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플, 저온 폴리 옥사이드 TFT를 삼디와 LGD에 요청? 디스플레이 이야기

삼성디스플레이, 2020년 양산 목표로 스마트폰용 LTPO 기술 개발 (전자신문)

애플이 저온폴리옥사이드(LTPO:Low Temperature Polycrystalline Oxide) TFT 라는 기술을 패널사에 요구했고 2020년쯤에 상용화가 될 것 같다는 기사 입니다. 현재의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는 저온폴리 실리콘 (LTPS:Low Temperature Poly Silicon) 이라고 불리는 TFT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전하 이동과 안정성이 높기 때문에 스마트폰의 OLED에 절찬리 쓰고 있고 소수의 노트북 LCD에 쓰고 있습니다.

비싸고 대형화가 힘든게 문제지만 말이죠.

옥사이드 TFT 혹은 산화물 TFT는 균일성이 좋고 전류 누설이 적어서 대형화도 할 수 있고 전력 소모도 적습니다만, LTPS만큼 밀도가 높아지진 않습니다. 고성능 노트북용 LCD나 OLED TV에 쓰이는 기술이기도 합니다. LTPO(Low Temperature Polycrystalline Oxide) 라고 불리는 해당 기술은 이 두가지 장점이 모여서 전력소모가 적으면서도 밀도도 잡을 수 있다고 합니다.

때문에 일단 LG디스플레이에 애플워치 4를 만들때 애플이 주문했다고 하고, 삼성 디스플레이에도 관련 기술 의뢰를 했다고 합니다. 이게 성공하면 무려 10~15%의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고 합니다. 하지만 기존 공정보다 20~30% 공정 스텝이 증가하고 수율 하락이 일어날 수 있는 점은 문제라고 합니다.

이제 스슬 중소형 OLED 시장에 중국이 들어오고 있고, 삼성 디스플레이의 수성을 위해서나 LG 디스플레이의 신규 진입을 위해서 이런 신기술을 만들어서 앞서갈 수 밖에 없지 않는가 생각을 합니다.

덧글

  • 나인테일 2019/02/07 19:40 # 답글

    뭐 수율이야 투자에다 돈 꼴아박으면 어떻게든 해결이 되겠죠. 지금 흔한 반도체나 디스플레이 기술들 죄다 초반에 수율 징징이들이었으니 애플 같은 큰손이 돈 때려붓고 삼성이나 LG가 납품일정을 잡았으면 틀림없겠죠.
  • 로리 2019/02/07 19:41 #

    물론 리퀴드 메탈처럼 실패하는 경우도 있긴 합니다.
  • 태양 2019/02/08 11:58 # 삭제 답글

    LTPO기술이 보편화 되면 LG가 삼성을 이길 찬스를 잡을수도 있지않나... 그렇게 보고 있어요
  • 로리 2019/02/08 15:02 #

    잘 되었으면 합니다.
  • 협이 2019/02/08 13:08 # 삭제 답글

    저온폴리옥사이드는 OLED에 적욕하려는 목적인가요? 아님 LCD에 적용목적인가요?
  • 태양 2019/02/08 14:14 # 삭제

    둘다에 적용되지 않을까요... 처음엔 OLED만 적용되겠지만... 고가 LCD 제품도 있으니까 고가 라인에서는 LTPO가 필요할겁니다
  • 로리 2019/02/08 15:12 #

    뭐 TFT 기술이니 어느쪽이건 쓸 수 있지만 문제는 LCD 채산성이 떨어져서 고급 기술을 딱히 쓸 이유가 있을까 싶긴 합니다.
  • 엘시디 2019/02/08 18:52 # 삭제

    삼성은 당분간 lcd에 목 메야 하니, 쓸지도요.
  • 로리 2019/02/08 18:53 #

    기사 보시면 나오지만 모바일 계열이 일단 중심이라... 삼성은 안 쓰겠죠
  • 아아 2019/02/09 12:53 # 삭제 답글

    위에 기사의 제목과 같은 기사들이 쏟아지길래 제목만 보면 삼성만 LTPO 되는구나 하고 오해 할 수 있게 교묘게 언플을 했군... 알고보니 lgd는 이미 애플워치4에 납품중이라니;ㅎ
  • 로리 2019/02/09 14:25 #

    다만 애플워치 자체는 너무 작아서.. 약간 애매하긴 합니다. ^^ 결국 저건 스마트폰용 TFT를.. 사용화 하겠다 이야기니까요
댓글 입력 영역
* 비로그인 덧글의 IP 전체보기를 설정한 이글루입니다.



2019 대표이글루_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