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담 몇가지.. 추가 잡담

1. 제주 평화 박물관.. 이야기..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2/03/08/2012030803123.html


저거 매각 위협 이야기도 많이 들리고 하는데..

사실 저 박물관 개국 이야기와 매각 이야기를 가장 먼저 들었던 것은 사실 진보 커뮤니티 쪽이었습니다,(...) 아무래도 저 박물관을 만든 분과 방문자간의 동상이몽(...)이 있지 않는가 싶은데... 저 박물관을 만든 분은 안보 보수 주의자이기 때문에 만들었는데 (실제 박물관에 보면 자유와 평화는 공짜가 아니다라는 글귀도 있습니다 ^^) 저 곳을 방문을 계획한 교원 단체나 진보 커뮤니티는 군대에 불필요성을 생각하는 좌파 쪽이 아니었는가 싶은...

기획자의 의도와 시장 소비자의 의도가 달랐는데도 불구하고 운 좋게 맞자 떨어지다가 (저 이야기가 맞다는 전재하에) 이번 제주도 해군 기지 건설로 문제가 커진 것이 아닐까 생각도 듭니다.


2. 네이버 도전 웹툰 이야기


그저 할 말을 잊었습니다.

검열 자체를 좋아하지 않는 입장인데... 저런 녀석들 때문에 검열 반대 운동이 한 순간에 도로아미타불이 되어 버린 것을 생각하면 -_-; 사실 상업적 작품이라도 결국 검열이나 규제는 소재를 가리게 되고 그런 것은 창작자에게 하나의 감옥이 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검열은 없어야 하는 것이지요.

하지만 그렇다고 해도 씨발 저런 것을 대놓고 그리는 것이 어딨어.... 그것도 사람들 다 공개된 곳에.. 차라리 자기 블로그 같은 곳에 조용히 열었다면 쉴드쳐줄 여지라도 있지...

그저 으아악... 겨겨우 웹툰이라는 새짝이 돋았는데.. 미친놈 하나 때문에 완전히 망치는 느낌입니다.


3. LG가 필립스랑 스마트 TV 얼라이언스라는 것을 만드는가 봅니다.

http://www.smarttv-alliance.org/Home.aspx


간단히 스마트 TV표준안 같은 것을 만들어서 회사들 SDK같은거 통일 시키자는 듯 하네요. 일본 업체들에게도 열심히 러브 콜 중이라고 합니다. 당연히 SDK는 HTML5 같은 개방형 기술을 사용하자는 듯 합니다. 사실 TV에 응용 프로그램을 마구 까는 스마트 폰과 같은 것은 맞지 않다고 보는 쪽입니다만, 그럼에도 SDK와 개발 솔루션은 통일 시키는 것이 뭐라고 해도 편하니깐.. 괜찮은 아이디어라고 봅니다.

단지 문제는 삼성이 끼이길 않으면 아무 소용 없다는 거 -_-;;;;;;

세계 해군 공통 플랫폼 계획을 세우는데.. 미해군이 안 해라고 하면 아무 소용 없는 것과 같습니다.. OTL..


4. http://av.watch.impress.co.jp/docs/news/20120621_541568.html

소니랑 스미토모 전기랑 순녹색 레이져 개발에 성공했나 봅니다. 이게 프로젝터에 응용되기 매우 좋은 파장인데 모바일 프로젝터 개발에 좋은 소식이 아닐까 합니다. 문제는 스페클 현상인데... 어떨까 하네요.


5. 인피니트 스트라토스에서 판권은 출판사에 있다는 이야기가 많은데...


기본적으로 저작권은 언제나 출판사가 아니라 작가에게 있습니다. 그 저작권을 상품화 할 수 있는 판권(출판권이나 각종 미디어 믹스 관련 이익등)을 출판사가 계약을 해서 얼마의 기간동안 독점적 권리를 가지는 것 뿐입니다. 일본의 경우 일반적으로 2~3년 정도 계약을 한다고 알고 있습니다.

그러니깐 IS의 인기가 지속적으로 유지만 된다면 작품의 재발간은 출판사를 바꾸어서 얼마든지 할 수 있다는 것이지요. 물론 이게 이론상일 뿐이긴 하지만 말입니다.. (먼산)

덧글

  • 네리아리 2012/06/21 20:26 # 답글

    1. 동상이몽?
    2. 웹툰계의 럭스 강림. 이제 무거운 공무원들의 엉덩이가 들썩해지겠죠.
  • 로리 2012/06/21 20:33 #

    좌우지간 카우치 때문에 인디밴드 방송국에서 전멸한 일 생각이.... 사실 왠만한 일은 어릴 때부터 봐와서 그려러니 하는 것은 있지만요. 그래도 저렇게 자살골은 낸 적이 없는데 생각이..
  • Centigrade_D 2012/06/21 20:42 # 답글

    게임쪽 사전 심의제도가 존재하는게 사행성 게임때문에 사회문제가 되었던 전력이 있는 것 때문에 그렇죠. 덕분에 국외 게임을 한국에 유통시키는 행위 자체가 불법이 되어버렸죠 ㅎㅎ

    검열이 없는게 좋은건 맞는데 자유와 방종을 구분 못하는 종자들이 있기에 검열은 사라질 수가 없는 것 같습니다.
  • 로리 2012/06/21 21:57 #

    그런데 자유와 방종을 떠나 저렇게 미친 놈 앞에서는 답이 없는게...
  • Centigrade_D 2012/06/21 22:05 #

    저런놈은 공권력에 의해 검열삭제가 시급히 필요합니다
  • 로리 2012/06/21 22:58 #

    문제는 사전이냐 사후냐가 아닐까 합니다.
  • 한국출장소장 2012/06/21 21:08 # 답글

    2번은 알아보기 귀찮으니 생략하지만 뭔 일인지 불보듯 뻔할거 같고, 3번은 과거 LG-필립스 디스플레이가 깨졌다가 다시 붙는거 같아서(사업파트는 전혀 다르지만) 의외군요. 문제는 주도하는 필립스가 '저걸 할 여력은 있냐' 싶지만(....)
  • 로리 2012/06/21 21:29 #

    일단 LG가 주도하는 듯 하긴 합니다만..
  • 존다리안 2012/06/21 22:45 # 답글

    저도 만화쪽에 유관한 사람입니다만 저런 또라이들 땜에 만화 전체가 쓰레기 취급받을
    까 걱정입니다.
  • 로리 2012/06/21 22:58 #

    저런 또라이는 사실 어디서든 나타날 수 있어서 참 문제죠
  • 김남용 2012/06/21 23:09 # 답글

    웹툰 사태는... 저런 또라이는 그냥 조직의 쓴맛(큰 집에서 건강미)을 보여주면 된다고 생각하는 쪽인데.
    엉뚱하게 모든 웹툰이 그 쓴맛을 볼거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아주 네이버 전면에 떡~ 하니 기사도 실린걸 봐선... 이젠 도전 만화가 부문도 검증 되지 않은 작품은 올라오지 못할거 같다는 생각이 드네요. (상황을 봐선 네이버가 검열을 할 수 밖에 듯.)
  • 로리 2012/06/22 02:10 #

    사실 도전 만화는 검열되지 않고 의견을 받아들여서 재능을 인정 받으면 네이버측과 협의하에 대중성을 가지게 수정되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으로 생각했는데... 이런 일이 벌어지다니.. 그저 안타깝습니다.
  • 다물 2012/06/22 01:35 # 답글

    노이즈가 계속 검색어로 떠있기에 10대들이 90년대 가수 노이즈 검색하는 줄 알았어요.
  • 로리 2012/06/22 02:10 #

    그저 눈물이 흐릅니다
댓글 입력 영역
* 비로그인 덧글의 IP 전체보기를 설정한 이글루입니다.



2019 대표이글루_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