노버 등의 메이커들이 내부 패널 접속을 DP로 하고 있다고 합니다.
이제 스슬 D-SUB가 끝나가네요... 뭔가 시대가 사라진다는 느낌도 듭니다 ^^
PS. 이제 HDMI와 DP가 붙여 있는 세상이 오는 군요
갑자기 이런 소식이...
현재의 D-SUB 출력 단자와 현재 노트북 PC나 모니터의 내부 회로 전송방식인 LVDS( low voltage differential signalling)를 천천히 줄여나가서 2015년까지만 사용하고 그 이후로는 HDMI나 DP(디스플레이 포트)로 이행한다는 것입니다.
이 번에 특히 중요한 부분이 인텔과 AMD가 기존 LVDS 지원은 2013년에 끝난다는 말입니다.
이 말은 노트북과 같은 장비에서 칩셋 레벨에서 LVDS 컨트롤러 자체를 안 달아준다는 말이니... 패널 메이커도 LVDS 안 쓰게 된다는 말과 같다는 것이지요.
벌써 삼성, 델, 레노버 등의 메이커들이 내부 패널 접속을 DP로 하고 있다고 합니다.
이제 스슬 D-SUB가 끝나가네요... 뭔가 시대가 사라진다는 느낌도 듭니다 ^^
PS. 이제 HDMI와 DP가 붙여 있는 세상이 오는 군요
덧글
모니터를 바꿔야 하잖아요. ㅠㅠ
뭐... 저 때 되면 수명도 다 되겠지만 ㄱ-....
개인적으로는 DP 2포트 HDMI 2포트 정도가 글픽 카드에도
모니터 단자지원에도 가장 무난하지 않나 싶은데 말이죠
사실 DVI나 HDMI나 같지만요
그때쯤되면 또 얼마나 새로운 것들이 나올지 ㅎㄷ
그래서 IEEE1284 to USB 케이블을 사서 쓰고 있습니다.
내장 카드를 사려고 보니 케이블보다 더 비싸서(가격이 무려 두배! ㄱ-) 대략 좌절...
하지만 이미 15년까지라면 제 랩탑은 이미 사망하고도 남을듯한... ㅠㅠ....
나름 틈새시장이 될지도?;;;ㄷㄷㄷ
랄까, 이미 팔고있잖아?!
뭐 DAC 컨버터 만들면 되겠지만 그럼 가격이 너무 T_T
실시간으로 HDMI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바꿔야 하니.. 단순 컨버터가 아니라 인코딩 박스 T_T
근데 그때가면 규격도 다 옮겨질탠데 무슨걱정..-ㅅ- (어?)
이미 디지털 색규격인 sRGB(rec 709)로 갔고... 영상 제작 하는 쪽들도 LCD 기반 으로 옮겼고, DVI와 HDMI 기기들이 늘었고.. 스슬 패널도 DP기반으로 가고 있고... 뭐 워낙 CRT와 D-SUB가 깔려있다보니 늦긴 한거죠.
그래도 피씨시장이 더 이상 DSUB을 필요하지 않는다는 증거는 현재 비디오카드쪽의 DAC품질에서 알수 있지요. 최신형 라뎅이 5000/6000씨리즈의 DSUB 출력 품질이 엑박 VGA출력 품질보다 훨씬 딸린다는게 재미있잖습니까? ^^
뭐.. 시대의 흐름속에서 진짜진짜 오래 살아 남는 셈이기는 한데..
그래도 왠지 프로젝트 에서 쉽게 연결하기는 d-SUB 만한게 없는데 말이죠..
시대에 밀려 사라진 인간화석입죠.
왠 자조적인 말씀을...
제 시그널 제널레이터 키보드 단자가 D-SUB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