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 G7 ThinQ Smartphone Review (notebookcheck)


1. 진짜 999cd/m² 이 나오네요. 사실 이런 밝기가 나온다가 대단한게 아니라.. 이런밝기를 나오게 하면서 DCI-P3 의 광색역이 LCD에서 성공했다는 점이 대단한 것이 아닐까 합니다.
2. 다만 색온도와 컬러 정확도 부분에서 표준 컬러와는 먼 형태입니다 가장 색온도가 낮게 셋팅된 시네마 모드에서조차 7400K를 넘고, 일반 자동모드에서는 8700K까지 올라가서 표현됩니다. 일각에서 말하든 퍼런 화면이 나온다는 이야기가 정말이란 것이죠. 아쉬운 부분,.
3. 자동밝기를 해제해도 최대 밝기가 591cd/m² 가 나온다고 하니 대단한 일입니다. 다만 여기서 계측한 흑색 휘도는 0.49cd/m² 으로 OLED에 비빌바도 아니고 G6보다 못한 수치 입니다. 밝기가 높아지다보니 희생당했다라고 밖에 말을 못하겠네요. 전체적으로 밝기와 광색역을 얻은 대신 컬러 정밀도 같은 부분에서 잃어버린게 있다군요.
펜타일까지 써서 결국 이런 것 보면 역시 이제 모바일에서 LCD는 OLED에 번인 문제 말고 따라갈 방법이 없나? 고민하게 만듭니다. 그럼에도 이 제품의 밝기 같은것 보면 밝은 낮에서 쓰는 폰으로는 역시 LCD 다 싶기도 하네요.


1. 진짜 999cd/m² 이 나오네요. 사실 이런 밝기가 나온다가 대단한게 아니라.. 이런밝기를 나오게 하면서 DCI-P3 의 광색역이 LCD에서 성공했다는 점이 대단한 것이 아닐까 합니다.
2. 다만 색온도와 컬러 정확도 부분에서 표준 컬러와는 먼 형태입니다 가장 색온도가 낮게 셋팅된 시네마 모드에서조차 7400K를 넘고, 일반 자동모드에서는 8700K까지 올라가서 표현됩니다. 일각에서 말하든 퍼런 화면이 나온다는 이야기가 정말이란 것이죠. 아쉬운 부분,.
3. 자동밝기를 해제해도 최대 밝기가 591cd/m² 가 나온다고 하니 대단한 일입니다. 다만 여기서 계측한 흑색 휘도는 0.49cd/m² 으로 OLED에 비빌바도 아니고 G6보다 못한 수치 입니다. 밝기가 높아지다보니 희생당했다라고 밖에 말을 못하겠네요. 전체적으로 밝기와 광색역을 얻은 대신 컬러 정밀도 같은 부분에서 잃어버린게 있다군요.
펜타일까지 써서 결국 이런 것 보면 역시 이제 모바일에서 LCD는 OLED에 번인 문제 말고 따라갈 방법이 없나? 고민하게 만듭니다. 그럼에도 이 제품의 밝기 같은것 보면 밝은 낮에서 쓰는 폰으로는 역시 LCD 다 싶기도 하네요.
덧글
OLED가 야외에선 더최고입니다. 이제는 말이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