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 전자사전 ‘COWON Q7 plenue’ 출시 (코원)

코원의 Q7가 발매되었습니다.
역시 스마트 패드들이 나오고 있는 시대인 만큼, PMP보다 이 쪽을 낼 수 밖에 없는 것이겠지요. ARM11 기반이라서 제한이 많았던 D3에서 A8 기반으로 바뀌면서 사용성이 늘어난 Z2의 스펙을 거의 똑같이 따르고 있습니다. 1024X600의 7인치 패널이라던가, FHD 영상도 가볍게 볼 수 있는 VPU라던가.. PMP와 전자사전 쪽을 강화하고 내놓은 것은... 사실 20대 이상이 사려고 하는 그리고 사는 스마트 패드는 아무리 뭐라고 해도 아이패드 밖에 없다는 것을 생각하면 10대를 노리는 이 쪽이 틀린 방법은 아니라고 봅니다.
진저브레드 OS도 사실 어차피 마켓 접속도 안 되는 기종임을 생각하면 큰 문제는 아니라고 봅니다.
오히려 문제는 가격이 아닐까 생각을 합니다.
8기가 버젼이 없기 때문인지 처음부터 가격대를 너무 높게 잡은 것이 아닌가라는 생각을 하게 됩니다. 물론 4Gb 이상의 파일을 재생하려면 내장 메모리 밖에 방법이 없었겠지만(마이크로 SD슬롯은 FAT32만 지원) 차라리 8Gb 제품을 페이퍼 런칭(...)을 했었어라도 20만원대가 존재하는 것으로 보였어야 하는 것 아닌가 느끼기도 합니다. 800X480 의 타블랫들과는 다르다고 해도 비슷한 사양의 20만원대 제품들이 너무 많습니다.(물론 그치들은 다 내장 메모리가 8Gb지만 -_-;)
코원의 장점이 장고를 한다인데... MP3시장에서는 그 때문에 경쟁자들의 삽질을 보고 안정된 제품을 내놓았던 것이 좋은 평을 들었지만 스마트 패드 시대에는 악수를 두어도 빨리 내놓는 것이 더 좋지 않는가 싶기도 합니다. 어찌되었건 코원은 잘 되었으면 하는데.. 걱정입니다.
PS. 그나저나 ARM11의 D3가 진저먹는 것 보면 무서웠는데... 이건 아이스크림 먹을 수 있을까요? 의미는 그닥 없다고 보지만요..

ⓒCOWON
코원의 Q7가 발매되었습니다.
역시 스마트 패드들이 나오고 있는 시대인 만큼, PMP보다 이 쪽을 낼 수 밖에 없는 것이겠지요. ARM11 기반이라서 제한이 많았던 D3에서 A8 기반으로 바뀌면서 사용성이 늘어난 Z2의 스펙을 거의 똑같이 따르고 있습니다. 1024X600의 7인치 패널이라던가, FHD 영상도 가볍게 볼 수 있는 VPU라던가.. PMP와 전자사전 쪽을 강화하고 내놓은 것은... 사실 20대 이상이 사려고 하는 그리고 사는 스마트 패드는 아무리 뭐라고 해도 아이패드 밖에 없다는 것을 생각하면 10대를 노리는 이 쪽이 틀린 방법은 아니라고 봅니다.
진저브레드 OS도 사실 어차피 마켓 접속도 안 되는 기종임을 생각하면 큰 문제는 아니라고 봅니다.
오히려 문제는 가격이 아닐까 생각을 합니다.
8기가 버젼이 없기 때문인지 처음부터 가격대를 너무 높게 잡은 것이 아닌가라는 생각을 하게 됩니다. 물론 4Gb 이상의 파일을 재생하려면 내장 메모리 밖에 방법이 없었겠지만(마이크로 SD슬롯은 FAT32만 지원) 차라리 8Gb 제품을 페이퍼 런칭(...)을 했었어라도 20만원대가 존재하는 것으로 보였어야 하는 것 아닌가 느끼기도 합니다. 800X480 의 타블랫들과는 다르다고 해도 비슷한 사양의 20만원대 제품들이 너무 많습니다.(물론 그치들은 다 내장 메모리가 8Gb지만 -_-;)
코원의 장점이 장고를 한다인데... MP3시장에서는 그 때문에 경쟁자들의 삽질을 보고 안정된 제품을 내놓았던 것이 좋은 평을 들었지만 스마트 패드 시대에는 악수를 두어도 빨리 내놓는 것이 더 좋지 않는가 싶기도 합니다. 어찌되었건 코원은 잘 되었으면 하는데.. 걱정입니다.
PS. 그나저나 ARM11의 D3가 진저먹는 것 보면 무서웠는데... 이건 아이스크림 먹을 수 있을까요? 의미는 그닥 없다고 보지만요..
덧글
A8 CPU에
7"
해상도 1024X600
램 1GB
내장 메모리 8GB
OS버전 허니컴입니다.(얼마후에 ICS로 올리기로 약속되었음)
가격은 299,000원입니다.(리퍼버젼은 25만원대)
16GB와 가격차이가 10만원나는데 8GB가 그정도 가치가 있는지 의문이군요......................
갤탭2 7인치 와이파이 버전은 국내 통관비용까지 다 해도 30초반이면 구할수 있던데 말입니다.
PMP , MP3시장은 이제 가망이 없는거 같아요.
생각보다 그 가격 치고 멀쩡한 제품들이 많이 나와서 의외였습니다. 생긴게 좀 못생긴건 FAIL 이었지만.
아. 생각해보니 덩치로 가격경쟁력을 만들 수도 있겠군요.
참.. 안타깝네요..;
한편으로 생각하면 테이프에서 CD로 CD에서 MP3로 MP3에서... 하는건 시대의 추세이긴한데...
대기업들 처럼 자금을 부어가면서, 추세를 따라가는게 가능하다면 또 모를까... (몇몇 회사들의 사례를 보면 마냥 그런것도 아니더라만)
일단 가격이 너무 비싸요 ㅠㅠ
참고로 TCC88XX 시리즈, 다시말해 텔칩에서 만든 TCC88xx 제품은 업계쪽에서도 욕을 많이 먹은 칩셋입니다.
SDK쪽에서도 문제가 있고..여러방면으로 문제가 많은 제품입니다. 저가패드의 중심지가 중국인데, 초반에 tcc88xx시리즈를 장착한 제품을 내 놓다가 극악의 최적화 때문에 중국 회사들이 칩셋을 포기했습니다..
게다가 안에 들어간 GPU가 이전 TCC89xx시리즈에 들어갔던 Mali200(무려 200입니다..!) 의 클럭이 업된 Enhanced 버전이라.. 그래픽은 포기하는게 빠르구요..
중국 칩셋회사들이 지금 40nm 공정에 듀얼코어, 그리고 Mali400MP4(벤치성능상 그래픽 성능이 테그라3보다 높습니다) 을 출시했고 10.1인치 IPS를 단 태블릿이 현지가격 우리돈 23만원 수준에 판매되는것을 봤을 때...
아무튼 이번 코원의 제품은 좀 회의적입니다..
디스플레이 사이즈(이부분은 개취라고 하더라도),두께,성능 그 모든 부분에서 우위도 없고..우위가 있다고 하더라면 코원이라는 브랜드와 안에 들어간 사전 컨텐츠..라던지 인강 DRM정도인데. 사전 컨텐츠는 마켓에서 따로 다운받을수 있으니..
차라리 이번에 텔레칩스에서 새로 선보인 CoretexA5 기반 TCC8923을 넣고 출시했다면 달리 봤을겁니다 (Tcc8923은 저번에 된통 당했는지 최적화가 상당히 잘 되어있습니다.. A5기반이다보니 배터리 효율도 괜찮구요...)
근데 Tcc88시리즈에 가격은 저런식이니..
개인적으로 Q7..가격 낮추어야한다고 생각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