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P、NVIDIA BFGD準拠の65型ゲーミングディスプレイ「OMEN X 65 Big Format Gaming Display with NVIDIA G-SYNC」(와치 임프레스)

엔비디아가 제창한빅 퍼킹 건 BFGD(Big Format Gaming Display)의 HP 시제품이 CES에서 전시가 되었나 봅니다. 해당 규격에 대한 이야기는 제 블로그의 영상업체를 이기기 위한 엔비디아의 여러 고민의 결과 BFGD (링크)나 계란소년님의 엔비디아, 65인치 4K HDR G싱크 디스플레이 발표 (링크)의 글을 읽으시면 될 듯 합니다.
이번 가을에 나오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사양이나 이미지는 좋았었는데.. 아직 시제품이라지만..

ATX 파워 서플라이 쓰고 있지 않나...

전체적인 마감도 영...입니다.
물론 아직 시간이 있으니 이런 저런 부분들은 다듬어서 나오겠죠. 그런데 HP 정도의 개발 여력을 가진 업체가 이렇다면 실제 아수스니 에이서니 대만 조립 업체들이 주도할 듯 한데 어떤 수준으로 나올지 모르겠습니다. 가격 역시 이상하게 숨기고 있는 것이 이해가 어려운 부분인데.. 말이죠. 걱정이 됩니다.

ⓒ 2018 Impress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
엔비디아가 제창한
이번 가을에 나오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 2018 Impress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
사양이나 이미지는 좋았었는데.. 아직 시제품이라지만..

ⓒ 2018 Impress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
ATX 파워 서플라이 쓰고 있지 않나...

ⓒ 2018 Impress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
전체적인 마감도 영...입니다.
물론 아직 시간이 있으니 이런 저런 부분들은 다듬어서 나오겠죠. 그런데 HP 정도의 개발 여력을 가진 업체가 이렇다면 실제 아수스니 에이서니 대만 조립 업체들이 주도할 듯 한데 어떤 수준으로 나올지 모르겠습니다. 가격 역시 이상하게 숨기고 있는 것이 이해가 어려운 부분인데.. 말이죠. 걱정이 됩니다.
덧글
지싱크 모니터들이 1000달러 찍는판이라
최대 문제는 저게 1500불대 같은 엄청나게 좋은 가격으로 나와도 결국 최대의 문제인 본체에 들어갈 비용을 과연 모니터에 쓸 것인가가 가장 큰 문제라고 봅니다.
이게 다 지포스 점유율이 받쳐주니까 가능한 행동이지만요
LG 조차 OLED TV를 미국보다 2배 이상도 받아먹고, 살벌한 ASUS 프리미엄 감안하면 미친 가격이지만 납득되더군요.
아무튼 직하형 백라이트, 엔비디아 전용 기술, 모험적인 투자에 소량 생산될 것 감안하면 진짜 미친 가격 나올지도 모르겠습니다.
흠.. VIZIO D 시리즈 같은데요.. https://www.vizio.com/compare/#d-series
VIZIO OEM모델에 쉴드가 대신 들어간거 같은데..사양은 위에 것과 거의 비슷합니다..
VIZIO는 D 시리즈 65인치 $850.. 여기에 쉴드 가격($180-200)에 엔비디아 브랜드 가격 얹으면 싸게 팔아야 $999 일껍니다.. 잘해야 $899 정도?
120hz 입력이 될지 아닐지가 중요할 듯 하네요. 60hz 입력에 모션만 120hz 같은 형태라면 뭐 1000달러 정도겠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