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DI, 투과율 80%의 LCD 개발. 디스플레이 이야기

有機ELの1.8倍透明なカラー液晶をJDIが開発、NTT/パナソニックの端末に採用へ (와치 임프레스)

高透過 透明カラーディスプレイを開発 (저팬 디스플레이)

저팬 디스플레이가 재미있는 LCD 제품을 발표했습니다. 투명 디스플레입니다.

여기까지만 생각하면 투명 LCD 란게 어제 오늘도 아니라서 라고 말하는데 이번 제품은 무려 투과율이 80%나 됩니다. 거의 유리라고 봐도 될 정도의 놀라운 투과율을 지녔는데 말이져.

ⓒ 2012-2017 Japan Display Inc. All Rights Reserved.


이게 꺼져 있는 상태이고...

ⓒ 2012-2017 Japan Display Inc. All Rights Reserved.


이 것이 LCD가 켜져 있는 상태 입니다. 해당 제품이 이런 놀라운 투과율을 가진 것은 LCD에서 가장 빛을 막는다고 할 수 있는 편광판과 컬러 필터를 탑재하지 않는 현태라서 가능하다고 하는데.. 컬러필터랑 편광판 없이 어떻게 저렇게 색을 표현할 수 있는지 그게 궁금합니다.

일단 제가 생각하는 가장 쉬운 방법은 LED RGB를 순차발광 시키고 액정이 그걸 발광하는 RGB LED의 빛을 시분할로 편광 시켜서 앞으로 보여주는 것이 아닐까? 라는 생각을 하는데 그 외에는 어떤 방법이 있을지 궁금하네요. 해당 기기는 4인치로 300 × 360 의 화소수를 가지고 있다고 하며, 117ppi의 픽셀 밀도와 1600만 컬러가 가능하다고 합니다.

AR 기반 기기를 만들기 위해서 나온 것이라고 하며, 2018년 이후에 양산할 것이고 NTT쪽 모바일 기기에 들어간다고 하네요. 역시 AR 쪽이 유망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투명 OLED보다 1.8배나 투과율이 높다고 자랑인데 실제 얼마나 해당 패널을 사용하는 기기들이 늘지 궁금하네요.

저런 것을 보면 저팬 디스플레이가 대단하긴 합니다.

덧글

  • 타마 2017/02/15 09:51 # 답글

    오오오... 신기하네요.
  • 로리 2017/02/15 13:07 #

    저도 신기합니다.
  • 일곱자 2017/02/15 13:41 # 삭제 답글

    순차발광 이전에 컬러필터없이 RGB를 못만들어서... 순차발광의 의미가 없을듯 합니다;;;
  • 로리 2017/02/15 13:54 #

    Color Filter Less-LCD 라고 있는걸로 컬러 필터가 할 부분을 RGB LED가 순차발광 시키고 그걸 LCD가 빠르게 동작해서 시분할로 이미지 만들 수 있죠
  • 무위도식철방통 2017/02/16 15:50 # 삭제

    LCD는 반응이 느려서 잔상까지 생기는데, 그런 DLP 스런 방식도 쓸 수 있나요?
  • 로리 2017/02/19 18:52 #

    무위도식철방통 > 시퀀설 구동 시키면 되는거죠 화질을 그렇게 생각하지 않는 형태라고 보면 되니까요
  • 일곱자 2017/02/15 16:33 # 삭제 답글

    픽셀별로 자발광 컬러를 가지고있는 led 디스플레이면 lcd라 부를 수가 있나요?
  • 로리 2017/02/15 16:39 #

    액정(liquid crystal)을 사용하는 디스플레이(display)라면 다 LCD라고 부를 수 있는거죠
  • 일곱자 2017/02/15 16:44 # 삭제 답글

    그렇게 되면 빛나지 않을 부분의 구분은 led가 해야하고
    그냥 led 디스플레이를만드는것에 부수적인 역할을 액정에게 맞긴다는 것인가요?
  • 로리 2017/02/15 17:00 #

    물론 제 생각대로 저 디스플레이가 작동하는거라고 확언할 수는 없지만 시퀀설 방식의 LCD라면 RGB LED에서 순차발광하는 빛을 시간에 맞게 액정이 편광 시켜서 원하는 빛만 앞으로 보여주게 하는거니까요. 그렇게 색을 내는거죠
  • 일곱자 2017/02/15 16:49 # 삭제 답글

    명도와 컬러를 led에게 담당하게 하면 액정의 역할이 무엇인지 궁금한 질문입니다.
  • 로리 2017/02/15 17:09 #

    빛을 편광시킨다는 액정의 역활은 별 달라지지 않은게 아닐까 싶습니다.
  • 동동이 2017/02/20 12:43 # 삭제 답글

    RGB 시퀀셜 방식은 샤프도 한 방식이니 큰 의문은 없지만.
    투과율 80프로가 참 궁금하네요.
    편광판이 없는구조 같은데. 어떻게 계조 표현을 했을까요?
  • 로리 2017/02/20 13:54 #

    시퀄설로 계조를 표현하지 않을까요? 투명해야 하니깐.. 다만 위의 이미지만 봐서는 그렇게 정밀한 화질은 못할 것 같습니다.
  • 동동이 2017/02/20 12:46 # 삭제 답글

    편광기능을 갖는 액정이 있으려나요?.
    아시겠지만 액정이야 셔터링만 해주는걸텐데요.
  • 로리 2017/02/20 13:58 #

    아 액정 분자 자체가 일정한 모양을 갖추고 있으면 빛이 통과할때 결국 편광 되지 않나요? 제가 물리적 이해가 부족해서..
  • Zerial 2017/02/24 08:13 #

    http://cfile24.uf.tistory.com/image/25399C42551B53F10CEFC3
    요런식이라 말씀하신대로 액정에서는 셔터 기능을 하는 게 맞긴 한데요,

    ...정말로 액정 하나하나에 색필터를 입힐 수 있으면, 셀로판지같은 느낌으루다 가능할지...도...?
  • 기웃기웃 2017/04/13 21:55 # 삭제 답글

    엣지쪽 광원인거보면 광원 자체가 편광된 빛이 출력될 것 같습니다.
    편광판이나 편광원 없이 랜덤 편광 상태의 빛이 액정층만 통과한다고 해서 편광된 빛이 생성되지는 않습니다.
  • 로리 2017/04/13 23:44 #

    아 그렇군요 감사합니다.
댓글 입력 영역
* 비로그인 덧글의 IP 전체보기를 설정한 이글루입니다.



2019 대표이글루_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