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비디아 지싱크 지원 업체들의 이탈가속? 게임 이야기

게임용 모니터, 엔비디아 지싱크 이탈 가속 (지디넷 코리아)



엔비디아의 프레임 동기화 기술인 지싱크가 모니터 제조사들이 새로운 제품을 내놓지 않으려고 한다는 기사 입니다. 엔비디아 지싱크는 분명히 경쟁 기술이라 할 수 있는 AMD 프리싱크 혹은 VESA VRR 같은 기술보다 뛰어난 기술이지만, 전용 칩셋과 보드가 필요하고 그 자체가 원가 상승으로 이어지고 가격 경쟁력의 문제가 있다고 모니터 제조사들이 판단하는가 봅니다.



정말로 G-SYNC는 좋은 기술이긴 합니다.

문제는 이 좋은 기술을 구현하는 것이 단순히 비표준이라서가 아니라 이런 플랫폼을 제안하는 그래픽 칩셋 제조사도 모니터 제조사도 비용 상승을 상쇄할 동인이 없단 점 입니다. 엔비디아는 G-SYNC 구현 칩셋을 저렴하게 만들 생각을 안하기 때문에 ASIC 으로 만들지도 않고 FPGA를 사용해서 가격을 높였습니다. 당연히 요즘 같이 PC 판매량이 줄어들었던 시점에 싸게 판다고 판매량이 확 올라가거나 할 수 있는 시장이 아니라서 모니터 제작사들 역시 이 비용을 바로 소비자들에게 책정을 합니다.

그에비해서 AMD 프리싱크는 기술 자체가 무료이기도 하고, 따로 전용 보드 없이 구현할 수 있습니다. 거기다가 VESA가 표준화 했기 때문에 DP에서나 HDMI 표준에도 구현되어서 차기 콘솔에서 쓰일 것이고, DP나 HDMI 표준이라 결국 엔비디아역시 지싱크 호환모드라고 해서 프리싱크지원을 넣을 수 밖에 없어지기도 했습니다.

물론 최상위 제품에는 엔비디아 지싱크가 탑재될 것이라고 하고, 엔비디아의 최상위 그래픽 카드들의 성능이 AMD보다 우위에 있고 고성능 제품을 원하는 소비자가 있는 이상 프리미엄 모니터 라인에 지싱크 제품들이 나오겠지만 중저가의 게이밍 모니터에는 프리싱크가 대세가 되지 않을꺼 싶습니다. 기사에서도 나오지만 200유로가까이 제품 가격이 차이가 나게 된다고 하니까요.

사실 엔비디아가 계속 가격을 낮추고 했으면 표준이 아닌 표준이 되었을지도 생각도 합니다만... 이제와서는 어렵겠지요.

덧글

  • 나인테일 2019/09/14 16:42 # 답글

    다른건 몰라도 게임에서 동기화 기술이 의미가 있을까 싶습니다. 조금이라도 더 빨리 보겠다고 UHD 포기하고 144hz 모니터를 사는 판인데 동기화 작업으로 지연된 화면을 보느니 그냥 찢어진 화면으로 게임 하는게 낫다고 하는 게이머들도 많고 말이죠.
  • 고주파 2019/09/14 20:41 # 삭제

    그냥 올레드로 1000Hz 짜리 모니터 만들면, 가변 없이 고정 동기화 상태에서도 괜찮을 겁니다.
  • 로리 2019/09/15 14:44 #

    나인테일 > http://arimabox.blogspot.com/2017/10/blog-post.html 놀랍겠지만 실제 저 프레임 동기화 기술들은 응답지연에 영향을 적게 줍니다. 물론 모니터 프레임보다 게임 프레임이 더 높으면 지연이 늘어나지만, 이걸 설정으로 할 수 있고요.

    고주파> 그런건 나올 수가 없으니.. 나올 수가 없는 영역이죠
  • 까마귀 2019/09/14 19:46 # 답글

    프리싱크와 5~10만원 차이라면 모를까 거의 수십만원 차이라 게임 자체가 안되죠
  • 로리 2019/09/15 14:44 #

    진짜 이건 엔비디아의 패착이 컸습니다. 결국 보드들을 개발해도 그 재고압박들은 안 안겠다는 이야기라..
  • 고주파 2019/09/16 11:17 # 삭제

    ASIC 개발도 없이 FPGA로 계속 간 걸 보면, 엔비디아 스스로 생각해도 ASIC 찍어도 많이 팔리기 어렵다고 본 듯 합니다.
  • 로리 2019/09/16 14:52 #

    엔비디아가 결국 재고를 안을 생각이 없는 거죠
  • 고주파 2019/09/16 15:00 # 삭제

    재고 말고, ASIC 개발비도 들이기 싫었을 지도요.
  • RuBisCO 2019/09/16 18:43 # 답글

    전혀 좋은 기술이라고 보지 않습니다. 당장 구현 방식 자체가 전혀 효율적이지가 못한데 깔끔하게 베사 표준 기반으로 그 연장선상에서 구현된 어댑티브싱크에 비해서 지나칠정도로 낭비가 심합니다. 심지어 독자규격에 규격의 구성요소들이 전혀 공개되지 않은 폐쇄성까지하면 이건 그냥 구라황회장님이 호구 뜯으려고 농간부린거에 불과한 기술입니다. 지포스의 시장지배력만 아니었어도 옛날에 쓰레기통에 넣었어야 할 기술이죠.
  • 로리 2019/09/16 22:08 #

    뭐 그렇다고 해도 지싱크 쪽이 실사용에서는 더 괜찮다는 평이 많으니까요. 물론 그 돈 차이 생각하면 모두 패스 하지만요 ^^
  • ㅇㅇ 2019/09/16 21:56 # 삭제 답글

    지싱크야 나름 흥하기라도 했지 G-SYNC ULTIMATE 는 이미 망해있죠.
    가격이 비현실적이라 답이 없네요.
    엔비디아에서 HDMI 2.1 그래픽 카드를 내주면 모두가 행복할 것 같습니다.
  • 로리 2019/09/16 22:08 #

    뭐 내겠죠
댓글 입력 영역
* 비로그인 덧글의 IP 전체보기를 설정한 이글루입니다.



2019 대표이글루_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