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alaxy Note7 OLED Display Technology Shoot-Out (디스플레이메이트)
디스플레이메이트에서 갤럭시 노트 7에 대한 계측치를 올렸습니다. 사실 전 갤럭시 노트 5나 갤럭시 S7에서 이미 모바일 OLED 발전은 끝났다라고 봐서 그리 큰 기대는 없었습니다. 순간이라고 해도 800cd/m² 이 나오고 AdobeRGB 같은 광색역 지원 모드도 있고 FullWhite 모드에서 300cd 이상이 나오니 큰 무리가 없고... 라고 생각했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오산이었습니다.
더 좋아졌습니다.
이게 황당한데 정말로 더 좋아졌습니다.

밝기 이야기를 하자면.. 일단 놀라운 점은 569~1048cd/m² 라는 황당한 계측치가 나왔습니다. 물론 자동 밝기 모드로 순간적으로 나오는 버스트 모드 같은 것이지만, 이 제품이 HDR 영상을 지원한다는 점을 생각하면 휘도가 높을 수록 HDR원본 영상을 톤 매핑하기 좋은 환경이 됩니다. VR 게임이나 HDR 영상을 보여줄 때 눈이 부신 영상을 만들 수 있다는 거죠 무섭습니다.
특히나 화면에 100% 면적의 백색을 띄어놓고 밝기 계측을 해도 418cd 라는 아주 훌륭한 밝기가 나오는 것을 생각하면 이제 LCD보다 밝지 않는 OLED 라는 것도 옛 이야기입니다.(물론 아이폰의 경우에는 450~550cd는 나옵니다만..)

색온도 표현 역시 sRGB, AMOLED영화, AMOLED사진 모드에서 모두 훌륭합니다. 6400K로 거의 표준 색온도가 나오고 있네요.

감마 설정은 이건 언제나 아쉬운 부분인데, 2.44 정도로 살짝 높은 감마가 나오고 있습니다. 2.2가 표준이고 실제 2.4 정도면 나쁘진 않는데, 명암대비가 약간 강하게 느껴질 셋팅이라 이게 더 좋게 보일 수도 있습니다만, 기존 감마 커브 자체가 CRT나 LCD에 맞춘거라 이렇게 하는 걸까 싶기도 하고 아무래도 명암대비가 강하게 느껴지는 것이 OLED에게 좋게 보일테니 싶지만 이 부분만은 이제 표준으로 갔으면 싶네요.(정말 이거 하나만 아이폰에 뒤집니다.)

색 재현성 부분은 뭐.. 언제나의 삼성 답게 훌륭합니다. 표준(sRGB)모드에서의 색재현성의 정확도

AMOLED사진 모드(AdobeRGB)의 정확도도 대단합니다.
계속 말해왔지만, 고급 디지털 카메라에서 쓰이는 RAW 촬영전이나 AdobeRGB 촬영할 때 해당 사진의 리뷰를 이제 스마트폰으로 하셔도 될 정도입니다. 물론 그렇다고 고급 모니터가 필요없다는 것은 아니지만, 적어도 야외에서 촬영을 했을 때 갤럭시 노트가 있다면 AdobeRGB모드를 띄우고 간의 리뷰를 해도 된다는 거죠. 무서운 세상입니다.
라지만 이건 사실 갤럭시 노트3 이후 삼성 스마트폰이 계속 나왔던 평가이고 이번에 하나의 변화가 생겼습니다. 바로 언제나 잉여였던 AMOLED 영화 모드의 변화 입니다. 사실 AMOLED영화 모드는 AdobeRGB로 색역은 넓어지긴 하는데 무슨 색이 변하나 싶은 쓸모가 없어보이는 모드였는데요..

네..이번 갤럭시 노트 7부터는 무려 DCI-P3도 저렇게 맞춰주는 것입니다.
이게 왜 중요하냐면 바로 HDR영상이나 컨텐츠의 색역이 바로 DCI-P3로 되기 때문이지요. 즉 HDR영상을 볼 때 톤커브 뿐만이 아니라 영상의 색상도 창작가가 의도한 색감으로 볼 수 있게 된 겁니다. OLED 특유의 광색과 컬러 에뮬레이션을 저렇게 쓸 수 있는 것 보면.. 대단하기 그지 없습니다.
갤럭시 노트 7은 더 높은 휘도, 더 훌륭한 컬러 조정 기능과 셋팅을 가진 모바일 디스플레이 중에서는 가장 뛰어난 제품입니다. 정말로 이걸 상대하기 위해서는 LCD로는 안 되고 결국 아이폰 역시 OLED를 채용할 수 밖에 없겠다. 라는 생각을 합니다.
정말 사고 싶고 가지고 싶은 제품입니다.
디스플레이메이트에서 갤럭시 노트 7에 대한 계측치를 올렸습니다. 사실 전 갤럭시 노트 5나 갤럭시 S7에서 이미 모바일 OLED 발전은 끝났다라고 봐서 그리 큰 기대는 없었습니다. 순간이라고 해도 800cd/m² 이 나오고 AdobeRGB 같은 광색역 지원 모드도 있고 FullWhite 모드에서 300cd 이상이 나오니 큰 무리가 없고... 라고 생각했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오산이었습니다.
더 좋아졌습니다.
이게 황당한데 정말로 더 좋아졌습니다.

ⓒ1990-2016 by DisplayMate® Technologies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
밝기 이야기를 하자면.. 일단 놀라운 점은 569~1048cd/m² 라는 황당한 계측치가 나왔습니다. 물론 자동 밝기 모드로 순간적으로 나오는 버스트 모드 같은 것이지만, 이 제품이 HDR 영상을 지원한다는 점을 생각하면 휘도가 높을 수록 HDR원본 영상을 톤 매핑하기 좋은 환경이 됩니다. VR 게임이나 HDR 영상을 보여줄 때 눈이 부신 영상을 만들 수 있다는 거죠 무섭습니다.
특히나 화면에 100% 면적의 백색을 띄어놓고 밝기 계측을 해도 418cd 라는 아주 훌륭한 밝기가 나오는 것을 생각하면 이제 LCD보다 밝지 않는 OLED 라는 것도 옛 이야기입니다.(물론 아이폰의 경우에는 450~550cd는 나옵니다만..)

ⓒ1990-2016 by DisplayMate® Technologies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
색온도 표현 역시 sRGB, AMOLED영화, AMOLED사진 모드에서 모두 훌륭합니다. 6400K로 거의 표준 색온도가 나오고 있네요.

ⓒ1990-2016 by DisplayMate® Technologies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
감마 설정은 이건 언제나 아쉬운 부분인데, 2.44 정도로 살짝 높은 감마가 나오고 있습니다. 2.2가 표준이고 실제 2.4 정도면 나쁘진 않는데, 명암대비가 약간 강하게 느껴질 셋팅이라 이게 더 좋게 보일 수도 있습니다만, 기존 감마 커브 자체가 CRT나 LCD에 맞춘거라 이렇게 하는 걸까 싶기도 하고 아무래도 명암대비가 강하게 느껴지는 것이 OLED에게 좋게 보일테니 싶지만 이 부분만은 이제 표준으로 갔으면 싶네요.(정말 이거 하나만 아이폰에 뒤집니다.)

ⓒ1990-2016 by DisplayMate® Technologies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
색 재현성 부분은 뭐.. 언제나의 삼성 답게 훌륭합니다. 표준(sRGB)모드에서의 색재현성의 정확도

ⓒ1990-2016 by DisplayMate® Technologies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
AMOLED사진 모드(AdobeRGB)의 정확도도 대단합니다.
계속 말해왔지만, 고급 디지털 카메라에서 쓰이는 RAW 촬영전이나 AdobeRGB 촬영할 때 해당 사진의 리뷰를 이제 스마트폰으로 하셔도 될 정도입니다. 물론 그렇다고 고급 모니터가 필요없다는 것은 아니지만, 적어도 야외에서 촬영을 했을 때 갤럭시 노트가 있다면 AdobeRGB모드를 띄우고 간의 리뷰를 해도 된다는 거죠. 무서운 세상입니다.
라지만 이건 사실 갤럭시 노트3 이후 삼성 스마트폰이 계속 나왔던 평가이고 이번에 하나의 변화가 생겼습니다. 바로 언제나 잉여였던 AMOLED 영화 모드의 변화 입니다. 사실 AMOLED영화 모드는 AdobeRGB로 색역은 넓어지긴 하는데 무슨 색이 변하나 싶은 쓸모가 없어보이는 모드였는데요..

ⓒ1990-2016 by DisplayMate® Technologies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
네..이번 갤럭시 노트 7부터는 무려 DCI-P3도 저렇게 맞춰주는 것입니다.
이게 왜 중요하냐면 바로 HDR영상이나 컨텐츠의 색역이 바로 DCI-P3로 되기 때문이지요. 즉 HDR영상을 볼 때 톤커브 뿐만이 아니라 영상의 색상도 창작가가 의도한 색감으로 볼 수 있게 된 겁니다. OLED 특유의 광색과 컬러 에뮬레이션을 저렇게 쓸 수 있는 것 보면.. 대단하기 그지 없습니다.
갤럭시 노트 7은 더 높은 휘도, 더 훌륭한 컬러 조정 기능과 셋팅을 가진 모바일 디스플레이 중에서는 가장 뛰어난 제품입니다. 정말로 이걸 상대하기 위해서는 LCD로는 안 되고 결국 아이폰 역시 OLED를 채용할 수 밖에 없겠다. 라는 생각을 합니다.
정말 사고 싶고 가지고 싶은 제품입니다.
덧글
사옥내에서 굿판벌이나...
으으... 그럼에도 이 정도면 타협 가능하지 않나 하는 합리화가 머릿속에서 이뤄지는 중입니다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