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 27EA83 펌웨어의 마법.. 디스플레이 이야기

LG 27EA83, 29EA93 인풋렉 개선 펌웨어 테스트 (플레이웨어즈)


엄청나게 인풋랙이 줄어드네요.

음.. 저런게 어찌 가능하지? 라는 생각을 해봅니다. 아무래도 응답 속도의 오버 드라이브 로직의 버퍼가 낭비가 많았나 봅니다. 음.. 재미있네요.


덧글

  • dhunter 2013/03/27 17:20 # 삭제 답글

    위아래로 글이 배치되어 있으니 삼까 엘빠 같아보여요... (...)

    삼성 뇌출혈의 장점은 맥버전이 있다는 정도...;
  • 로리 2013/03/27 17:30 #

    진짜 그런 듯..^^;;;

    그래도 LG는 맥 지원 자체가 안 되니..맥버젼이 있다는 것이 크긴 하죠.
  • 슬로우어답터 2013/03/27 19:07 # 삭제

    어차피 두 제품은 그레이드가 달라요.

    S27B970은 DELL U2713HM과 동급이고,

    27EA83은 DELL U2713H하고 동급이고...

    그러고 보니 S27B970의 가격이 너무 비싸네요.
  • 로리 2013/03/27 19:10 #

    그런데 EA83 계측치와 SB970 계측치 비교해보시면 아주 재미있을 것 입니다. ^^ 제 블로그 계측치들을 여러 이유로 같이 비교하지 않았지만요. 함 보시면 놀라실 것 입니다.
  • 국이 2013/03/27 22:45 # 삭제

    색역기준으로만 봤을때는 970이 U2713HM과 동급인게 맞고 다들 그렇게 보기도 하더군요
    허나 계측치로만 보면 전혀 다른 세상을 느끼는 970;;;
    그나저나 2713H 정확한 리뷰는 어디 볼수 없나요?
    970과 비슷한 수치라면 갈아타고 싶은데 말입니다..
    자.. 로리님이 어떻게 좀...
  • 로리 2013/03/27 22:47 #

    제가 돈이 없어서 제품을 구할 방법이... 델이 좀 협력좀 해줬으면 싶지만 흑흑흑
  • Centigrade 2013/03/27 20:02 # 답글

    ea83은 일본 가격 보면 가격이 용서가 안되는 물건이라 ㅈㅈ죠 ;;
  • 로리 2013/03/27 20:02 #

    뭐, 사실 일본에 비해서 그 쪽 제품들 판매량이 비교가 안 되다보니 어느 정도 이해는 합니다. 그래도 좀 한국에서 손해를 보면 안 되나 싶긴 하죠
  • Centigrade 2013/03/27 20:14 #

    아마존에서 900달러대인걸 보면 단순히 판매량 문제는 아닐겁니다. 엔화의 급락이 더 큰 요인이 되겠죠.

    일본 갈일 있으면 세금 내도 일본에서 사오는게 싸다는게 진짜 에러죠 ;; 아니 비행기표값+세금만큼 쌉니다
  • dhunter 2013/03/27 22:58 # 삭제

    그리고 들여왔더니 LG에서 펌업을 거부...
  • KOF 2013/03/28 01:51 # 삭제 답글

    풀 캘리브레이션으로 즐겨보는 아이돌 마스터도 색다른 맛이겠네요 ^^; TV쪽은 과연 저렇게 좋았던 시절이 다시 올까 서글퍼지긴 하네요. 재작년 LG TV도 과거 펌웨어로 인풋래그를 저정도 "비율"로 획기적으로 줄여줬던 시절이 있었지요. 문제는 150ms에서 45ms로의 개선이라는 함정 (먼산)
  • 로리 2013/03/28 11:50 #

    뭐 TV는 어쩔 수 없는 부분도 많으니까요
  • dummyfacto 2013/03/28 05:44 # 삭제 답글

    LG가 되었던 DELL이 되었던 맥용 캘리 프로그램이 좀 나왔으면.. ㅠㅠ
    이것 때문에 리뷰를 하고 싶어도 마음이 싹 달아납니다. ㅠㅠ
  • 로리 2013/03/28 11:50 #

    T_T
  • Ithilien 2013/03/28 09:05 # 답글

    저도 저걸 보다보니 구형엔진이 얼마나 발코딩을 한건지가 궁금해집니다.
  • 로리 2013/03/28 11:50 #

    그보다는 원래 HW 조정이라는 것이 쉬운 것이 아니니까요.
  • momo 2013/03/28 18:31 # 삭제 답글

    http://www.coolenjoy.net/bbs/boardc.php?id=31&no=7153&page=1&num=6843&board=31&ss=0&sc=0&sn=0&keyword=&qa=0&ga=&cat=0&vote=0


    로리님 질문 하나만 하겠습니다.
    이번 마보의 센제품 모니터가 로컬 디밍을 지원하던데
    로컬 디밍을 지원하면 얻는 장점이 뭐가 있을까요?
  • 로리 2013/03/28 18:40 #

    (1) 화면 균일도 유지의 장점이 있고

    (2) 영상에 따른 최적의 명암비를 만들 수 있습니다.

    다만 8등분의 로컬 디밍으로는 디밍 포인트가 너무 낮으니... 최적 명암비보다는 화면 균일도 유지 차원에서 장점이 있지 않을까 합니다.
  • momo 2013/03/28 18:49 # 삭제

    그렇군요.
    로리님 보시기에는 일반 모델에 비해 40만원 더 주고
    로컬디밍과 색온도 조절이 되는 모델을 살만한 가치가 있다고 보시나요?
  • 로리 2013/03/28 18:52 #

    음... 전문가 작업이라면 화면 균일도에 따른 화면 변화가 신경 쓰일 분도 많으니까요. 제가 개인적 용도로만 모니터를 사용하니 그닥 필요 없다고 보지만, 그 비용을 들여서라도 균일도를 맞추는 쪽이 유리한 분야의 분이라면 충분히 들일 수 있다고 봅니다.
  • 2013/04/20 19:23 # 삭제 답글 비공개

    비공개 덧글입니다.
  • 로리 2013/04/20 19:33 #

    대답을 드리기 너무 곤란합니다.

    왜냐하면 너무 질문의 스펙트럼이 넓거든요. 저가 모니터와 고가 모니터의 차이는 일단 설정의 정밀도나 영역의 차이입니다. 고가 모니터일 수록 다양한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이런 다양한 설정은 프린터를 했을 때의 색을 일치시킬 때나 혹은 자신이 작업하는 컬러 설정을 더 정밀하게 맞출 때 아주 편리합니다.

    그래서 그런 가격을 주고 사는 것이죠.

    저가형도 어느 정도 색 표준에 맞춰서 만들어져 있고, 처음 사용할 때는 엄청난 차이가 없습니다. 다만 지속적으로 사용하면 색이 틀어지거나 하는 객년변화가 일어나는데, 그걸 설정이 적으니 바로잡기 어렵다는 것이죠.

    40만원 수준으로 작업을 하신다면..

    http://accessories.ap.dell.com/sna/productdetail.aspx?c=kr&cs=krdhs1&l=ko&sku=230-12092

    델의 이 제품이면 어떨까 합니다. 가격대 성능비가 괜찮습니다. 이런 제품으로 어느 정도 써 보시고 각종 고급 제품을 생각해보심이 어떨까 합니다.
  • 2013/04/20 20:09 # 삭제 답글 비공개

    비공개 덧글입니다.
  • 궁금 2014/05/26 01:02 # 삭제 답글

    이번에 큰 돈들여 좋은 27인치 qhd 모니터 구매하려고 합니다. 그중에 2713h와 27ea83모델 고민중인데... 용도는 고해상도 영화감상과 사진작업 입니다. 영화보는데 그 잔상현상이 심한가요? 심하다면 이번 펌웨어로 당연이 lg로 가야하겠죠? 2713h는 캘리를 따로 구매해야 한다고 들었는데 1i인가? ;; 어때요? 추천 해주세요.
  • 로리 2014/05/26 12:00 #

    전 둘다 문제 없었습니다. ^^

    개인적으로는 만듦새와 성능부분으로 2713H를 추천합니다.
댓글 입력 영역
* 비로그인 덧글의 IP 전체보기를 설정한 이글루입니다.



2019 대표이글루_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