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비디아 BFGD.. 이러면 살 이유가 있나.. 디스플레이 이야기

'Nvidia BFGD lancering in Q1 2019, prijs tussen 4- en 5000 euro' (하드웨어 인포)



"BFGD"(Big Format Gaming Display) 가 무엇인지 알고 싶다면 저의 이전 글인 영상업체를 이기기 위한 엔비디아의 여러 고민의 결과 BFGD (링크) 란 글을 참조하셨으면 합니다.

좌우지간 이 BFGD 가 무려 4~5000유로(!)에 내년 1/4분기는 되어야 나올 수 있다는 이야기가 떴습니다.

솔직히 저 가격에 경쟁력이 있을지 모르겠습니다. 내년 분기에서 해당 가격이라면 4K/120P 입력이 지원되는 LG, 삼성, 소니의 고오오급 레스..아니 비싼 고급 TV들이 해당 가격을 받고 나올 시점입니다.

물론 그런 TV들이 게이밍 모니터가 아니기 때문에 한계가 분명히 있습니다. 그럼에도 HDMI 2.1지원의 제품들은 프리싱크를 달고 있고 4K 120P 입력같은 하이프레임 지원으로 게이밍을 나름 생각해서 나올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런 전문 TV제조사들의 제품과 아수스라던가 에이서 같은 중소 조립업체가 엔비디아에 블랙박스 받아서 조립하는 업체들과 비교가 될지 모르겠습니다.

개인적인 입니다만 지싱크를 제외하면 HDR 효과 문제부터 만듦새와 QC 문제까지 같은 가격에서 엔비디아의 저 제품을 사야할 이유가 있을까 합니다.

덧글

  • eggry 2018/08/25 17:32 # 답글

    그 돈이면 65인치 OLED TV를 사지... 1500달러 넘으면 의미 없는 사양;;
  • 로리 2018/08/25 17:55 #

    솔직히 에이서, 아수스 , HP가 나올 대형 모니터 디자인도 빤해서... 더더욱 기대가 안 되죠.
  • ㅇㅇ 2018/08/25 18:14 # 삭제 답글

    롤렉스가 없어서 못 팔 정도로 세계 경제가 호황이라지만 아무리 그래도 저 가격이면 망해야죠.
    삼성의 최근 행보는 못마땅 하지만 삼성이 만듬세가 떨어질리 없을테고, LG가 19년 OLED TV에 HDMI 2.0 달고 나오진 않겠죠.
  • 로리 2018/08/25 19:01 #

    롤렉스가 잘 팔리는건 어디까지나 상위소득자들이 느는 거고.. 사실 저것도 상위소득 게이머 시장이 커지고 있다보니 그거 노리는 거죠. HDMI 2.1 나오면서 가변 싱크 달고 고급 TV 나오면 AMD 계열이 유리해지니 어떻게든 손 쓰는 건데.. 솔직히 저 가격은 문제가 크죠
  • ㅇㅇ 2018/08/25 19:48 # 삭제

    하지만 AMD는 HDMI 2.1 버프 받을만한 GPU가 없죠.
    로드맵을 봐도 꿈도 희망도 없는데...
  • 로리 2018/08/25 19:51 #

    PS5와 차기 XBOX를 기다려야 합니다. 흑흑
  • 흐드미 2018/08/31 11:16 # 삭제

    2.1이야 gpu 마이너 리비전으로도 되지요. 공정축소 등을 할 때, 흐드미 버전도 올리고, av1,등 동영상 코덱도 넣으면 되겠네요.
  • Eraser 2018/08/25 19:30 # 답글

    지싱크 지원하는거 말고는 이렇다 할 차별점도 없는 제품인데 동일크기의 LCD TV랑 비교하면 2배이상 비싸고..
  • 로리 2018/08/25 19:52 #

    뭐 1000cd 재대로 나온다면 저만한 HDR 제품이 없기도 합니다.
  • ㅇㅇ 2018/08/25 19:55 # 삭제

    나름 신경은 써서 퀀텀닷 광색역 고급 패널에 직하형 백라이트 사용하더군요.
    가격 책정이 엉터리지 제품은 엉터리로 나오지 않을 겁니다.
  • 로리 2018/08/25 20:00 #

    그런데 솔직히 실제 화질이 잘 나올지는 좀 두고봐야지 않을까 싶긴 합니다. 영상 처리 회로나 전체적인 만듦새가... 음 잘 할지..
  • ㅇㅇ 2018/08/25 20:18 # 삭제

    개발 목적이 찰나의 순간에 대응하는 제품이다 보니 영상 처리 회로가 이것저것 개입할 여지나 백라이트 정밀하게 컨트롤 할 시간은 없을거 같습니다.
    패널은 좋은거 사용하니 목적에 충실한 기본은 하는 제품이 나오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절대적인 화질은 당연히 OLED가 최고겠죠.
    하지만 가격 책정이 엉터리라 망해야죠.
  • Centigrade 2018/08/25 22:36 # 답글

    문제는 그냥 라데온이 망해버려서 ㅋ

    저거 PC용 게이밍 디스플레이라 TV랑 비교하는건 좀 어렵습니다.
  • 로리 2018/08/25 23:01 #

    문제는 4000~5000 유로가 되면 TV랑 비교될 수 밖에 없죠
  • Centigrade 2018/08/25 23:11 #

    27인치를 2000달러에 파는 애들이 65인치를 싸게 팔리가 ㅇ벗잖아요
  • dfa 2018/08/26 01:55 # 삭제 답글

    그런데 hdmi 2.1이 프리싱크 기본 지원이면

    나중에 엔비디아 그래픽카드가 2.1 달고 나오면 프리싱크 사용이 가능해 진다는 건가요?

    그럼 엔비디아 카드로 프리싱크랑 지싱크랑 동시에 사용할 수 있다는 뜻이 되는데...
  • 로리 2018/08/26 10:32 #

    뭐 그런데 엔비디아가 그걸 활성화 할 것 같진 않습니다. 얼마든지 비활성화 할 수 있죠
  • 설봉 2018/08/27 13:58 # 답글

    음.. 다른 걸 다 떠나서 아무리 하드코어 게이밍 기어 시장 수요가 있다고 해도.. 가격이 너무 비싼게 아닌가 싶네요. 저 정도 가격이면 시장 자체가 하이엔드 오디오 정도에 그치지 않을런지.. 스펙을 보면 딱히 기술이 발전한다고 단가가 내려갈 여지가 보이지도 않고요.
  • 로리 2018/08/27 17:41 #

    사실 저건 HDMI 2.1 경제용이긴 합니다. 이제 스슬 하이엔드 TV들이 게이밍 모드 달아서 나올 때라서요
  • 은이 2018/08/27 15:18 # 답글

    AMD는 무한 삽질중이니 모니터 정도 망해도 뭐 상관없어~ 하고 막 질러대는거 같긴 합니다... -_-;;
  • 로리 2018/08/27 17:42 #

    막 질러 댄다기 보다는 HDMI 2.1 달고 나올 하이엔드 티비들 견제용이죠
댓글 입력 영역
* 비로그인 덧글의 IP 전체보기를 설정한 이글루입니다.



2019 대표이글루_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