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 엠플러스 펜타일 패널의 딜레마.. 디스플레이 이야기

엠플러스 패널 딜레마 빠진 삼성…지역 구분 판매 등 검토 (전자신문)

ⓒ LG 디스플레이


LG M+ 는 4K 입니까? 아닙니까? (링크) 에서도 말했지만 M+ 패널은 펜타일 패널 기술으로 해당 패널의 4K 인증 문제를 두고 삼성전자-디스플레이와 LG전자-디스플레이가 여러 격론을 벌인 것을 유명한 일입니다.

그런데 열심히 디스한 이 LG 디스플레이의 M+ 펜타일 패널을 삼성전자가 사용해야 할 처지가 되었습니다. 바로 폭스콘과 샤프의 패널 판매 중지 때문입니다. 결국 삼성전자의 중저가 60인치대는 완전 공백지가 되었고 40~50인치대도 중저가형은 부족한 처지가 되었습니다. 오죽하면 이 라인들을 채우기 위해서 그 삼성이 LG 디스플레이에 패널 구입을 요청했겠습니까?

문제는 LG전자도 갑작스러운 주문인만큼 쉽게 주문을 채우기 어렵다는 점 입니다. 그 때문에 주문량을 채우려면 M+ 펜타일 패널을 제안 했나 봅니다. LGD 입장에사도 이거 아니면 주문량을 채워주기 어렵다는 거죠. 여기에 삼성이 딜레마가 생깁니다. 이걸 거절하면 40~60인치 중저가 LCD 라인이 빵꾸가 납니다. 물건이 없어서 못 파는 처지가 되는거죠. 이걸 받아 들이면 지금까지 열심히 욕 했던 펜타일 4K 패널을 잘 포장해서 팔아야 합니다.

기사에서 나오다시피 미주나 유럽 같은 지역에는 4K패널을 팔고 중국이나 동남아나 이런 지역에는 펜타일 4K를 판다던가 지역을 나눈다던가 등급을 나눈다던가 여러 방법이 있을 것이고 삼성 같은 규모있는 회사라면 할 수 있겠지만 삼성 입장에서는 자존심을 접아야 하는 처지가 된 거죠. 정말 홍하이와 샤프가 한 일 때문에 여러 재미있는 일이 벌어집니다.

과연 삼성의 IPS 패널은 어떻게 나올지 궁금합니다. 또 과연 LG는 삼성에게 무엇을 구입하거나 받을지도 궁금해집니다. 단순히 돈거래로 끝나길 두 업체의 존심이 쎄니깐 말이죠.

덧글

  • 긁적 2017/02/20 18:12 # 답글

    세상은 요오지경~~ 요지경 속이라아아~~
  • 로리 2017/02/20 18:14 #

    세상은 어렵네요
  • OLED 2017/02/20 19:00 # 삭제 답글

    삼성이 M+ 깠다고요? RG-BG 펜타일은 열심히 빨아대면서요? 하긴 OLED를 모바일을 빨고 TV는 까니까, 삼적삼이 또 있다고 이상할 건 없지만요.
  • 로리 2017/02/20 19:11 #

    정확히는 M+는 정규 4K 마크를 달 수 없다고 한거죠 ^^
  • OLED 2017/02/20 19:12 # 삭제

    삼성은 RG-BG 펜타일 해상도를 언제나 부풀려서 적고 있습니다. 그런 주제에 M+ 해상도를 제대로 적어야 한다고 주장하다니요. 자기 자신과 싸우는 삼성의 위엄입니다.
  • 데니스 2017/02/21 08:04 # 답글

    "뭐 깐건 삼성 쪼기 부서구 우린 아냐! 갸들은 원래 무조껀 까! 부서라서 그래! 우리랑 달라!
    긍케 우리한테 빨랑빨랑 납품 해달랑께!"

    라고 하면 되겄죠 ㅋㅋ
  • 로리 2017/02/21 14:11 #

    ^^

    생각하면 펜타일 마켓팅 비판한건 삼성전자 VD이고 펜타일 패널 잘 쓰고 있는 스마트폰 부서 생각하면 복잡하긴 한거 같습니다.
  • 다물 2017/02/21 21:10 # 답글

    참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상황인거네요. ㅋㅋㅋ

    LG노트북에 삼성 SSD가 들어가기는 하는 것 같은데, 이거야 선택지가 워낙 적으니 어쩔 수 없는거라고 해야할까요?
  • 로리 2017/02/21 21:12 #

    뭐 메모리쪽은 방법이 없는거라... 넘어갈 수 밖에 없겠죠. 좌우지간 삼성이 이런 모습 보는 것도 오랫만이란 느낌 입니다.
댓글 입력 영역
* 비로그인 덧글의 IP 전체보기를 설정한 이글루입니다.



2019 대표이글루_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