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ED 백라이트를 사용한 LCD 모니터의 수명은 얼마나 될까? (김환 교수님의 컬러매니지먼트 블로그)
한국에서 이렇게 근성이 있으신 분이.. T_T
그냥 놀랍습니다. 그런데 White LED BLU의 경우 CCFL 때보다 그렇게 높은 수명을 가지고 있지 않다는 이야기가 많이 돌았는데, 해당 블로그의 글에서 한달만에 10%의 휘도감소라는 부분은 생각 외로 무섭습니다. 저도 비슷한 생각한 적이 있는데, 귀차니즘으로 하지 못했,... 그렇습니다. 세상을 바꾸는 것은 근성인 것 같습니다.
데이터 업데이트를 구글 독스로 계속 볼 수 있는 것도 재미있네요. ^^
한국에서 이렇게 근성이 있으신 분이.. T_T
그냥 놀랍습니다. 그런데 White LED BLU의 경우 CCFL 때보다 그렇게 높은 수명을 가지고 있지 않다는 이야기가 많이 돌았는데, 해당 블로그의 글에서 한달만에 10%의 휘도감소라는 부분은 생각 외로 무섭습니다. 저도 비슷한 생각한 적이 있는데, 귀차니즘으로 하지 못했,... 그렇습니다. 세상을 바꾸는 것은 근성인 것 같습니다.
데이터 업데이트를 구글 독스로 계속 볼 수 있는 것도 재미있네요. ^^
덧글
장기적인 관측이 필요한 테스트에서 결론을 성급하게 내리는 것 만큼 위험한 것도 달리 없을 겁니다... 신중함이야말로 미덕.
파나소닉이 원체 번인 선입견에 데일데로 데여서 자사 홍보 문구엔 꼭 하프라이프 수명을 명시합니다. 하루 8시간 기준으로 30년 쓸수 있다고 하지요. 요즘 PDP는 절대로 번인이 일어나지 않는 이유입니다. (물론 PDP 수명을 깎아먹는건 슬림 디자인에 억지로 파워 서플라이 쑤셔넣어서 무리가 가게끔 하는 전원부니 그런쪽에서 통풍이 되지 않는 LED쪽과 나름 비슷하다고 볼수 있겠죠. 어쨌든 패널 자체 수명은 PDP가 LCD보다 더 오래갑니다.)
PDP의 발열에 대해 비판적으로 보는 사람들이 많은데 오히려 통풍이 잘 된다는 증거입니다. 매장에서 에지형 TV들 고휘도로 맞춰놓고 LED가 위치된 테두리쪽을 만져보면 엄청나게 뜨겁습니다. TV가 내색을 안할뿐이지 안에서 익어가고 있다는 뜻이죠. 전력소모가 LED가 CCFL보다 더 우수하다는 이유로 이쪽은 전혀 문제 없을거라고 생각하는데 컴퓨터로 따진다면 지포스 타이탄 3웨이 SLI도 파워서플라이, 케이스, 방열팬 같은걸 대형급으로 맞춰놓으면 문제 없지만 노트북용으로 사용되는 800M 같은걸 태블렛 폼팩터에 박아놓고 아예 통풍도 안되게끔 밀폐시켜놓으면 도리어 더욱 더 큰 부작용이 생기는것과 마찬가지 이치라고 보시면 됩니다.
뭐 다들 그러려니 했던게 실제로. ㅠ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