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롯데컬처웍스와 미래형 디지털 영화관 구축 (삼성전자 뉴스룸)

삼성 전자의 마이크로(?) LED 시네마 시스템인 오닉스를 사용한 Super S 시네마를 롯대 시네마 건대 입구역에 구축하고 12월 1일에 오픈을 한다고 합니다. 300cd/m² 의 밝기와 4K 해상도를 지닌 영화관으로 하만의 JBL 오디오 시스템으로 사운드를 구성해놓았고, 영화관내의 키오스크는 스마트 시스템으로 갤럭시 탭 S4를 사용한다고 합니다.
일단 HDR 표현과 휘도면에서는 이 LED 시스템보다 나은 영화관은 없을껍니다. 특히 한국 영화관의 매우 고질적인 문제인 마스킹 문제도 자유로울테고 말이죠. 사실상 삼성과 롯데가 같이 가는 것인데... 기존 영화관 구축비에 얼마나 더 들어가는지가 포인트가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그리고 상영 시스템 노후화로 인한 교체 비용도 말이죠.
뭐 제가 사는 부산은 언제 들어올지 아무도 모르는게 문제이지만요. 개인적으로는 저런 쪽보단 빨리 돌비 시네마 인증 상영관이나 생겼으면 싶기도 하지만요.

삼성 전자의 마이크로(?) LED 시네마 시스템인 오닉스를 사용한 Super S 시네마를 롯대 시네마 건대 입구역에 구축하고 12월 1일에 오픈을 한다고 합니다. 300cd/m² 의 밝기와 4K 해상도를 지닌 영화관으로 하만의 JBL 오디오 시스템으로 사운드를 구성해놓았고, 영화관내의 키오스크는 스마트 시스템으로 갤럭시 탭 S4를 사용한다고 합니다.
일단 HDR 표현과 휘도면에서는 이 LED 시스템보다 나은 영화관은 없을껍니다. 특히 한국 영화관의 매우 고질적인 문제인 마스킹 문제도 자유로울테고 말이죠. 사실상 삼성과 롯데가 같이 가는 것인데... 기존 영화관 구축비에 얼마나 더 들어가는지가 포인트가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그리고 상영 시스템 노후화로 인한 교체 비용도 말이죠.
뭐 제가 사는 부산은 언제 들어올지 아무도 모르는게 문제이지만요. 개인적으로는 저런 쪽보단 빨리 돌비 시네마 인증 상영관이나 생겼으면 싶기도 하지만요.
덧글
야외 LED 전광판이 한여름 뜨거운 땡볕 아래서도 잘 보이는 걸 보면, 밝기는 많이 올려도 전력이나 발열 문제는 없을 겁니다.
위의 에스j님이 말씀하신대로 전체 시스템 발열을 생각해야 합니다. 소니의 비슷한 시스템의 쿨링 솔루션을 보시면... 삼성도 결국 비슷할 것이란 말이죠.
저도 돌비인증 시네마를 기대중입니자
하지만 mLED는 편광도 어떻게든 감당할 수 있겠지요. 물론 3D 해상도 1/2 날려 먹는 문제도 있으니, 극장에선 제발 안 쓰길 바랍니다.
롯데에서 브랜드를 SUPER S라고 했더라고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