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HD 방송의 암호화를 막아주세요. 디스플레이 이야기

논란의 UHD 암호화...韓 '갈라파고스 섬' 되나? (지디넷 코리아)

지상파 초고화질(UHD) 기술표준안에 방송의 암호화 논쟁이 떴습니다. UHD 방송을 앞 두고 고급 켄텐츠라 할 수 있는 공중파에 암호를 걸고 특정한 수신기를 달아서 불법적인 녹화를 막고, 컨텐츠의 경쟁력을 지키자라는 뜻으로 시작한 일 입니다. 저도 컨텐츠 보호라는 해당 의의에 대해서는 동감을 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런 일은 결국 모든 사람에게 손해를 주고 말 것입니다.


우리나라의 이런 암호화와 가장 비슷한 일을 하고 있는 곳은 옆나라 일본입니다. 일본은 B-CAS라고 하는 방송에 대한 암호화를 하고 있고, 특정한 카드를 삽입하지 않으면 방송을 볼 수 없는 구조로 되어 있습니다.



NHK와 같은 국영방송과 대형 공중파 방송사 그리고 얽기설기 얽힌 일본의 지역 민방이나 방송권 거기에 광고주의 문제까지 생각하면 이 방식은 일본에서 컨텐츠 보호를 위해서 합리적이고 괜찮은 방법으로 생각했을지 모릅니다. 하지만 실제로 그렇게 되지 않았습니다.

첫쨰로 가전 기기의 경쟁력 약화 입니다.

일본의 B-CAS는 일단 가전사들이 일본향 제품을 따로 만들어야 하는 복잡한 유통과 제작구조를 만들어 냈습니다. 저기 보이는 B-CAS 카드가 삽입되는 TV가 필요했기 때문이고, 일본의 가전사들은 겉으로는 해외 가전사가 들어오기 힘든 자신만의 내수시장을 지키는 것처럼 보이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실제로는 해외에 판매할 TV와 자국에서 판매할 TV 의 설계 자체가 달라지고, 조립부터 유통까지 고스란히 부담을 겪게 되었습니다. 소니나 파나소닉 샤프 같이 해외 대형 공장을 운영하고 다양한 국가에 다양한 국가별 제품을 따로 내놓을 수 있는 업체들은 대응이 되었지만 히타치나 도시바등 다른 업체들은 한쪽을 선택해야만 했고.. 위의 파나소닉이나 샤프 같은 업체도 삼성이나 LG와 같은 기업과 제품 경쟁을 하는데 복잡한 모델과 대응이 어려워져서 경쟁력이 밀린 부분도 있을 정도입니다.

이게 똑같은 식으로 중국 업체와 경쟁할 한국 가전사들에게 일어날 문제입니다.


둘째로 실제적으로 콘텐츠가 보호되지 않습니다.

그렇게 다수의 암호화 모듈이 걸려 있는 일본의 콘텐츠들은 알아서 이미 전 세계로 돌아다니고 있습니다. 암호화를 잘 걸어도 기계가 바로 앞인 이상 뚫을 가능성이 아주 높고, 영화나 게임처럼 초반의 수익 구조를 위해서 불법 콘텐츠를 막으면 손해를 막을 수 있다라지만 방송이라는 특성상 좀 늦게 해당 영상이 퍼져도 해당 퍼진 영상을 모으고.. 기계인 이상 한번 뚫리면 결국 그 뚫은 체제로 계속 리얼타임으로 나가게 되어 있습니다.

오히려 이런 불법적인 일을 안하는 사용자들만 녹화를 한다던가 하는 일에서 복잡한 단계를 거치게 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당장에 일본의 녹화기 시장을 봐도... 그냥 녹화가 되는 심플한 구조가 아니라 복제 몇번 허용이나 아까의 B-CAS 카드 슬롯을 엄청나게 달고 있거나 식으로 소비자 지출을 늘리게 되어 있습니다.


셋째로 공중파 방송은 단순히 영리만을 위해 있는 것이 아닌 공공제 성격이 있습니다.

한국에 전쟁이나 대형 재난 상황이 벌어져서 비상 방송을 해야 한다던가 할 때가 있을 것 입니다. 보통 이런 긴급 재난 방송이야 저런 암호화 모듈을 풀어서 방송을 할 가능성이 높습니다만, 이미 저런 방송을 보지 않겠다고 다른 방법으로 구한 TV 등을 사용하는 사람이 있을 것이고.. 결국 이런 사람들은 방송 안테나를 연결하지 않았을 가능성이 높아서 재난 상황시에 중요한 상황이나 속보를 보지 못할 수도 있습니다.

인터넷도 케이블도 라디오도 스마트 폰도 라고 할지 모릅니다. 하지만 재난 상황에서는 하나라도 더 많은 통신 채널이 필요합니다. 티비가 안 될때 인터넷이, 인터넷이 안 될때 라디오가.. 식으로 다양한 통신 채널이 백업으로 있어야 하고 그런 곳에서 다수의 정보를 제공해야 특정한 통신이 망가진 사람들이 문제가 없이 상황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공중파 방송은 이 중요한 공공제적인 성격이 있고 때문에 전기료에 TV 수신금을 받아가도 있는 것 입니다.


UHD 암호화의 뜻은 이해하지만 시청자의 불편과 중요한 긴급 상황에서 나쁜 일을 만들지 않을까 합니다. 그리고 제조업으로 만들어진 한국의 경쟁력도 줄일 수 있고요.

제발 이걸 사람들이 반대해주셨으면 합니다.



PS. 제가 일본 B-CAS를 얼마나 놀렸는데요...

핑백

  • 로리!군의 잡다한 이야기 : 2016년 내 이글루 결산 2017-03-20 17:15:53 #

    ... 림쟁이를 위한 노트북 가이드.. 그러니깐 이거 읽고 노트북 사라 29 4 으아아아아아아아아아아아아아아아 24 5 UHD 방송의 암호화를 막아주세요. 24 2016년에 덧글을 받은 포스트가 없습니다. 내 이글루 활동 TOP5 1 한국출장소장 158회 2 자 ... more

덧글

  • 자유로운 2016/07/24 18:45 # 답글

    근데 업계가 워낙에 싫어해서... 저거 하면 나중에 아마 개털릴겁니다. 지들 목숨 생각하면 쉽게 선택하기 어려울건데...
  • 로리 2016/07/24 18:54 #

    방송국이 워낙...밀어서 걱정입니다.
  • PFN 2016/07/24 19:14 # 답글

    DRM이또 ㅉㅉㅉ
    진짜 왜그리 소비자를 못괴롭혀서 난린지 모르겠네요
  • 로리 2016/07/24 19:18 #

    사실 게임이라던가 하면 이해하는데.. 사실 공공방송이기도 하니깐 저걸 단순히 소비자 문제로 보진 않았으면 합니다. 외려 소비자를 이야기하면 볼 사람만 보호한다 할 수도 있고요 ^^
  • PFN 2016/07/24 19:21 #

    저걸 굳이제한한다 해도 현행 유료채널방식으론 안된다는걸까요?
    그 방식만 해도 충분히 강력한것같은데
  • 로리 2016/07/24 19:26 #

    그게 잘 보면 카드 넣는 식... ^^
  • 나인테일 2016/07/24 19:21 # 답글

    그냥 지상파를 안 보면 되죠.
    수입과자 열풍, 갓든어택2 사태나 웹툰작가의 난에서 소비자가 국내 생산자들의 갑질에 과감히 국산을 쓰레기통에 넣고 외산을 선택해버리겠다고 하는건 소비자도 더이상 국경에 얽매이기 싫고 이걸 뛰어넘고 우회할 자신감이 얼마든지 있다는 표현이거든요.

    지상파 방송사들도 그냥 똑같은 꼴 한번 당하면 됩니다. 빨리 TPP 가입이나 서둘렀으면 좋겠어요.
  • 로리 2016/07/24 19:29 #

    TPP 가입한 일본..B-CAS 버젼 업해서 UHD에 올립니다 -_-

    지상파 방송사야 시청료 부분도 있고 영향력이 사라지긴 어려울 껍니다. 외려 이번 일로 시청료를 올리거나 다수의 기기에 암호화 코드가 들어가는 것을 보고 시청료를 받겠다는 것으로 바꿀 수 있죠.
  • 나인테일 2016/07/24 19:45 #

    TPP에서 암호화를 금지한다는 말이 아닙니다. TPP 체제하에서 그렇게 반시장적 규제를 일삼는 진영은 다른 나라의 제품에 의해 좀 더 빠른 속도로 도태된다는 말이지요. 일본도 같은 상황이라고 봅니다. TPP나 향후 있을 좀 더 커다란 시장 개방 앞에서 일개 국가 정부의 꼬장은 더이상 통할 수가 없습니다.

    저렇게 갑질 하다가 사고 한번만 타지면 넷플릭스, 유튜브, 애플TV 같은데서는 물 들어올때 노 젓는다고 난리도 아니겠죠.
  • 로리 2016/07/24 19:56 #

    NHK 다큐가 해외에 더 잘팔리겠죠(...)

    TPP 체제라면 반대로 해외 방송프로그램이라면 콘텐츠 보호가 일단은 더 되니깐 암호화를 더 찬성하겠죠. 오히려 시장적인 부분이죠. 해외 방송사사 일본에 진출하긴 애매하고 결국 일본 방송사에 프로그램을 파는 거니까요.

    한국도 한국에 엄청난 돈을 들여서 세우겠습니까? 그냥 프로그램을 파는 식이 될꺼죠. 중국 말고는 한국에 TV팔 나라도 없고요.

    지금 저런 암호화는 외려 시장관계사가 더 좋아해서입니다. 광고회사나 방송사를 생각하면요. 일본이 넷플릭스 몰라서 저렇게 B-CAS고 D-CAS고 만들어지는거 아니니까요. 반시장적이라고 반대하기 보다는 소비자권리보다는 공공제인 방송을 쓰는 시민이라는 것으로 가야한다고 봅니다.

    이것은 시장논리로는 못 이깁니다.
  • 8kOLED 2016/07/26 18:49 # 삭제

    망해가는 지상파 따위 무슨 뻘짓을 하던 말던 신경도 안 씁니다. 저는 지상파 따위 안 본지가 언제부턴지 생각도 안 납니다. 요즘 제가 보는 영상은 대부분이 유튜브라서, 지상파 따위 망해버려서 KBS가 유튜브에 입점해서 실시간 스트리밍 뿌리는 시대가 빨리 오면 좋겠네요.
  • KittyHawk 2016/07/24 19:42 # 답글

    이전 사례들을 생각하면 차라리 안 하는게 낫습니다.
  • 로리 2016/07/24 19:47 #

    안 했으면 합니다.
  • Ithilien 2016/07/24 20:14 # 답글

    가전업계에서 제발 막아줬으면 하는데 단통법에서 망사업자의 힘을 보면 힘들지도...하는 생각이 듭니다.
  • 로리 2016/07/24 20:14 #

    한국 가전 업계가 쎄긴 한데... 그래도 안 되더군요
  • Blueman 2016/07/24 20:22 # 답글

    저작권 보호야 이해되지만 굳이 따로 만들 필요가 있을까요?
  • 로리 2016/07/24 20:24 #

    저도 그렇게 생각합니다만... 그것만으로 부족하다는 분이 있죠
  • fatman 2016/07/24 20:51 # 삭제 답글

    - 한 10년 전인가요 HDTV 전환하는 도중에서 생뚱맞게 MBC에서 HD 방식 대신 SD 방식 하자고 난리쳐서 전환이 1년 이상 지연된 일이 있었는데, 어째 그 일의 재현 같네요. 그때 이미 TV 시청 가구의 90% 이상이 공중파가 아니라 유선을 통해서 TV를 시청하고 있다고 나왔는데, 새삼 지금 공중파에 암호 거는 것이 무슨 의미가 있을지 모르겠네요.
  • 로리 2016/07/24 21:08 #

    그건 SD로 하자는건 아니었고요, 유럽식으로 분할로 가자는 거였조 생각해보면 이동이 중심이 되어서..라는 부분도 있어서 나쁜 이야긴 아니었습니다. 다만 우리가 이미 미국식 장비 다 산거라.. ㅎㅎ
  • fatman 2016/07/25 20:43 # 삭제

    로리님 //

    - 유럽식이 결국 SD였지요. SD가 해상도가 줄어드는 대신 채널이 더 늘어난다인데, MBC 등에서 그 늘어날 채널 먹을려고 생뚱맞게 SD 밀어다는 것이 당시에 이미 중론이었지요. 그렇게 몇달 동안 계속 난리치다가 한동안 조용하더니 생뚱맞게 HD 전환에 힘을 모으겠습니다 해서 처음에 방송사들 말 믿고 SD 해야 한다고 하던 사람들이 그냥 바보가 되어버렸다는...
  • 로리 2016/07/25 20:46 #

    https://en.wikipedia.org/wiki/High-definition_television#European_HDTV_broadcasts

    사실 유럽도 1080i 이긴 합니다.,
  • 천하귀남 2016/07/24 21:34 # 답글

    공공을 위한 공중파가 저런짓을 하다니 그저 어이가 없습니다.
    더군다나 저걸 밀어 붙이면 결국 그만큼 방송에서 이탈하는 사람만 늘어나겠지요.
  • 로리 2016/07/25 02:04 #

    답답합니다
  • allrelease 2016/07/24 23:15 # 답글

    우주 전역에 전파를 쏘는는 판에 국가 전용 DRM?
  • 로리 2016/07/25 02:05 #

    뭐 씁쓸하죠
  • 8kOLED 2016/07/26 18:51 # 삭제

    암호화를 걸면, 외계인이 지구 TV를 보고 쳐들어올 가능성은 줄겠네요.
  • 이지리트 2016/07/25 01:07 # 답글

    진행하고 망테크 탄다음 책임자없이 유야무야.....
  • 로리 2016/07/25 02:05 #

    암호화 관리회사를 세워서 저 낙하산 넣어야죠 무슨.유애무야.지속가능한.창조경제
  • areaz 2016/07/25 08:08 # 답글

    반대이긴 한데 TV 안보고 살아서..
  • 로리 2016/07/25 09:42 #

    저작권이나 향후 시청료 문제도 들어있다보니요
  • 지나가던과객 2016/07/25 09:22 # 삭제 답글

    국산품 애용하고 외제 안 쓰자고 언론과 정부에서 떠들던게 엇그제같더만, 이제는 업계에서 알아서 외제 쓰라고 떠미는군요.
  • 로리 2016/07/25 09:42 #

    정작 티비 제조사들은 반대 중이죠
  • ㅇㅇ 2016/07/25 11:05 # 삭제 답글

    한국은 지상파방송국 박근혜정부 대기업가전사 삼위일체로 한패거리라 ㅉㅉ

    저들 눈엔 국민은 그냥 개돼지일뿐

    저것들 존중할 이유가 하나도 없다고 생각합니다

    제발 내년에 정권 교체되서 다 박살냈으면 좋겠습니다

  • 로리 2016/07/25 11:22 #

    티비 제조사들은 저거 반대 중입니다.
  • 은이 2016/07/25 11:11 # 답글

    돈과 수익성이 연관된 것에 한해서는 머리가 좋은놈들이라 정식 도입 될 가능성은 아주 낮을테고,
    기사까지 나왔으니... 사업성 알아보니 시범사업 하니 하고 돈 타내서
    서로 아는놈들끼리 하청줘서 사업비를 쏙쏙 빼 먹겠죠. (....)
    그리고 연구 수주 받은 기업의 x/4 분기 수익에 들어가고.. 성과금과 리베이트와.. (한숨)
  • 로리 2016/07/25 11:22 #

    그 정도로 끝났으면 좋겠습니다. 사실 영상 신호의 DRM 기술은 계속 개발해야하는 것은 맞으니까요
  • ㅁㅅ 2016/07/25 17:01 # 삭제 답글

    넥슨은 서든 2 사태 때에도 어긋난 감이 좀 있지만 "어느 정도는" 유저들의 말을 듣는 노력이라도 하는데 저것들은 ㅉㅉㅉ...
  • 로리 2016/07/25 17:05 #

    사실 시청료 자체는 더 올라야 하긴 합니다. 방송국 유지라는 것이 아무나 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서요 문제는 그게 정치문제라 아무도 못하니 그렇죠. 그러다보니 저런 것도 하는 것이긴 합니다.
  • Zorro 2016/07/26 11:42 # 삭제 답글

    Uhd방송 atsc 3.0 채택되었다고 하네요. Uhd tv 미리 안사두길 질했지..
    http://m.news.naver.com/rankingRead.nhn?oid=277&aid=0003794891&sid1=&ntype=RANKING
  • 로리 2016/07/26 13:06 #

    뭐 어느정도 예상한 부분이라..
  • Zorro 2016/07/26 11:51 # 삭제 답글

    전 티비제조사를 응원하고 방송국놈들은 정말 싫습니다
  • 로리 2016/07/26 13:06 #

    아흑
  • 8kOLED 2016/07/26 18:56 # 삭제

    샘숭, 헬쥐 따위 TV 제조사도 한국인을 호객으로 아는 놈들이라 편들어주기 싫습니다. TV를 사도 어차피 아마존 직구이니, 한국판만 갈라파고스가 되던 말던 알 바 아닙니다. 암호화 없는 지금도 한국판만 쓸 데 없는 기능 넣고 바가지 씌우는 갈라파고스인데, 갈라파고스라고 암호화를 반대하니 참 뻔뻔합니다.
  • 2016/07/28 09:32 # 답글 비공개

    비공개 덧글입니다.
댓글 입력 영역
* 비로그인 덧글의 IP 전체보기를 설정한 이글루입니다.



2019 대표이글루_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