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amung Smart Touch Remote and Smart TV hands-on (엔가젯)

삼성은 터치식의 리모콘을 선 보였습니다.
이건 마치 스마트 폰 같아서 엔가젯이 낚시를 걸리도 했는데요.저도 걸렸습니다 파닥파닥 스마트 TV로 대표되는 양방향성의 실현을 위해서 저런 방식을 도입한 것으로 보입니다.
특히나 터치식과 범용성을 갖춘 PMP나 스마트폰과 같은 모양으로 인해서 단순하게 TV를 조작한다가 아닌, 인터넷 검색이나 트위터를 한다던가 하는 것도 훨씬 쉽게 되어 있습니다. 꼭 기사에 있는 동영상을 보셨으면 합니다.
Samsung shows off Google TV companion box and Blu-ray player (엔가젯)

당연하겠지만 이런 전용 리모콘만 생각한 것은 아닙니다.
이번에 삼성 역시나 구글TV를 발표하면서(구글TV가 있는 BDP셋톱도 발표) 자사의 안드로이드 폰인 갤럭시S로 다양한 조작을 하는 것을 선 보이고 있습니다.
꼭 동영상을 보셨으면 합니다.
즉, 삼성은 조작계라는 부분에서 스마트 폰이나 스마트 폰과 같은 스타일의 조작 시스템이 주요한 TV의 조작계가 될 것이라고 생각하는 쪽인 듯 합니다.
Wii와 같은 모션 센서를 사용한 LG와는 또 다른 방향성이라는 것이지요.
어떤 방식이 더 유리할 지는 두고 봐야겠습니다만, 삼성 역시나 TV의 미래에 대해서 아주 고심하고 있습니다.

© 2011 AOL Inc. All rights Reserved.
삼성은 터치식의 리모콘을 선 보였습니다.
이건 마치 스마트 폰 같아서 엔가젯이 낚시를 걸리도 했는데요.
특히나 터치식과 범용성을 갖춘 PMP나 스마트폰과 같은 모양으로 인해서 단순하게 TV를 조작한다가 아닌, 인터넷 검색이나 트위터를 한다던가 하는 것도 훨씬 쉽게 되어 있습니다. 꼭 기사에 있는 동영상을 보셨으면 합니다.
Samsung shows off Google TV companion box and Blu-ray player (엔가젯)

© 2011 AOL Inc. All rights Reserved.
당연하겠지만 이런 전용 리모콘만 생각한 것은 아닙니다.
이번에 삼성 역시나 구글TV를 발표하면서(구글TV가 있는 BDP셋톱도 발표) 자사의 안드로이드 폰인 갤럭시S로 다양한 조작을 하는 것을 선 보이고 있습니다.
꼭 동영상을 보셨으면 합니다.
즉, 삼성은 조작계라는 부분에서 스마트 폰이나 스마트 폰과 같은 스타일의 조작 시스템이 주요한 TV의 조작계가 될 것이라고 생각하는 쪽인 듯 합니다.
Wii와 같은 모션 센서를 사용한 LG와는 또 다른 방향성이라는 것이지요.
어떤 방식이 더 유리할 지는 두고 봐야겠습니다만, 삼성 역시나 TV의 미래에 대해서 아주 고심하고 있습니다.
덧글
이 쪽은 그래도 확실히 괜찮아 보인다는 점은....
스마트 폰 + 제어 앱은 좀 한계점도 있으니 전용 리모콘도 중요할 듯 합니다. 좌우지간 참 고민해 볼 부분이지요 ^^
아니 사실 CRT에서 LCD나 PDP가 된 순가 TV를 향해 베게도 못 던지는 시대가 왔으니까요
조작방식은 LG것보단 좋아보이긴 한데 저런 UI라면 굳이 터치식으로 갈 필요가 있나 싶습니다
가끔은 비직관이 직관을 압도할 수 있다고 봅니다. 아직은 시행착오가 필요하겠지만요
특히나 TV의 시간표 같은 것이 화면에 뜨는 것을 싫어하는 분이 많으니 그런 정보만 저런 창에 띄어주는 것만으로도 쓸만할 듯 하더군요. 다만 크기의 문제는 계속 논란거리가 될 듯 합니다. 삼성이 B9000에서 전자 액자 같은 것에서 C9000에서 휴대폰 스타일로 옮겼는데... 너무 작아도 안 되고 커도 무겁고... 비싸고..
다만 이제 저렇게 되면 집안의 채널 경쟁은 무시무시해 질 듯 합니다.
그리고 오타율도 좀 높을듯 -_-
그래도 타자치는건 LG거에 비하면 편해보이는군요.
아직 개량의 필요성이 느껴진다는
기왕 리모콘 속에 액정을 넣은거, TV속의 마우스를 움직여 컨텐츠를 고르는 것 보다 기존의 스마트폰에서 쓰는 방식대로 리모콘에서 원하는 컨텐츠를 골라다 Play를 누르면 TV에서 재생되는 Airplay같은 방식이 직접 사용하는 입장에선 더 직관적이지 않을까 싶습니다.
거기에 스마트TV까지 시작하면 키보드로도 쓸수있고 DS비슷한 듀얼스크린 UI도 가능하고 말씀하신듯이 위모트같이도 쓸수있고
가능성은 무궁무진하군요
스마트폰 연계가 가능하기 때문에 조만간 다양한 TV 제조업체에서 터치 방식으로 제품 출시 할 겁니다.
저걸 리모콘에 도입한다니, 리모콘마저 소중하게 여기라는건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