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디어 LG에서 G-SYNC 대응 모니터가 나옵니다. 디스플레이 이야기

LG、21:9曲面の34型ゲーミング液晶。NVIDIA G-SYNC対応、144Hz表示 (와치 임프레스)



34 인치에 2560 X 1080 해상도 IPS 144Hz(오버 166Hz)의 스펙을 갖춘 G-SYNC 지원의 34UC89G를 7월 14일 부터 일본 판매를 시작한다고 합니다. 전시만 재대로 안 되거나 뜸을 들린 것이지 LG나 삼성에서 사실 엔비디아 G-SYNC 지원 모니터 개발은 이전부터 계속 나오던 이야기니까요.

결국 G-SYNC로 인한 라이센스 비용의 문제와 구조적으로 모니터 자체의 설계를 엔비디아에게 오픈 하는 형태가 되다보니 자존심의 문제도 있고 말이죠. 11만엔 전후의 가격이라고 하는데, 국내 가격은 어떻게 될지 모르겠지만.. 역시 비쌀 듯 합니다. 결국 LG가 내면 삼성도 제품을 낼 것이고.. 이전부터 G-SYNC 대응 제품 개발에 대해서 소문은 들리고 있던 상황이라, 삼성 쪽도 나올 듯 합니다.

타사 모니터보다 만듦새나 AS 문제가 해결된 만큼 가격은 있겠지만 기대하실 분들이 많을 듯 하네요.


덧글

  • 루루카 2017/06/23 21:46 # 답글

    G-SYNC 제품이 나온다는 점이 매우 반갑군요~
  • 로리 2017/06/23 23:15 #

    HDMI 2.1 표준이 프리싱크가 된 이상 엔비디아가 프리싱크를 지원해야 한다고 보지만요
  • 홍차도둑 2017/06/23 21:51 # 답글

    통장에 돈 채워놔야겠습니다. 그렇지 않아도 LG 29인치 IPS 를 꽤 사용한지라 이제 보내줄 때가 됐지 말입니다...
  • 로리 2017/06/23 23:15 #

    저렇게 나왔으니 삼성이나 LG의 다른 제품들도 더 나오지 않을까 싶습니다.
  • rumic71 2017/06/23 22:55 # 답글

    120 정도 하려나요...
  • 로리 2017/06/23 23:15 #

    그 이상 할지도요
  • Centigrade 2017/06/24 03:05 # 답글

    게이밍 PC 시장에서 엔비디아가 절대적으로 강한 이상 프리싱크 지원할 일은 없을겁니다.

    삼성은 뭐 작년부터 나온다고 했었으니 나오긴 할텐데 그 시점이 언제냐가 문제고

    실질적으로 최고급 게이밍 모니터는 지싱크, 프리싱크 모니터는 미들부터 로우를 차지하는 모양새라 진짜 이대로 가다간 프리싱크가 문제가 아니라 라데온은 광산업으로 업종 변경할 판이니
  • 로리 2017/06/24 03:18 #

    다만 기회가 오는게 결국 HDMI 2.1 때문이죠. 여기에 표준이 결국 프리싱크가 되어버려서 내년 TV들이 HDMI 2.1의 싱크 기능을 쓰는 녀석들이 나오게 되면 불만이 나올 수 밖에 없으니까요. 더군다나 콘솔도 XBOX ONE X의 처럼 프리싱크를 지원하고 있고, 차기 모델들에 프리싱크가 AMD때문에 달릴 가능성도 높고요.

  • Centigrade 2017/06/24 15:50 #

    라데온의 가장 큰 문제는 이미 PC시장에선 게이밍 카드로서의 경쟁력을 상실했다는겁니다. AIC로 지포스를 이기는건 베가까지도 무립니다. 코인 채굴붐 덕분에 숨통은 틔였지만...

    스팀 기준으로 보면 라데온은 지포스가 아니라 인텔 내장그래픽하고 경쟁을 하고 있는 판이라 꿈도 희망도 없는 상태로 대체재가 없는 SOC로 게임기에 납품하는거 아니면 그냥 광산 노예로 살아야죠.

    솔직히 엔비디아가 프리싱크를 지원한다면 저렴한 가격에 가변 재생률 지원 가능하다는 라데온의 몇 안되는 장점까지 상실하는거라 그냥 라데온 관짝에 못질밖에 안될걸요.
  • 로리 2017/06/24 15:54 #

    뭐 그런 문제를 떠나 결국 HDMI 표준 기술인 이상 지포스도 이제 프리싱크를 지원해야하지 않나 싶습니다. 사실 고급 TV들이 2.1되면 프리싱크 지원할 것이라서.
  • Centigrade 2017/06/24 16:00 #

    황가놈 인성 보면 지싱크 팔아야되니까 안할걸요. 어떻게든 막아버릴겁니다. 엔비디아 인성질 하던게 하루이틀 일이 아니라
  • 로리 2017/06/24 16:03 #

    사실 TV기술들 무지 발전되고 있다보니... 저러면 PC 모니터는 더 뒤쳐질텐데 생각만.. 특히 지싱크 구조가 캘리랑은 거리가 먼 구조인 듯 하고요 후... T_T
  • isotoxin 2017/06/24 14:05 # 답글

    푸하하 엔비디아는 이미 랩탑쪽에서 프리싱크를 지원한지 오래입니다. 아무리 지싱크라고 정신승리해봐야 지싱크에서 모듈 빠지면 그게 프리싱크죠. TN 따위가 대다수를 차지하는 게임용 모니터에서 하이엔드 미드레인지 로우를 구분하는것도 코메디지만 설령 캘리브레이션 성능을 통해 그런 등급이 나뉘어진다고 가정해도 지싱크는 그런 베네핏을 전혀 써먹을수가 없습니다. 이미 LG OLED는 프리싱크에서 ISF 캘리브레이션을 지원하는 방향으로 작업중이니 프리싱크는 엄청나게 성장하고 있는 반면에 지싱크는 여전히 OSD로 색조정도 안되는 폐기물급 쓰레기 모듈 형식을 여전히 고수하고 있는 구시대의 유물이죠. 그러니 인텔에게조차 버림 받죠.

    엔비디아 이번에 지싱크 HDR이라고 지싱크의 핵폐기물급 색성능은 그대로 두고 거기다 PQ EOTF만 첨가한다는데 이것도 진짜 코메디가 따로 없죠. PQ EOTF는 RGB가 아닌 색차신호로 담겨지는데 엔비디아 얘네는 애시당초 YCbCr 시그널에서 오류 나는 문제도 해결 못한 상황이잖아요? (폭소) 엔비디아 공식 게시판 가보면 감마 에러 난다고 오만가지 불평글이 있습니다. 맥스웰 AP가 담긴 엔비디아 쉴드는 색차신호 뿐만 아니라 RGB에서조차 오류 나죠? RGB 에러가 제로인 엑원/PS4와 비교하면 참 개안습. PQ EOTF 트래킹도 제대로 지원 못할 쓰레기가 HDR 지원해서 뭐하게요?

    지싱크 가지고 정신승리 하는 엔빠들 보면 듀얼 도메인 가지고 약팔이 하던 앱등이들 오버랩이 되서 웃음을 참지 못하겠습니다.
  • 로리 2017/06/24 14:08 #

    사실 엔비디아도 HDMI 2.1 표준이나 베사 디스플레이 포트 표준 생각하면 사실 프리싱크 지원은 드라이버로 그냥할 수 있을 듯 한데 말이죠. 자사 지싱크가 좋다면 그건 놔두고 표준 싱크 기술은 지원 했으면 싶습니다.

    내년 TV들은 일단 프리싱크 게임 모드가 들어갈지 궁금하긴 하네요 HDMI 2.1이라고 꼭 넣을 걱 같진 않아서 다만 들어가면 이제 120hz 입력 같은 것도 해줬으면 합니다.

    엔비디아 색 오류는 계측보니 안타깝던.. 그거 PC에서도 같을지 궁금하긴 하더군요 T_T


    PS. 그리고 KOF님 말을 너무 심하게 하시는 경향이.. 좀만..
  • isotoxin 2017/06/24 14:28 #

    프리싱크는 HDMI측에서 공식 스펙으로 인정되었기에 엔비디아 걔네들도 HDMI에서만 지원할겁니다. 애시당초 지싱크나 PC용 프리싱크나 디스플레이포트 표준 시그널링이 네이티브기 때문에 AMD 또한 PC쪽은 그대로 DP 기반의 프리싱크를 지원하고 HDMI쪽은 다른 시그널링으로 변환된 프리싱크를 출력할거니 엔비디아도 마찬가지 전철을 밟을거라 생각이 듭니다. HDMI 2.1을 지원한다고 해서 모든 2.1 스펙을 준수하는건 아니지만 적어도 디스플레이 어댑터쪽에서 가변 리프레쉬 레이트를 미지원할순 없는것입니다. 내년이면 인텔 또한 2.1 대응으로 HDMI 방식 프리싱크를 100% 지원할게 뻔한데 IGP도 아닌 디스크리트형인 지포스가 몽니 부리겠답시고 미지원한다면 그거는 그거대로 두고두고 놀려먹어야겠죠. ^^ 지포스의 색차신호 오류는 저도 지포스 600 씨리즈로 몸소 겪었습니다. 라데온과 달리 리미티드와 풀레인지의 감마 자동 변환이 전혀 안됩니다. 그래서 저도 지포스 쓸 땐 TV까지 RGB로 설정했습니다.

    TV쪽의 경우는 120Hz가 네이티브였던 패널들은 모두 프리싱크를 지원할겁니다. 프리싱크 지원의 전제 중 하나가 120Hz 패널 서포트기 때문에 60Hz만 지원하는 삼성 6000 씨리즈 같은 저가형들은 지원하지 못한다고 봐도 무방하겠습니다. 그런 모델군들은 아예 HDMI 2.0 칩셋만 쓸 가능성도 농후하고요. 그런 제품군에 실질적으로 베네핏이 되는 2.1 기술은 동적 메타데이타지만 동적 메타데이타는 삼성도 미드/하이쪽에만 지원해왔고 6000쪽은 바닐라 HDR10만 지원해왔으니까 말입니다.
  • dsad 2017/06/25 12:12 # 삭제 답글

    그냥 해상도가 너무아쉽네요.. 79g 쓰고있지만 2달만에 불량화소 나오고..패널교체 안된다하고..
  • dsad 2017/06/25 12:17 # 삭제

    추가로 79g에서는 144hz 전부 출력을 못해서 아쉽네요 144hz지만 실제로는 120hz정도 출력을하고...프레임수 높을수록 화면은 어두워지고..89g에서는 개선됬을거라 믿어봅니다..이상 79g쓰는 불만러였습니다
  • 착선 2017/06/29 06:39 # 답글

    최근에 34um59를 질렀습니다.. 그러니 이런 상위 제품이 눈에 들어오기 시작하네요
  • 로리 2017/06/29 13:01 #

    뭐 실제 하드코어하게 게임 안 한다면 그리.. 싶긴 합니다.
댓글 입력 영역
* 비로그인 덧글의 IP 전체보기를 설정한 이글루입니다.



2019 대표이글루_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