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스플레이 포트 1,4 결정 아쉬움과 기대되는 점 디스플레이 이야기

8K+HDR、4K/120Hz対応の「DisplayPort 1.4」を策定 (와치 임프레스)


VESA Publishes DisplayPort™ Standard Version 1.4 (VESA)


드디어 디스플레이 포트 1.4 규격이 결정되었습니다. 기본적인 디스플레이 포트 규격은 1.3과 다르지 않습니다. 4 개의 전송로를 이용 각 8.1 Gbps로 총 32.4 Gbps의 최대 대역을 가진다는 디스플레이 포트 1.3과 다르지 않지만, Display Stream Compression (DSC) 기술을 사용해서 영상을 압축 전송으로 보내기 때문에 8K / 60Hz 나 4K / 120Hz 로 HDR 전송을 가능하게 만든다고 합니다. 물론 NHK가 만들고 있는 S-HV에 미치진 않지만 말이죠.

일단 해당 기술의 장점이나 기대는 DP 1.3 규격의 케이블이나 방식을 그대로 사용한다는 점 입니다. 4K, 5K/60hz + HDR 을 지원하는 DP 1.3 규격에서 큰 변화가 없다는 점이나 USB Type-C나 썬더볼트(Thunderbolt) 를 사용할 수 있다는 점은 매력적 입니다. 말 그대로 PC 에 맞춘 방식이지요.

하지만 단점도 명확합니다. 바로 스트림 전송이 아닌 Display Stream Compression (DSC)라는 압축 전송이라는 점 입니다. 물론 많은 고민을 가진 방식이기 때문에 압축 전송을 한다고 해도 화질이 떨어질 것이다라고 생각하지 않습니다만, 해당 과정을 거치면서 인풋 랙이나 각종 호환성 문제가 일어날 가능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더군다나 그래서 S-HV 규격에 완전히 대응할 수 있었냐면 그것도 아닙니다. 8K/120Hz HDR 영상을 받지 못하니까요.

USB-C나 썬더볼트 같은 인터페이스를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노트북 USB 단자로 바로 모니터에 연결한다던가 하는 방식으로 설계될 가능성이 높고, 스마트 폰이나 태블릿에도 들어가지 않을까 합니다. 해당 규격이 잘 되었으면 합니다.

덧글

  • 계란소년 2016/03/02 18:30 # 답글

    8K 120Hz는 한참 먼 미래 얘기니 뭐... 다음 버전에서 되겠죠.
  • 로리 2016/03/02 18:33 #

    네.. 확실히.. 다만 해상도 부분은 거기서 멈추지 않을까 싶긴 합니다.
  • 城島勝 2016/03/02 19:40 # 답글

    8K/ 120은 그 때가 되면 또 새 단자 팔아먹을 궁리로 남겨둬야 할 겁니다. 애초에 가정에선 필요하지도 않을 해상도지만, 기술 자랑이건 얼리 어댑이건 프로 전용이건 소수 시장은 있을 터이고.
  • 로리 2016/03/02 19:49 #

    그 때가 되면 또 해당 디스플레이들이 나오겠지요. 아무래도 8K 120P가 일단 해상도나 프레임 부분에서는 끝이 되지 않을까 싶긴 합니다만..
  • Eraser 2016/03/02 22:23 # 답글

    적어도 물리적 한계로 인해 8K / 120hz가 힘들다거나 하는등의 문제만 없다면야..
  • 로리 2016/03/03 00:36 #

    뭐...극단적으로는 광케이블 쓰면 되니까요
  • isotoxin 2016/03/03 04:28 # 답글

    로리님껜 좀 아쉬운 점도 있겠지만 해당 버전의 가장 중요한 점은 이중 레이어를 통한 메타데이타를 입수 받아서 그 부분에선 HDMI 2.0a를 따라잡았다는 점이 있겠습니다. 비약적인 개선보단 일단 지금 있는거나 호환하는게 중요했겠죠. UHD 스펙의 끝은 결국 도달할겁니다. 시네마 8K 해상도 @ 240hz @ 12비트 @ 4:4:4가 UHD의 공식적인 최후 스펙입니다. 소니도 명확하게 밝히고 있고요.
  • 로리 2016/03/03 13:53 #

    네... 그런데 8K 다음에는 뭐가 나올련지.
  • isotoxin 2016/03/03 17:51 #

    UHD 스펙이 끝나면 이젠 VR 스펙이 등장할테니 거기서 계속 올라갈겁니다. 삼성의 10K OLED가 개발자킷 유형으로 깔린다면 어떤 형식이라도 물리적인커넥션이 필요하지 않을까요? VR은 16K, 32K까지 올라가야하니깐요. 물론 그 때 가면 디스플레이포트도 슈퍼MHL 같은 무선으로 될지도 모르겠습니다.
  • 교장개새끼 2016/03/03 06:25 # 삭제 답글

    압축은 손실?, 무손실? 무손실 압축이면 압축률이 일정하시 않을텐데요? 손실이면 화질 망치고요.
  • 로리 2016/03/03 13:56 #

    그 때문에 관련 기술이 있는 거니까요 ^^
댓글 입력 영역
* 비로그인 덧글의 IP 전체보기를 설정한 이글루입니다.



2019 대표이글루_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