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위가 아수스 PG27UQ로 알고 있고 아래 사진이 에이서 Predator X27 인데 내부에 FPGA 로 만든 G-SYNC 보드 발열 때문에 쿨러를 달았고, 아수스 PG27쪽이 에이서 X27보다는 조용하다고 합니다. 저 부분 막혀 있으면 X27이 상당히 쿨러가 굉음을 내니깐 떼어 놓는게 좋다고 하는... 그런데 왜 저렇게 설계를 한거냐.. 역시 PC 제소사들은.. 싶은(편견)

지싱크 144Hz 제어를 위해서 FPGA 를 쓰고 메모리만 DDR4 3기가를 쓰고 있습니다. 그만큼 실시간으로 쓰는 데이터량이 많은 것도 있고 동기연결이란게 쉽지 않아서 일껍니다. 더군다나 판매량이 엄청나지도 않으니 AISC 하나 뽑는 것보다 일단 FPGA 같은 것으로 모듈 만들자 일 것이고.. 더군다나 이제 시작한 기술이라서 버그수정(?) 같은 것을 해야 할지도 몰라서 저렇게 갔을 가능성이 높다고 봅니다. 자연스럽게 모니터 판매량이 높아지면 AISC 뽑을 가능성은 높다고 봅니다.
이 비슷하게 했던 것이 3D TV와 HDMI 1.1~1.2a 시절인데 HDMI 규격 자주 바뀌고, 3D 구현할때 아직 칩셋 구현 안 되니깐 FPGA 달아서 일단 구현하고 나중에 생산된 TV를 AISC로 바꾼 케이스들이 있으니 비슷한 것 같습니다. 4:2:2 로 4K 144Hz 까지 간다고 해도 역시 데이터량이 많기도 해서 저렇게 구현을 하는 것이 아닐까 하네요.
사실 HDMI 2.1 에서 4K 120Hz 가 되어서 원칩으로 간단하게 구현되진 않을껍니다. 나름 저런 처리보드가 필요하겠죠. 다만 HDMI 포럼에서 표준안으로 되면 엄청나게 많은 제조사들이 달려들고 TV 제조사들이 달려드니깐 전체적으로 빠르게 보드나 처리장비가 싸지는거... 물량의 승리가 될 것인데 과연 엔비디아가 그걸 해낼 수 있을지 궁금하긴 합니다.
어떨려나 하네요
덧글
FPGA를 모니터에 쓰는 케이스들이 없는건 아닌데.. 바로 하드웨어 캘리브레이션으로 3D LUT 처리하는 제품들이 쓰는데 그 놈들 가격 생각하면... 거긴 표준화가 어려운 쪽이니 납득이라도 하지 말이죠.(삼성은 그거 자사 사이니지 제품 있다고 AISC 썼다는 ㄷㄷㄷ한 이야기)
젤 궁금한게 과연 HDMI 2.1 이후에 과연 엔비디아의 그래픽 카드들은 VRR을 HDMI 단자에서 쓸 것인가 아닐 것인가 궁금하긴 한데.. 정말 이런 것 보면 안 풀어줄 것 같긴 하네요.
ASIC으로 기존의 지싱크를 대체하는게 상식적인 방법이긴 한데, 뭔가 이유가 있겠죠
그렇다고 지싱크 모니터들 펌업이라도 해주는것도 아니고, 가능성 있는 부분이 각 모니터마다 지싱크 세팅값이 다르기 때문에 FPGA를 사용할 수도 있긴 합니다. 패널마다 ASIC 하나씩 찍어내는건 무리니
해당 기능은 모니터마다 개별 튜닝이 필요할테니까요. 해당 기술이 의미가 있긴 합니다. 프레임의 급격한 변화가 생길때는 해당 기능의 역할이 꽤 크거든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