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K/HDRはアニメにも効果大! ガンダム初UHD BD「ガンダム サンダーボルト DECEMBER SKY」を体験 (와치 임프레스)

예전부터 HDR과 같은 실감 미디어의 광명이 왜 아니메에 금방 올 수 없는가라는 부분에서 아니메는 왜 실감 미디어의 혜택에서 벗어나 있는가? (링크) 같은 이야길 많이 했습니다만, 뭐 세상은 안 나오는 건 아니지요. 바로 기동전사 건담 선더볼트가 4K HDR로 나왔습니다. 와치 임프레스에서 제작 이야기를 했는데 재미있는 부분들이 많아서 링크와 기사를 소개합니다.

HDR 영상의 제작과정은 심플합니다. 기존 애니의 디지털 마스터 영상으로 장면들을 보여주면서 캐릭터와 장면에 따라 감독이 원하는 영상의 밝기를 조정한 것이라고 합니다. 뭔가 자동화와 거리가 먼 장면이지만, 사실 이건 다 그림을 그리는 아니메인 이상 어쩔 수 없는 부분이지요.
재미있는 점은 디지털 마스터의 해상도 입니다. 해당 애니의 해상도는 4K 마스터업을 위해서 1440 X 810 의 만들어진 마스터를 사용해서 UHD로 업컨버트 했다고 합니다. 뭐, 보통의 TV 시리즈들이 1280 X 720로 마스터가 만들어지는 것을 생각하면 OVA인 썬더볼트가 FHD의 해상도도 안 나오는 것이야 그려러니 하고 넘어갑니다만, 생각해보면 건담이라는 대형 프렌차이즈를 FHD 수준으로 마스터를 만들어서 디테일을 더 살린다도 되지 않는 것이 현재의 아니메의 현실이기도 하다는 거라.. 좀 안타깝단 생각도 합니다.
물론 해당 기사에서는 훌륭한 디테일이 나오고 있고 좋은 업 컨버트가 잘 되어 있다고 하지만요.

HDR는 상당히 유용하다고 합니다. 좌의 HDR 화면과 우의 기존 UHD 간의 비교를 해보면, 자쿠에서 빛나는 모노아이같은 장면이나..

위의 스페이스 콜로니의 우주 같은 부분에서 우주의 어두움 암부의 디테일이나(개인적으로는 이 부분은 HDR때문이라기 보다는 UHD BD의 비트 해상도 디테일 때문이라고 생각하지만) 암부 묘사에서 더 어둡게 나와서 좋다고 하네요.

해당 UHD-BD에서 부가영상으로 과거 건담 영상의 HDR 화를 한 것들이 들어 있는데, 아날로그 시절의 작품들의 투과광도 HDR 화 해서 수록한 것이 상당히 좋은 느낌을 받는다고 합니다. 과거 필름이 남아 있으면 이런 컨버팅을 해서 영상이 나와도 좋을 듯 하다고 하네요. 그리고 건담 UC의 사이코 프레임 영상도 있다고 하는데 좋다고 하네요.
전 제작 현장의 현실 때문에 HDR화나 4K화에 부정적이었는데, 이 정도면 고려해서 만드는 쪽은 안 되어도 마스터 영상을 컨버팅해서 나오는 결과물도 괜찮을 것 같습니다. 물론 제가 이런 영상을 보게 될 날은 아주 훗 날일듯 하지만요. 많은 아니메가 이런 HDR 영상과 4K의 도움을 받았으면 싶습니다.

ⓒ 創通・サンライズ
예전부터 HDR과 같은 실감 미디어의 광명이 왜 아니메에 금방 올 수 없는가라는 부분에서 아니메는 왜 실감 미디어의 혜택에서 벗어나 있는가? (링크) 같은 이야길 많이 했습니다만, 뭐 세상은 안 나오는 건 아니지요. 바로 기동전사 건담 선더볼트가 4K HDR로 나왔습니다. 와치 임프레스에서 제작 이야기를 했는데 재미있는 부분들이 많아서 링크와 기사를 소개합니다.

ⓒ 2016 Impress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
HDR 영상의 제작과정은 심플합니다. 기존 애니의 디지털 마스터 영상으로 장면들을 보여주면서 캐릭터와 장면에 따라 감독이 원하는 영상의 밝기를 조정한 것이라고 합니다. 뭔가 자동화와 거리가 먼 장면이지만, 사실 이건 다 그림을 그리는 아니메인 이상 어쩔 수 없는 부분이지요.
재미있는 점은 디지털 마스터의 해상도 입니다. 해당 애니의 해상도는 4K 마스터업을 위해서 1440 X 810 의 만들어진 마스터를 사용해서 UHD로 업컨버트 했다고 합니다. 뭐, 보통의 TV 시리즈들이 1280 X 720로 마스터가 만들어지는 것을 생각하면 OVA인 썬더볼트가 FHD의 해상도도 안 나오는 것이야 그려러니 하고 넘어갑니다만, 생각해보면 건담이라는 대형 프렌차이즈를 FHD 수준으로 마스터를 만들어서 디테일을 더 살린다도 되지 않는 것이 현재의 아니메의 현실이기도 하다는 거라.. 좀 안타깝단 생각도 합니다.
물론 해당 기사에서는 훌륭한 디테일이 나오고 있고 좋은 업 컨버트가 잘 되어 있다고 하지만요.

ⓒ 創通・サンライズ/ 2016 Impress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
HDR는 상당히 유용하다고 합니다. 좌의 HDR 화면과 우의 기존 UHD 간의 비교를 해보면, 자쿠에서 빛나는 모노아이같은 장면이나..

ⓒ 創通・サンライズ/ 2016 Impress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
위의 스페이스 콜로니의 우주 같은 부분에서 우주의 어두움 암부의 디테일이나(개인적으로는 이 부분은 HDR때문이라기 보다는 UHD BD의 비트 해상도 디테일 때문이라고 생각하지만) 암부 묘사에서 더 어둡게 나와서 좋다고 하네요.

ⓒ 創通・サンライズ/ 2016 Impress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
해당 UHD-BD에서 부가영상으로 과거 건담 영상의 HDR 화를 한 것들이 들어 있는데, 아날로그 시절의 작품들의 투과광도 HDR 화 해서 수록한 것이 상당히 좋은 느낌을 받는다고 합니다. 과거 필름이 남아 있으면 이런 컨버팅을 해서 영상이 나와도 좋을 듯 하다고 하네요. 그리고 건담 UC의 사이코 프레임 영상도 있다고 하는데 좋다고 하네요.
전 제작 현장의 현실 때문에 HDR화나 4K화에 부정적이었는데, 이 정도면 고려해서 만드는 쪽은 안 되어도 마스터 영상을 컨버팅해서 나오는 결과물도 괜찮을 것 같습니다. 물론 제가 이런 영상을 보게 될 날은 아주 훗 날일듯 하지만요. 많은 아니메가 이런 HDR 영상과 4K의 도움을 받았으면 싶습니다.
덧글
사실 이런 류의 '머리로 예상한' 후처리란 게 장면별 밸런스를 잡았는지도 의심스럽고. 하여간 보면 알 일이겠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