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니 17, 25인치 AMOLED 업무용 디스플레이를 발표하다! 디스플레이 이야기

ソニー、25/17型のフルHD有機ELマスターモニター-「TRIMASTER EL」。25型は241万5,000円 (와치 임프레스)


ⓒ2011 Impress Watch Corporation, an Impress Group company. All rights reserved.


최근 소니가 예전 같지 않은 것은 사실입니다.

메커니컬에서 세미컨덕터로 그 것이 다시 소프트웨어와 컨텐츠로 가는 시대의 변화 속에서 소니는 언제나 미래를 읽고 대처해 왔습니다. 뭔 소리냐라고 하겠지만, 워크맨으로 말할 수 있는 매커니컬에서 소니는 언제나 강했고, 반도체 기술이나 소자 기술 등에 대한 투자역량을 키워서 CPU를 개발하고 워크스테이션이나 콘솔 게임기 등을 만들어 온 것도 사실입니다. 그리고 소니 뮤직이나 소니 픽쳐스로대표되는 소프트웨어와 컨텐츠도 확보하려는 노력을 해왔지요.

다만 소니가 소니답게 언제나 독고다이로 해 왔고, 그것이 소니의 발목을 잡아서 결국 지금 소니가 많은 추락을 해왔습니다. 특히나 디스플레이의 소니였습니다만, CRT와 LCD 두 가지를 다 해오다보니, CRT에 대비되는 LCD의 약점을 너무 알아서 뭔가 엄청 큰거 보여준다고 유기EL(AMOLED)로 올인을 한 것이 큰 패착이었습니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도 소니는 아직 세계 시장 2~3위의 TV제조사이고, 뭐니뭐니해도 방송장비 시장에서는 거의 표준이라는 점 입니다.

네, 바로 그 소니가 AMOLED 업무용 모니터 17인치 제품과 25인치 제품을 발표했습니다.
해당 AMOLED패널은 이 전부터 많이 공개가 된 그 17인치와 25인치로 보이는데, 이제 어느 정도 생산량이 나오는 듯 합니다.

ⓒ2011 Impress Watch Corporation, an Impress Group company. All rights reserved.


25인치인 BVM-E250 17인치 형인 BVM-E170 두 제품을 발표했습니다.
이 두제품은 BVM-L231과 L170의 후계 제품인 셈입니다.

ⓒ2011 Impress Watch Corporation, an Impress Group company. All rights reserved.

ⓒ2011 Impress Watch Corporation, an Impress Group company. All rights reserved.


영상 보드는 유니포미티 제어, 영상 신호의 제어, 입력지연의 최소화, 화질 조정 기능들을 위해서 알테라의 FPGA로 도배를 해 놓았습니다.(우왕 비싸라 T_T) 시대를 느낄 수 있다면 이제 SDI와 HDMI 뿐만이 아니라 디스플레이 포트 역시나 들어간다는 점 입니다. 영상 보드의 패널 구동 속도는 48/50/60/72/75Hz 라고 합니다.

ⓒ2011 Impress Watch Corporation, an Impress Group company. All rights reserved.


AMOLED의 리얼 블랙은 업무용 모니터에서도 강력한 파워를 발휘한다고 합니다. 블랙 내려가는 수치 비교를 저렇게 보니... 매직그래프이긴 하지만 무섭습니다.

ⓒ2011 Impress Watch Corporation, an Impress Group company. All rights reserved.


유기 EL패널 생산은 소니 모바일 디스플레이에서 한다고 합니다.

사실 TFT 구조라는 것을 생각하면 LCD 라인에서 맞는 것이 맞지 않을까 합니다. 그 연장선이겠지요.(그만큼 삼성SDI의 AMOLED는 특이 케이스) 지금은 일단 초고화질을 요구하는 마스터 모니터이지만 이 부분을 확대해서 고화질 제품군 마지막으로 일반 시장까지 확대하겠다고 합니다.

삼성 SMD가 일반 디스플레이용의 제품군을 양산해서 고화질 제품까지 가겠다고 하는 전략과는 반대입니다. 아무래도 캐파가 부족한 소니 입장에서 자신있는 화질 제어를 중심으로 한 전략이 아닐까 합니다.

가격은 25 인치 제품이 241 만 5,000 엔 17 인치 제품이 131 만 2,500 엔 으로 뭐 업무용다운 가격을 자랑한다는 점은 많이 슬픕니다만, 소니 역시 AMOLED에서 뛰고 있다는 소식에 왠지 기쁜 느낌이 듭니다.

열심히 해서 삼성의 독점 구조를 깨고 빠르게 AMOLED TV나 스크린을 봤으면 합니다 ^^






핑백

덧글

  • 2011/02/17 17:16 # 답글 비공개

    비공개 덧글입니다.
  • 로리 2011/02/17 17:48 #

    그러니 업무용이죠 몇이나 산다고...
  • RoyalGuard 2011/02/17 17:20 # 답글

    가격 쩐다....
  • 로리 2011/02/17 17:48 #

    업무용으론 약간 비싼 가격일껍니다
  • 가라나티 2011/02/17 17:25 # 답글

    그런데 제 착각인지도 모르겠지만 유기EL치고는 두께가 꽤 있어보이는군요...으음...
  • 로리 2011/02/17 17:49 #

    두께는 업무용이니 발열 구조와 강도 생각한거죠
  • 근성공돌 2011/02/17 17:49 # 답글

    저거 양산해서 이윤 나려면 알테라 돈덩어리들을 그냥 ASIC화 하는게 나을텐데..--;
    TSMC 0.18um 공정 가격도 쌉니다용...TT
  • 로리 2011/02/17 17:52 #

    몇이나 만든다고요 업무용장비다보니요 솔직히 가내 수공업이지요
  • 찌단 2011/02/17 18:27 # 삭제 답글

    소니가 OLED 양산하는건가? 하고 흥분했는데 역시 장인정신으로 만들어내는 수공예품이로군요ㅠㅠ

    책상 위에도 24인치 OLED 디스플레이 올려놓을 날은 아직 멀었네요...

    그 사이에 다른놈이 갑툭튀해서 새로운 대세가 될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 로리 2011/02/17 18:33 #

    NGP를 기대합시다 T_T
  • 아몰레드 2011/02/17 21:44 # 삭제 답글

    소니 이번 분기도 LCD사업은 적자 더군요 언제쯤 흑자로 전환될지...게임 사업 부는 흑자 전환한지 오래전인데....
  • 로리 2011/02/17 21:45 #

    보통 TV사업부가 흑자면 게임 사업부가 적자고 게임 사업부가 적자면 TV사업부가 흑자가 되는 것이 패턴입니다. T_T
  • dhunter 2011/02/17 23:07 # 삭제

    불경기에는 다들 히키코모리처럼 처박혀서 게임만 해서 그런가요 ㅠㅠ
  • akanechang 2011/02/18 01:18 # 삭제 답글

    소프트웨어는 아이디어 하나로 세상을 엎어 버릴 사업이 나오기도 하지만 하드웨어 제조에서는 물리법칙을 이겨내야 한다는 조건이 달라 붙어 있는 이상에는 아이디어 만으로는 한계가 있고 특히 제조 즉 물량의 한계는 어쩔 수 없는 측면이 있죠.

    근데 저번의 소니의 psp2의 5인치 OLED 건도 있는데 캐파가 어디서 나왔을까요? 아무리 5인치라도 전세계에서 유일하게 입맛대로 양산 해 줄 업체라고는 털고 털어봐야 SMD 밖에 없는데... 한 셀 한 셀 일본의 장인이 직접 OLED를 박아서 만들리는 없을 테고...
  • 로리 2011/02/18 01:41 #

    아무래도 저기 소니 모바일 디스플레이에 라인 세우겠지요 아직 시간이 있으니 뭐...
  • 2011/02/19 00:52 # 삭제 답글 비공개

    비공개 덧글입니다.
  • 로리 2011/02/19 00:57 #

    좋은 이야기 감사합니다. ^^
  • 이네스 2011/02/19 19:35 # 답글

    역시 문제라면 캐파겠군요. 어흑. ㅠㅠ 그나마 가능성있는애 둘다 가내수공업이니 이건 뭐....
  • 로리 2011/02/19 19:36 #

    소니도 일단 캐파 확보 중인 듯 합니다. LG도 그렇고요 ^^
댓글 입력 영역
* 비로그인 덧글의 IP 전체보기를 설정한 이글루입니다.



2019 대표이글루_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