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M9600은 436cd, 삼성 ES8000은 351cd, 소니 직하형 HX950은 거의 400을 찍습니다. 휘도로만 따진다면 세 디스플레이 모두 지나치게 많습니다. 그러나 LCD는 물론이며 PDP조차도 백색휘도가 올라가면 블랙이 그만큼 타격을 받게 됩니다. 블랙이란 빛의 무존재이기 때문에 오히려 없는게 더 화질에 도움이 되기 때문입니다. OLED나 크리스털 LED처럼 정확한 나와바리를 지정하여 블랙과 휘도를 나름 최대한 분리시킨다면 좋겠지만 그런다해도 일반적인 캘리브레이션 휘도는 160을 넘기지 않으며 채광환경을 고려해서도 200은 넘기지 않습니다. PDP같은 경우는 APL 감안을 하지 않더라도 160 찍는게 힘이 드니까 문제가 되는것이고 LCD는 오히려 지나치게 높은 휘도 덕택에 블랙과 유니포미티가 타격을 입는것입니다.
로리님 블로그를 즐겨 보는 사람입니다 저도 저런 제품을 써보고 싶고 일본과의 환율도 좀 내려 갔으면 하는 사람이지만 자민당, 아베, 일본 만세는 좀 아닌듯 합니다. 제가 왜 이러말을 하면 로리님이 나중에 무슨일을 하게 될지 모르기 때문이져 그때 예전에 글 올린거서 가지고 많은 사람들이 로리님을 공격할까봐 하는 얘기 입니다.
덧글
패널이랑 세트로 주는 캘리브레이션 센서는 어떤 제품인가요?
진짜 100만원 밑이면 엄청난 효용성이 있을 듯 합니다.
LM9600은 436cd, 삼성 ES8000은 351cd, 소니 직하형 HX950은 거의 400을 찍습니다. 휘도로만 따진다면 세 디스플레이 모두 지나치게 많습니다. 그러나 LCD는 물론이며 PDP조차도 백색휘도가 올라가면 블랙이 그만큼 타격을 받게 됩니다. 블랙이란 빛의 무존재이기 때문에 오히려 없는게 더 화질에 도움이 되기 때문입니다. OLED나 크리스털 LED처럼 정확한 나와바리를 지정하여 블랙과 휘도를 나름 최대한 분리시킨다면 좋겠지만 그런다해도 일반적인 캘리브레이션 휘도는 160을 넘기지 않으며 채광환경을 고려해서도 200은 넘기지 않습니다. PDP같은 경우는 APL 감안을 하지 않더라도 160 찍는게 힘이 드니까 문제가 되는것이고 LCD는 오히려 지나치게 높은 휘도 덕택에 블랙과 유니포미티가 타격을 입는것입니다.
요번나온 엘지oled티비 백색휘도 얼마나 될지 정말 궁금하네요
로리님이 저번에 올려주신 글에선 재팬디스플레이가 모바일 woled로 400nit찍었다고 했는데 ...
동영상이나 게임할때 400nit이상으로 하면 정말 좋더라구요 아이맥에서 해보니
확실히 어두침침하지 않고 화질이 좋아보였어요
개인적으로 va패널이 들어간 고급형 모니터들이 좀 나왔으면 좋겠는데 그런건 보기 힘드네요 ㅠ
ips는 종특인 빛샘이랑 명암비때문에 싫은데 말이죠 ㅠ
센서는 독자라서 아쉽긴 하지만 어차피 스파이더 센서 들어가고 SW는 LG꺼라서 딴데 쓰긴 애매하겠죠
엔이 800이고 글로벌 워런티면 카드긁고 생각하는건데 말이지요.
제가 왜 이러말을 하면 로리님이 나중에 무슨일을 하게 될지 모르기 때문이져
그때 예전에 글 올린거서 가지고 많은 사람들이 로리님을 공격할까봐 하는 얘기 입니다.
사실 농담조로 올린 말인데요. 사실 아베 정권 그리고 현재 일본 정권에 오히려 걱정이나 우려가 더 많은 사람입니다.
이런 일이 이러나지 않을까요? ㅎㅎ 물론 연결을 어떻게 하냐에 따라 다르겠지만요.
자동으로 usb 꽂음 깔린다고 되있는데 말이죠.
전체적으로 좋긴합니다.
프로그램은 아무래도 cD에서 혹은 LG에서 따로 받아서 설치해야 하실 듯 합니다. 보통 다 그러니까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