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isense's new ULED XD has two panels, instead of one (엔가젯)
ハイセンス、液晶パネル2重構造「ULED XD」。RGBレーザーPJやマイクロLEDも (와치 임프레스)

자발광 디스플레이의 명암비로 인한 장점을 모르는 사람은 없습니다. 문제는 제작의 난점이나 수명이라던가 가격이라던가 여러 문제가 있어서 아직도 자체 발광을 못하는 LCD를 어떻게든 개량을 해보자 하는 회사들이 많죠. 하이센스 역시 이런 회사 중에 하나입니다. 이들이 생각한 것은 과거 파나소닉이 발표한 메가 컨트라스트 패널 (링크)과 닮은 방법을 사용합니다.

LCD 패널 2개를 합치는 것은 같은 방법이지만, 디밍 어레이를 위한 후면의 흑백 패널의 해상도를 FHD 로 떨어뜨려 놨습니다. 파나소닉의 경우 같은 해상도를 가지기 때문에 자발광 방식과 동일한 로컬 디밍 성능을 보여주었지만 개구율의 저하나 발열과 전력 소모나 단가 문제가 있었다면 이 부분을 해결하는 것이죠.
물론 화질 저하 문젠 있기 때문에 하이센스의 정밀한 영상 제어 컨트롤 능력으로 보충하여 놀라운 화질을 보여준다고 하고, 2900cd/m²의 휘도를 보여줄 수 있다고 합니다. 이게 실제 제품으로 나올지 아니면 그냥 CES의 시연용으로 끝날지는 두고봐야 할 문제라고 봅니다만, LCD 업체들 역시 화질에 대해서 매우 고민을 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봅니다.
개인적으로도 기대가 되네요.
ハイセンス、液晶パネル2重構造「ULED XD」。RGBレーザーPJやマイクロLEDも (와치 임프레스)

ⓒ 2019 Oath Tech Network Aol Tech. All rights reserved.
자발광 디스플레이의 명암비로 인한 장점을 모르는 사람은 없습니다. 문제는 제작의 난점이나 수명이라던가 가격이라던가 여러 문제가 있어서 아직도 자체 발광을 못하는 LCD를 어떻게든 개량을 해보자 하는 회사들이 많죠. 하이센스 역시 이런 회사 중에 하나입니다. 이들이 생각한 것은 과거 파나소닉이 발표한 메가 컨트라스트 패널 (링크)과 닮은 방법을 사용합니다.

LCD 패널 2개를 합치는 것은 같은 방법이지만, 디밍 어레이를 위한 후면의 흑백 패널의 해상도를 FHD 로 떨어뜨려 놨습니다. 파나소닉의 경우 같은 해상도를 가지기 때문에 자발광 방식과 동일한 로컬 디밍 성능을 보여주었지만 개구율의 저하나 발열과 전력 소모나 단가 문제가 있었다면 이 부분을 해결하는 것이죠.
물론 화질 저하 문젠 있기 때문에 하이센스의 정밀한 영상 제어 컨트롤 능력으로 보충하여 놀라운 화질을 보여준다고 하고, 2900cd/m²의 휘도를 보여줄 수 있다고 합니다. 이게 실제 제품으로 나올지 아니면 그냥 CES의 시연용으로 끝날지는 두고봐야 할 문제라고 봅니다만, LCD 업체들 역시 화질에 대해서 매우 고민을 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봅니다.
개인적으로도 기대가 되네요.
덧글
에이조 최상급형 285만엔 모니터에서 사용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