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시네마 사업부는 롯데 시네마와 연계하나 보네요. A/V 이야기

삼성전자, 롯데컬처웍스와 미래형 디지털 영화관 구축 (삼성전자 뉴스룸)



삼성 전자의 마이크로(?) LED 시네마 시스템인 오닉스를 사용한 Super S 시네마를 롯대 시네마 건대 입구역에 구축하고 12월 1일에 오픈을 한다고 합니다. 300cd/m² 의 밝기와 4K 해상도를 지닌 영화관으로 하만의 JBL 오디오 시스템으로 사운드를 구성해놓았고, 영화관내의 키오스크는 스마트 시스템으로 갤럭시 탭 S4를 사용한다고 합니다.

일단 HDR 표현과 휘도면에서는 이 LED 시스템보다 나은 영화관은 없을껍니다. 특히 한국 영화관의 매우 고질적인 문제인 마스킹 문제도 자유로울테고 말이죠. 사실상 삼성과 롯데가 같이 가는 것인데... 기존 영화관 구축비에 얼마나 더 들어가는지가 포인트가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그리고 상영 시스템 노후화로 인한 교체 비용도 말이죠.

뭐 제가 사는 부산은 언제 들어올지 아무도 모르는게 문제이지만요. 개인적으로는 저런 쪽보단 빨리 돌비 시네마 인증 상영관이나 생겼으면 싶기도 하지만요.

덧글

  • 8khdr 2018/12/03 20:02 # 삭제 답글

    이왕이면 8k면 더 좋을텐데요. 업스케일 해서 보여주면 되고요. 밝기도 너무 낮아요.
  • 로리 2018/12/03 20:03 #

    밝기는 암실 환경이니깐 문제 없죠. HDR 표현을 줄때 버스트 걸 수도 있을 것이고.. 8K는 아쉽긴 한데 다음을 기약해야할 듯 합니다. 이런 경우에는 저런 고정식은 프로젝터보다 너무 비싸긴 하죠
  • 8khdr 2018/12/03 21:58 # 삭제

    갤럭시도 1000 찍는데, 300은 너무 하네요. 저 크기에 4k면 서브픽셀도 큼직할테니, 밝기 올리기도 쉬울텐데요. 설마 번인 때문에 밝기 제한 걸었을까요?
  • 로리 2018/12/03 21:59 #

    전력소모랑 발열 생각해야죠 그 작은거하고 같나요 10m 크기를 생각해보세요
  • 8khdr 2018/12/03 23:10 # 삭제

    전력 소모야 화면 커지면 당연히 커지죠. 면적당 발열은 스마트폰보다도 낮을텐데, 거창한 냉각기를 붙여도 되는 극장용에선 문제 없습니다.
    야외 LED 전광판이 한여름 뜨거운 땡볕 아래서도 잘 보이는 걸 보면, 밝기는 많이 올려도 전력이나 발열 문제는 없을 겁니다.
  • 에스j 2018/12/04 03:31 #

    화면이 뜨거워지는 게 아니라 회로가 뜨거워집니다. 노트북 모니터가 크기 커지든 해상도가 존나 올라가든 쿨링팬 하나 안 붙는 대신 메인보드엔 존나 많이 들어가는 이유죠. 그리고 마이크로 led는 번인과 무관합니다. 야외 전광판도 냉각팬이 존나 대단합니다. 이런 개념의 물건을 극장에 그냥 때려박는다고요? 농담도 심하셔라.
  • 로리 2018/12/04 09:40 #

    http://roricon.egloos.com/4115961

    위의 에스j님이 말씀하신대로 전체 시스템 발열을 생각해야 합니다. 소니의 비슷한 시스템의 쿨링 솔루션을 보시면... 삼성도 결국 비슷할 것이란 말이죠.
  • 8khdr 2018/12/06 16:56 # 삭제

    야외에서 한여름 땡볕 맞아도 냉각 되는데, 극장에선 더 잘 되겠지요. 냉각은 수냉식 쓰면 시원하고 조용합니다.
  • 로리 2018/12/06 17:13 #

    수냉식 관리는 어렵죠. 더군다나 쿨링팬도 너무 시끄러우면 방해되고요.
  • 2018/12/04 03:47 # 답글 비공개

    비공개 덧글입니다.
  • 2018/12/04 09:45 # 비공개

    비공개 답글입니다.
  • 협이 2018/12/04 09:44 # 삭제 답글

    잠실롯데타워에 세계최초로 LED영화관생길때 첫번째로 가서 영화봤던 사람입니다. 당시 2017년이었고 그때 감동을 잊지못합니다. 근데 다좋은데 단점이 있습니다. 어두운화면에서 흰색자막이 같이 어두어지면 좋은데.. 검정화면에서도 흰색의 자막은 너무환해서 눈이 부셨습니다. 검은화면에선 자막도 휘도가 같이 낮아지는 시스템을 도입했으면 합니다.
  • 로리 2018/12/04 09:45 #

    자막은 색도 중요해지는 군요
  • 최강로봇 도라에몽 2018/12/04 11:44 # 답글

    맨처음 스파이더맨 홈커밍? 맞나요? 여튼 그거 보러가고 다신 안가는거 봐선 저애겐 딱히 큰 매력으로 안다가왔나봐요 그냥 티비가 엄청 커졌다란 감상밖에 없네요

    저도 돌비인증 시네마를 기대중입니자
  • 로리 2018/12/04 11:48 #

    기본적으로는 HDR 영상에서 장점을 가지는데... 어떨지 싶습니다.
  • 최강로봇 도라에몽 2018/12/04 12:42 #

    전 딱히 매력을 못느꼈어요 특이하게... 오히려 용산 래이저 아이맥스가 저에게는 확 다가왔죠
  • 로리 2018/12/04 12:46 #

    기존 영상이야 그렇게 밝을 이유가 없어서도 있을 겁니다. 뒤에 HDR영상을 봐야... 진가를 알 수 있을 꺼 같습니다.
  • ㅇㅇ 2018/12/04 12:33 # 삭제 답글

    듀얼 레이저 솔루션 써도 70cd 겨우 넘는다던데 300cd면 뭐... 저게 ABL로 나오는 거면 어지간한 TV 쌈싸먹는건데 충분히 밝아요. 영화관은 암실임
  • 로리 2018/12/04 12:33 #

    물론이죠
  • 8khdr 2018/12/06 17:00 # 삭제

    극장 영상이 그렇게 어두운가요? 어지간한 TV 쌈싸먹는 정도는 아닙니다. 옛날 싸구려 LCD 모니터도 300 넘었어요.
  • 로리 2018/12/06 17:14 #

    계속 말하지만 극장은 암실입니다. 감마도 2.2가 아니라 2.4~2.6으로 써요
  • 협이 2018/12/04 13:56 # 삭제 답글

    자막밝기만 조금 줄였어도 스파이더맨 홈커밍 괜찮았을겁니다. 어두운장면에서도 화면은 어두운데 자막만 완전 밝았어요ㅜ 약간 OLED같은 특징을 가지니깐 그게 가능한거죠. 그렇다고 부분적인 밝기를 못줄이는것도 아니고ㅜㅜ 어두운장면에선 자막이 아무리흰색이어도 자막밝기도 같이 줄여주지.. 그게아쉽더라구요
  • 로리 2018/12/06 17:14 #

    뭐 지금은 어떨지 모르겠습니다.
  • 8khdr 2018/12/06 17:00 # 삭제 답글

    3D 영상도 틀 수 있나요?
  • 로리 2018/12/06 17:15 #

    위이 링크 기사에 보면 3D관 이야기 있습니다. 된다는 이야기죠
  • 8khdr 2018/12/06 17:28 # 삭제

    삼성이니, 셔터 글라스 쓸까요?
  • 로리 2018/12/06 17:29 #

    삼성이니 아니니를 떠나서 셧터글래스가 LED에서는 가장 맞지 않을까 싶습니다.
  • 8khdr 2018/12/06 17:32 # 삭제

    엘쥐 올레드 3D는 편광 썼지요. 올레드야 번인이 문제니, 밝기 1/2 깎아먹는 편광이 독약이지요.
    하지만 mLED는 편광도 어떻게든 감당할 수 있겠지요. 물론 3D 해상도 1/2 날려 먹는 문제도 있으니, 극장에선 제발 안 쓰길 바랍니다.
  • ghhg 2018/12/13 17:49 # 삭제 답글

    부산 롯데시네마 센텀시티에도 LED 스크린 있답니다.
    롯데에서 브랜드를 SUPER S라고 했더라고요.
  • 로리 2018/12/13 17:50 #

    아 센텀점에도 있나 보군요 보고 싶네요
댓글 입력 영역
* 비로그인 덧글의 IP 전체보기를 설정한 이글루입니다.



2019 대표이글루_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