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디어 HDD를 대체할 수 있을까? IT 이야기

삼성전자, 업계 첫 ‘소비자용 4비트 SSD’ 양산 (삼성 뉴스룸)



드디어 QLC(Quad Level Cell) 방식의 SSD를 만들어내는 군요. 사실 부팅과 OS용이라면 잦은 데이터 읽고 쓰기를 하겠지만 데이터 저장용의 대용량에서는 실제 읽기 능력을 유지하는 쪽과 안정성을 생각하기만 하면 되는 것을 보면 QLC도 해볼만하지 않나 싶었는데 드디어 이전을 하네요.

물론 당장에 컨트롤러나 초기 제품 조정 문제들 생각하면 두고봐야할 제품입니다만.. 결국 소음이 없고 전력소모 적고 PC 안에 들어갈 단위면적을 생각하면 저만한게 없는데 말이죠. 당장 하드 디스크도 밀도 상승이 한계가 온 것 같다 생각하면 빠르게 저런 SSD가 퍼졌으면 합니다.

뭐 역시 문제는 데이터센터들이 저런거 또 빨아들여서 일반 소비자용에 안 오는거지만요 T_T

덧글

  • RuBisCO 2018/08/08 14:21 # 답글

    840의 악몽을 기억한다면 절대 1세대는 피해야죠.
  • 로리 2018/08/08 14:22 #

    다나와 덧글란을 보고 안정화가 되었다 이야기가 될때까지.. 피해야
  • QLC 2018/08/08 14:33 # 삭제

    840 데이타 깨짐을 생각하면, TLC만 해도 전원 없이 데이타 장기 보존이 안 되고,일정 간격으로 읽어서 다시 써줘야 했습니다. QLC는 쓰기 수명도 짧은데 더 자주 다시 써야 하겠지요.
    QLC 용량은 TLC에서 최대 33% 늘어나는데, 그나마 더 강력한 에러 정정 코드와 더 큰 여유 블럭을 둬야하니, 실제 용량은 30%도 안 늘어날 겁니다. 댓가는 쓰기 속도, 안정성, 쓰기 수명 등이 크게 줄어든 거고요. 이제 비트/셀 올리는 건 거의 한계입니다. 공정 미세화도 쓰기 수명과 안정성 때문에 거의 한계고요. 앞으로 SSD 용량이 크게 올라갈 방법은 V-NAND 정도만 남았네요.
  • QLC 2018/08/08 14:34 # 삭제

    840도 TLC 안정화 되었다고 믿었는데, 꽤 지나서 터졌지요. QLC도 안정화 되었다는 말 나오고도 몇 달은 기다리는 게 좋을 겁니다.
  • 천하귀남 2018/08/08 14:40 #

    그러고 보면 SSD는 전하누설 문제로 다시 쓰기가 필요한데 어지간한 메이커 치고 그 부분의 오류로 홍역한번은 다 치렀군요.이것도 처음 나오면 주의해야 하긴 하겠습니다.
  • RuBisCO 2018/08/08 15:16 #

    더 지독한건 샘슝 이자식들 소송당하면서까지도 리콜은 절대 안했던걸 생각하면.
  • QLC 2018/08/08 16:04 # 삭제

    QLC에서 전하누설은 잘 틀어막을 겁니다. SLC, MLC에선 딱히 이 문제가 안 드러났는데, 누설로 문제 생기는 시간이 충분히 길어서일 겁니다. TLC부터 누설이 진짜 문제가 되었지요. TLC에서 데어 봤으니, QLC도 당연히 대비 할테고요. QLC 누설이 TLC보다 훨씬 빠르니, 실제 실험하고 검증하기도 쉬울 겁니다.
    저는 그보다 QLC 쓰기 수명이 얼마나 될지 궁금합니다. TLC SSD는 실용적으로 문제 없다는 결론이 나왔는데요. QLC는 과연 어떨까요?
  • QLC 2018/08/08 16:06 # 삭제

    리콜은 고사하고, 악질 소비자로 몰지 않은 것만 해도 은총이지요. 노트7 터진 것도 블랙 컨슈머라고 몰았습니다.
댓글 입력 영역
* 비로그인 덧글의 IP 전체보기를 설정한 이글루입니다.



2019 대표이글루_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