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 QD OLED 전환 임박…3분기 투자 전망" (한국경제)
얼마 전까지 삼성 디스플레이의 경우 QD-OLED 투자가 멈췄다 이야기가 나왔었는데, 이번에는 또 집행한다는 이야기가 나오고 있습니다. 지난 1일 일본 캐논 토키에 QD-OLED 장비 501억원 규모의 장비 투자를 했다고 하네요. 75인치 이상은 8K LCD로 옮기고, 55, 65인치급들은 QD-OLED 같은 프리미엄 라인으로 바꾼다인데, 역시 전체적인 LCD 디스플레이 수익 악화의 요인일지도 모르겠습니다.
다만 해당 기사에선 현재 투자를 들어가면 빠르게 2021년에는 양산화를 이야기 하지만, 솔직히 잉크젯 QD건 OLED건 양산화를 해보질 않았는데, 실제 빨리 될지는 의문이긴 합니다. 적어도 올해에 시제품이라도 보였어야... 라는 생각을 버리기 어렵습니다. 어찌 되었건 5G등으로 8K 같은 고해상도 영상들이 빠르게 퍼질 수 있으니 거기 대응하겠다는 전략이라고 하네요.
뭐 삼성 QD-OLED의 경우 한다 안 한다가 계속 혼재하는 분위기라 이 것도 어찌될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LCD 수익 악화가 심하고 모바일 OLED 도 스마트폰 시장이 성장이 애매해진 입장에선 결국 이런 쪽이라도 전환을 해야겠지요. LGD에 비해서 삼디의 경우에는 일본 장비회사에 의존하는 부분이 큰데 그 부분은 어찌될지 모르겠네요. 잘 되었으면 합니다.
얼마 전까지 삼성 디스플레이의 경우 QD-OLED 투자가 멈췄다 이야기가 나왔었는데, 이번에는 또 집행한다는 이야기가 나오고 있습니다. 지난 1일 일본 캐논 토키에 QD-OLED 장비 501억원 규모의 장비 투자를 했다고 하네요. 75인치 이상은 8K LCD로 옮기고, 55, 65인치급들은 QD-OLED 같은 프리미엄 라인으로 바꾼다인데, 역시 전체적인 LCD 디스플레이 수익 악화의 요인일지도 모르겠습니다.
다만 해당 기사에선 현재 투자를 들어가면 빠르게 2021년에는 양산화를 이야기 하지만, 솔직히 잉크젯 QD건 OLED건 양산화를 해보질 않았는데, 실제 빨리 될지는 의문이긴 합니다. 적어도 올해에 시제품이라도 보였어야... 라는 생각을 버리기 어렵습니다. 어찌 되었건 5G등으로 8K 같은 고해상도 영상들이 빠르게 퍼질 수 있으니 거기 대응하겠다는 전략이라고 하네요.
뭐 삼성 QD-OLED의 경우 한다 안 한다가 계속 혼재하는 분위기라 이 것도 어찌될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LCD 수익 악화가 심하고 모바일 OLED 도 스마트폰 시장이 성장이 애매해진 입장에선 결국 이런 쪽이라도 전환을 해야겠지요. LGD에 비해서 삼디의 경우에는 일본 장비회사에 의존하는 부분이 큰데 그 부분은 어찌될지 모르겠네요. 잘 되었으면 합니다.
덧글
1. 모바일 아몰레드 크기를 키워서 노트북에
2. 모바일 아몰레드 내구성을 올려서 자동차에
정도가 있겠네요. 그런데 자동차는 번인 때문에 곤란하네요. 일단 자동차 수명이 10년 이상인데, 아몰레드는 10년 못 버틸 겁니다. 또한 한여름 대낮에 자동차 안이 엄청나게 뜨거운데, 아몰레드가 잘 버틸지. 그리고 번인 때문에 정보를 착각해서 사고라도 나면, 재드래곤이 도게자 해야 할 겁니다.
집안대대로 내려 오는 정신병이라 잘 짖어대도록 부모라는 것들에게 가정교육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