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http://www.ilbe.com/7373209175 이런 곳에서 계속 링크가 되어서.. 올려 봅니다.
2. IPS는 수평 배향이라는 구조상, 라이벌 모드인 VA 패널보다 광 시야각에 유리했습니다. 명암비가 한계가 있었고, 균일성 문제가 있다해도 시야각에 따른 색변화가 작기 때문에 전문가가 그래픽 작업에 써도 색 변화가 적고, 인쇄 쪽에서는 명암비의 약점도 큰 문제가 아닌 부분이 있었습니다.
3. 물론 VA도 신경 쓰면 되지만.. 이건 투자 비용 대비 결과물이 어떤가의 문제입니다. 같은 돈을 쓰면 IPS가 그런 시야각을 얻기에 싸다는 말이 되고, 이런 이유로 에이조 같은 업체들의 고급 제품에는 IPS가 주류가 됩니다.
4. 여기에 모니터 사업이 큰 돈이 안되다보니 VA 패널을 중심으로 하는 2업체 삼성과 샤프는 TV 사업에 중심을 두게 됩니다. 자연스래 VA 모니터가 줄고 IPS 모니터가 늘어나지요.
5. 그리고 시장에 엄청난 폭탄이 터지니.. 바로 스마트 폰이나 패드 산업이었습니다. 터치 스크린에서 내충격성 문제에서 수평으로 누워있는 IPS 방식이 VA보다 유리하고, 중소형 LCD가 IPS로 완전히 쏠려버리는 것이었습니다. ASV 라는 VA 방식 모바일 LCD를 만드는 샤프조차 애플 납품등을 이유로 IPS를 만들고, 삼성도 당연히 PLS라고 IPS 패널을 만들게 됩니다. TV 패널 외에 VA가 안 보이는 이유죠.
6. 그럼 OLED 모니터는 시장을 바꿀 수 있는가? 일단은 그렇습니다. 최근 나오고 있는 HDR 영상 문제나 BT 2020 같은 엄청난 광색역 표준에서는 OLED가 유리한 부분이 많기 때문이지요. 물론 어찌 될지를 두고 봐야겠지만 말이죠.
2. IPS는 수평 배향이라는 구조상, 라이벌 모드인 VA 패널보다 광 시야각에 유리했습니다. 명암비가 한계가 있었고, 균일성 문제가 있다해도 시야각에 따른 색변화가 작기 때문에 전문가가 그래픽 작업에 써도 색 변화가 적고, 인쇄 쪽에서는 명암비의 약점도 큰 문제가 아닌 부분이 있었습니다.
3. 물론 VA도 신경 쓰면 되지만.. 이건 투자 비용 대비 결과물이 어떤가의 문제입니다. 같은 돈을 쓰면 IPS가 그런 시야각을 얻기에 싸다는 말이 되고, 이런 이유로 에이조 같은 업체들의 고급 제품에는 IPS가 주류가 됩니다.
4. 여기에 모니터 사업이 큰 돈이 안되다보니 VA 패널을 중심으로 하는 2업체 삼성과 샤프는 TV 사업에 중심을 두게 됩니다. 자연스래 VA 모니터가 줄고 IPS 모니터가 늘어나지요.
5. 그리고 시장에 엄청난 폭탄이 터지니.. 바로 스마트 폰이나 패드 산업이었습니다. 터치 스크린에서 내충격성 문제에서 수평으로 누워있는 IPS 방식이 VA보다 유리하고, 중소형 LCD가 IPS로 완전히 쏠려버리는 것이었습니다. ASV 라는 VA 방식 모바일 LCD를 만드는 샤프조차 애플 납품등을 이유로 IPS를 만들고, 삼성도 당연히 PLS라고 IPS 패널을 만들게 됩니다. TV 패널 외에 VA가 안 보이는 이유죠.
6. 그럼 OLED 모니터는 시장을 바꿀 수 있는가? 일단은 그렇습니다. 최근 나오고 있는 HDR 영상 문제나 BT 2020 같은 엄청난 광색역 표준에서는 OLED가 유리한 부분이 많기 때문이지요. 물론 어찌 될지를 두고 봐야겠지만 말이죠.
덧글
OLED의 경우에는 Curved 곡률에서 완전히 자유롭기에 VA 보다도 더 우수한 화질을 유지할 수 있겠죠. LG에서 중소형이 아닌 대형 TV용으로 OLED에 집중하는 이유가 IPS 패널의 Curved 대응 한계 때문이 아닐까 추측해 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