엑스박스 원 DRM정책 공식 철회 (루리웹)
일단은 환영합니다.
정발 게임만 하는 것도 아니고, 해외판 게임도 하고 콘솔의 자유도(?) 입장에서 생각하면 저 역시 유저이고 기존 XBOX 360 정책 정도면 충분하겠지요. 사실 DRM 정책은 MS에게 있어서는 그닥 좋은 정책은 아닙니다. 지속적으로 이야기 했지만, 콘솔 판매자 입장에서는 콘솔이 많이 팔리고 소프트가 집중되는 것이 중요할 뿐이니까요,
오히려 이런 정책은 퍼블리셔들에게 필요합니다. 현재 AAA급 타이틀 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게임들 마저도 개발 비용의 상승을 겪고 있습니다. 사실 컴퓨팅 파워가 늘고 있는 이상 모델링이나 전체의 게임 퀄리티는 높아질 수 밖에 없고, 당연한 수순이긴 하지요. 문제는 그렇다고 타이틀 가격을 쉽게 올릴 수 있는 것도 아니고 판매량이 급격히 높아지는 것도 아니기 때문이니깐, 이런 중고 방지 향후 패키지를 없애고 유통 수익을 퍼블리셔나 콘솔 밴더가 먹겠다는 정책을 한 것일 껍니다.
하지만 이게 아쉬운 점이 없는 것은 아닙니다.
일단 세상은 디지털 미디어로 변하고 있습니다. 사실상 엑박의 디스크를 설치 디스크로만 사용할 수 있다면 본인 계정이 있는한 디스크를 잃어버리거나 파손되었다고 해도 바로 게임을 다운 받아서 할 수 있을지도 모르고, 향 후 엑박 타블렛 같은 것이 나온다면 사실상 하드웨어가 같을 가능성도 높으니 세이브 데이터나 게임 자체를 공유(!)하도록 할 수 있을지도 모릅니다.
떠, 한국 시장 자체로만 치면 워낙 똥밭이라.. 저런 다운로더블이 도히려 장점이 될지도 모른다는 생각도 하니까요.
어찌되었건 이제 다운로더블은 차차세대로 넘어가 버린 것 같습니다. 과연 미래는 어찌될지 궁금하네요.
일단은 환영합니다.
정발 게임만 하는 것도 아니고, 해외판 게임도 하고 콘솔의 자유도(?) 입장에서 생각하면 저 역시 유저이고 기존 XBOX 360 정책 정도면 충분하겠지요. 사실 DRM 정책은 MS에게 있어서는 그닥 좋은 정책은 아닙니다. 지속적으로 이야기 했지만, 콘솔 판매자 입장에서는 콘솔이 많이 팔리고 소프트가 집중되는 것이 중요할 뿐이니까요,
오히려 이런 정책은 퍼블리셔들에게 필요합니다. 현재 AAA급 타이틀 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게임들 마저도 개발 비용의 상승을 겪고 있습니다. 사실 컴퓨팅 파워가 늘고 있는 이상 모델링이나 전체의 게임 퀄리티는 높아질 수 밖에 없고, 당연한 수순이긴 하지요. 문제는 그렇다고 타이틀 가격을 쉽게 올릴 수 있는 것도 아니고 판매량이 급격히 높아지는 것도 아니기 때문이니깐, 이런 중고 방지 향후 패키지를 없애고 유통 수익을 퍼블리셔나 콘솔 밴더가 먹겠다는 정책을 한 것일 껍니다.
하지만 이게 아쉬운 점이 없는 것은 아닙니다.
일단 세상은 디지털 미디어로 변하고 있습니다. 사실상 엑박의 디스크를 설치 디스크로만 사용할 수 있다면 본인 계정이 있는한 디스크를 잃어버리거나 파손되었다고 해도 바로 게임을 다운 받아서 할 수 있을지도 모르고, 향 후 엑박 타블렛 같은 것이 나온다면 사실상 하드웨어가 같을 가능성도 높으니 세이브 데이터나 게임 자체를 공유(!)하도록 할 수 있을지도 모릅니다.
떠, 한국 시장 자체로만 치면 워낙 똥밭이라.. 저런 다운로더블이 도히려 장점이 될지도 모른다는 생각도 하니까요.
어찌되었건 이제 다운로더블은 차차세대로 넘어가 버린 것 같습니다. 과연 미래는 어찌될지 궁금하네요.
덧글
솔직히 이번 갑질로 오히려 디지털러의 이행으로의 트라우마 심리를 전분야에 확립시킨 공적밖에 없다고 할까요
가격 문제도 다운로더블이 더 싸게 못 매긴다던가 할인 문제도 있고요
예약이란 이름으로 선 다운로드도 있었던것 같은대요
바하였던가
이미 PSN 에는 있습니다
종종 예약 게임이 화면 맨 앞에 뜹니다
감사합니다.
지금 세대에서 이미 다 하고 있는거고
그건 유통사가 게임 사정봐서 '마케팅적으로 선택' 하는 문제입니다
2. PSP에서 VITA로 넘어왔는데 초기의 컨텐츠 부족을 잠시나마 메꿔주는게 PSP 말기에 다운로드판으로 구매했던 게임들을 VITA에서도 다운로드 받아서 플레이 가능하더군요.
이런게 다운로드 시스템의 긍정적 미덕이라고 봅니다...
2. 그렇군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