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21:9曲面の34型ゲーミング液晶。NVIDIA G-SYNC対応、144Hz表示 (와치 임프레스)


34 인치에 2560 X 1080 해상도 IPS 144Hz(오버 166Hz)의 스펙을 갖춘 G-SYNC 지원의 34UC89G를 7월 14일 부터 일본 판매를 시작한다고 합니다. 전시만 재대로 안 되거나 뜸을 들린 것이지 LG나 삼성에서 사실 엔비디아 G-SYNC 지원 모니터 개발은 이전부터 계속 나오던 이야기니까요.
결국 G-SYNC로 인한 라이센스 비용의 문제와 구조적으로 모니터 자체의 설계를 엔비디아에게 오픈 하는 형태가 되다보니 자존심의 문제도 있고 말이죠. 11만엔 전후의 가격이라고 하는데, 국내 가격은 어떻게 될지 모르겠지만.. 역시 비쌀 듯 합니다. 결국 LG가 내면 삼성도 제품을 낼 것이고.. 이전부터 G-SYNC 대응 제품 개발에 대해서 소문은 들리고 있던 상황이라, 삼성 쪽도 나올 듯 합니다.
타사 모니터보다 만듦새나 AS 문제가 해결된 만큼 가격은 있겠지만 기대하실 분들이 많을 듯 하네요.


34 인치에 2560 X 1080 해상도 IPS 144Hz(오버 166Hz)의 스펙을 갖춘 G-SYNC 지원의 34UC89G를 7월 14일 부터 일본 판매를 시작한다고 합니다. 전시만 재대로 안 되거나 뜸을 들린 것이지 LG나 삼성에서 사실 엔비디아 G-SYNC 지원 모니터 개발은 이전부터 계속 나오던 이야기니까요.
결국 G-SYNC로 인한 라이센스 비용의 문제와 구조적으로 모니터 자체의 설계를 엔비디아에게 오픈 하는 형태가 되다보니 자존심의 문제도 있고 말이죠. 11만엔 전후의 가격이라고 하는데, 국내 가격은 어떻게 될지 모르겠지만.. 역시 비쌀 듯 합니다. 결국 LG가 내면 삼성도 제품을 낼 것이고.. 이전부터 G-SYNC 대응 제품 개발에 대해서 소문은 들리고 있던 상황이라, 삼성 쪽도 나올 듯 합니다.
타사 모니터보다 만듦새나 AS 문제가 해결된 만큼 가격은 있겠지만 기대하실 분들이 많을 듯 하네요.
덧글
삼성은 뭐 작년부터 나온다고 했었으니 나오긴 할텐데 그 시점이 언제냐가 문제고
실질적으로 최고급 게이밍 모니터는 지싱크, 프리싱크 모니터는 미들부터 로우를 차지하는 모양새라 진짜 이대로 가다간 프리싱크가 문제가 아니라 라데온은 광산업으로 업종 변경할 판이니
스팀 기준으로 보면 라데온은 지포스가 아니라 인텔 내장그래픽하고 경쟁을 하고 있는 판이라 꿈도 희망도 없는 상태로 대체재가 없는 SOC로 게임기에 납품하는거 아니면 그냥 광산 노예로 살아야죠.
솔직히 엔비디아가 프리싱크를 지원한다면 저렴한 가격에 가변 재생률 지원 가능하다는 라데온의 몇 안되는 장점까지 상실하는거라 그냥 라데온 관짝에 못질밖에 안될걸요.
엔비디아 이번에 지싱크 HDR이라고 지싱크의 핵폐기물급 색성능은 그대로 두고 거기다 PQ EOTF만 첨가한다는데 이것도 진짜 코메디가 따로 없죠. PQ EOTF는 RGB가 아닌 색차신호로 담겨지는데 엔비디아 얘네는 애시당초 YCbCr 시그널에서 오류 나는 문제도 해결 못한 상황이잖아요? (폭소) 엔비디아 공식 게시판 가보면 감마 에러 난다고 오만가지 불평글이 있습니다. 맥스웰 AP가 담긴 엔비디아 쉴드는 색차신호 뿐만 아니라 RGB에서조차 오류 나죠? RGB 에러가 제로인 엑원/PS4와 비교하면 참 개안습. PQ EOTF 트래킹도 제대로 지원 못할 쓰레기가 HDR 지원해서 뭐하게요?
지싱크 가지고 정신승리 하는 엔빠들 보면 듀얼 도메인 가지고 약팔이 하던 앱등이들 오버랩이 되서 웃음을 참지 못하겠습니다.
내년 TV들은 일단 프리싱크 게임 모드가 들어갈지 궁금하긴 하네요 HDMI 2.1이라고 꼭 넣을 걱 같진 않아서 다만 들어가면 이제 120hz 입력 같은 것도 해줬으면 합니다.
엔비디아 색 오류는 계측보니 안타깝던.. 그거 PC에서도 같을지 궁금하긴 하더군요 T_T
PS. 그리고 KOF님 말을 너무 심하게 하시는 경향이.. 좀만..
TV쪽의 경우는 120Hz가 네이티브였던 패널들은 모두 프리싱크를 지원할겁니다. 프리싱크 지원의 전제 중 하나가 120Hz 패널 서포트기 때문에 60Hz만 지원하는 삼성 6000 씨리즈 같은 저가형들은 지원하지 못한다고 봐도 무방하겠습니다. 그런 모델군들은 아예 HDMI 2.0 칩셋만 쓸 가능성도 농후하고요. 그런 제품군에 실질적으로 베네핏이 되는 2.1 기술은 동적 메타데이타지만 동적 메타데이타는 삼성도 미드/하이쪽에만 지원해왔고 6000쪽은 바닐라 HDR10만 지원해왔으니까 말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