東芝がCMOSイメージセンサー撤退。ソニーに製造設備等を譲渡 (와치 임프레스)
말 그대로의 이야기 입니다. 도시바의 이미지 센서 부분들을 인력 라인 전체를 소니에게 넘긴다는 이야기 입니다. 이 매각으로 도시바는 플래시 메모리 반도체에 더 집중하고, 소니는 자신이 강한 이미지 센서 부분에서 더 집중한다는 것입니다. 일부 니콘 DSLR이나 후지의 미러리스용 이미지 센서들을 만들어 온 것이 도시바라고 알고 있고, 스마트 폰 센서등도 많이 만들고 있는 것으로 아는데, 이게 전부 소니로 넘어가면 소니의 이미지 센서 역량은 말 그대로 무시무시해 진다는 이야기지요.
결국 규모의 경제 자체로 소니에게 기술적이나 생산량으로 이기기 어려워진다는 이야기고, 삼성 입장에서는 돈이 되는 모바일 기기용의 이미지 센서에 집중하는 것이 대형 센서를 만드는 것보다 나은 사업적 결정을 한 것이 아닐까 합니다. 이런 것을 보면 삼성의 카메라 사업 철수가 맞는 이야기인지도요.
물론 사업적 문제이지.. 실제적으로 소비자 입장에서는 상당히 아쉬운 결정이지만요.
말 그대로의 이야기 입니다. 도시바의 이미지 센서 부분들을 인력 라인 전체를 소니에게 넘긴다는 이야기 입니다. 이 매각으로 도시바는 플래시 메모리 반도체에 더 집중하고, 소니는 자신이 강한 이미지 센서 부분에서 더 집중한다는 것입니다. 일부 니콘 DSLR이나 후지의 미러리스용 이미지 센서들을 만들어 온 것이 도시바라고 알고 있고, 스마트 폰 센서등도 많이 만들고 있는 것으로 아는데, 이게 전부 소니로 넘어가면 소니의 이미지 센서 역량은 말 그대로 무시무시해 진다는 이야기지요.
결국 규모의 경제 자체로 소니에게 기술적이나 생산량으로 이기기 어려워진다는 이야기고, 삼성 입장에서는 돈이 되는 모바일 기기용의 이미지 센서에 집중하는 것이 대형 센서를 만드는 것보다 나은 사업적 결정을 한 것이 아닐까 합니다. 이런 것을 보면 삼성의 카메라 사업 철수가 맞는 이야기인지도요.
물론 사업적 문제이지.. 실제적으로 소비자 입장에서는 상당히 아쉬운 결정이지만요.
덧글
물론 카메라 사업부문 철수와 별개로 스마트폰용 센서는 계속 생산하니 센서에 대한 기술투자는 이전과 전혀 달라질 것이 없다고 말씀하시면 저도 추측에 불과한 상황에서 딱히 드릴 말씀은 없어집니다만...
그리고 판단 근거로 쓰신 도시바의 사업부 매각도 카메라 사업 부문이 스마트폰 등장하고 상태 별로인게 어제오늘 이야기는 아닌 것 같은데... 오히려 시장성이 크게 악화되었다기보단 도시바가 분식회계네 뭐네 하면서 상태가 매롱한 부분도 있고 하니 저마진 사업을 정리한 게 아닐까요? 삼성도 최근에 실적이 하늘을 찌르는 애플에 치이면서 상태가 상당히 좋지 않았다는 공통점이 있죠. 3Q 실적이 환차익 등으로 개선되었지만 사업부 철수 결정이 하루아침에 결정되는 것도 아닐테고 이를 뒤집는 것이 쉬운 것도 아닐 테고요.
이런 의미에서 말씀하신 부분은 너무 긍정적인 해석으로 보입니다.
그냥 삼성 카메라가 소비자에게 어필이 안되니 시장 철수한거죠. 그리고 이건 갤럭시 시리즈 일부에서 (좀 옛날 이야기지만)같은 기종에 자사 센서와 소니제 센서를 섞어쓸 정도로 기술격차가 크지는 않은 상황에서 어느정도 격차가 생기는데 영향을 미치리라 봅니다.
수요에 비해 공급이 일원화가 되면 스냅드래곤 810처럼 센서에 치명적인 문제가 발생하면 수요와 공급 모두 다 X되거 밖에는 안될텐데요
하지만 DSLR 카메라센서까지 올라인을 갖춘 소니에 비하면 삼성의 폰용 카메라 모듈만으로는 장기적으로 규모든 인재풀이던 기술수준이건 그리 좋아 보이지는 않는군요.
근본적으론 (컴팩트야 식물인간...)렌즈교환식카메라조차도 레드 오션이 되어간다는 판단이 작용하지 않았나 싶습니다. 천하의 캐논도 계속 매출과 출고대수 전망 줄이고 있고, 그간의 렌즈교환식의 폭발적 성장은 시장 자체의 성장보다 필름에서 디지탈 전환이 크게 작용했다는 견해도 있고요. 대신 이머징 마켓이 있다...라지만 시대의 추세가 모바일인데 교환식들이 좀 맞질 않죠.
뭐 결국 올해까지의 상태로는 사후약방문이니.
카메라가 광학만 이야기하는 건 아니죠. 기계 정밀제어, 전자부품, 프로세싱 등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