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이스테이션 5에 대한 좀 더 상세한 정보가 나왔습니다. 게임 이야기

「プレイステーション 5」は2020年末発売。UHD BD対応、ゲームを最大8K出力 (와치 임프레스)

「プレイステーション 5」 2020年の年末商戦期に発売 (소니 블로그)

【コンソールゲーム機本体】

超高速アクセスが可能なカスタムSSD搭載
AMD製カスタムチップ搭載
CPU: x86-64-AMD Ryzen “Zen2", 8 cores/16 threads
GPU: AMD Radeon RDNA (Radeon DNA) -based graphics engine
3Dオーディオ処理専用ユニット
ゲームにおいて最大8K解像度出力まで対応
PlayStation 4タイトルとの互換性実現に向けた設計
【コントローラー】

ハプティック技術搭載
L2・R2ボタンに抵抗力を感じさせるアダプティブトリガーを採用
【物理メディア】

Ultra HD Blu-ray
ゲームディスクとしての容量は100GBに


좀 더 자세한 정보들이 나왔습니다. 와이어드지에 찔끔찔끔 공개 중이네요.
일단 CPU 코어는 ZEN2 기반 8코어 16쓰레드가 확정되었습니다. 사실 발열 문제도 있고해서 SMT 는 쓰지 않을지도? 생각을 했는데, 쓰는군요. 어찌되었건 CPU나 GPU 이야기는 다 어느 정도 알고 있었던 부분인만큼 그렇게 오오 하는 지점은 없지만, 와이어드지의 정보도 그렇고 저 소니 블로그에서 나온 정보는 컨트롤러 이야기가 대부분 입니다.

첫번째는 햅틱 컨트롤러의 채용이라고 합니다. 아무래도 현재의 진동 메커니즘보다 훨씬 정교한 감각을 느낄 수 있도록 쇄신을 했나 봅니다. 이 때문에 레이스 게임의 노면이나 액션 게임의 바닥의 감각도 컨트롤러 상에서 느낄 수 있게 한다고 하네요.

두번째는 적응형 트리거라고 합니다.
L2 과 R2 트리거 버튼의 압력을 게임의 환경에 따라 조정하거나 해서 게임에 따라서 이 압력이 달라져서 리얼한 컨트롤 감각을 느끼게 한다는 것 같은데 이게 햅틱과 연관되면 상당히 재미있을 것 같긴 합니다.

3D 오디오 프로세싱이라던가, 100기가의 BDXL 채용이라던가 재미있는 것이 많이 보이긴 하는데, 역시 게임 정보쪽은 컨트롤러가 우선이겠죠. 사실 플스 5의 ZEN2 코어쯤 되면 싱글 코어 성능도 상당해져서 포토샵이나 오피스 패키지 같은 쪽을 포팅할 수 있고 구독제로 팔 수 있겠다 생각도 들 정도이긴 합니다.

플레이스테이션 리모트도 엑스페리아의 제한이 오늘부터 풀렸고, 저런 콘솔을 5G망을 통해서 외부에서 동작한다던가 할 수도 있을 것이고 말이죠. 재미있는 시대가 오는 것 같습니다. 물론 제 주머니의 돈이 문제지만요. T_T


덧글

  • 오디오프로세서 2019/10/09 14:02 # 삭제 답글

    이번 세대 엑박이 오디오프로세서는 플스를 압도합니다. 플스엔 게임용 오디오 프로세서 따위가 없지만, 엑박엔 강력한 게 달려 있으니까요.
  • 오디오프로세서 2019/10/09 14:05 # 삭제

    SMT는 노트븍/데스크탑/서버 등에선 효과가 꽤 좋습니다. 모바일에선 망한 걸로 보이지만요.
  • 오디오프로세서 2019/10/09 14:29 # 삭제

    생전 SMT 따위 안 쓰던 ARM 계열도 서버용은 넣습니다.
  • 로리 2019/10/09 14:50 #

    뭐 360에서 SMT를 쓴적이 있는데 당시에 너무 크고 무겁게 되었으니까요.
  • 오디오프로세서 2019/10/09 16:48 # 삭제

    사양 번역

    PS5는 어떤 하드웨어?

    PS5는 초고속 접속이 가능한 커스텀 SSD와 AMD 사제 커스텀 칩셋을 탑재하고 게임의 적재 시간이 대폭 단축. 다이나믹하고 아름답게, 크리에이터가 마음에 그린 대로의 게임 체험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됩니다.

    또 콘트롤러에는 종래의 진동 기술 대신 햅틱 기술을 탑재, L2·R2버튼에는 저항력을 느끼게 하는 어댑티브 트리거를 채용하며 압도적인 몰입감을 연출하는 게임의 세계를 즐길 수 있게 됩니다.



    하드웨어 개요
    콘솔 게임기 본체

    · 초고속 액세스 할 수있는 사용자 정의 SSD 탑재
    · AMD 사의 커스텀 칩 탑재
    · CPU : x86-64-AMD Ryzen "Zen2"8 cores / 16 threads
    · GPU : AMD Radeon ™ RDNA (Radeon DNA) -based graphics engine
    · 3D 오디오 프로세싱 전용 유닛
    게임에서 최대 8K 해상도 출력까지 지원
    · PlayStation 4 타이틀과의 호환성 실현을위한 설계
    · PlayStation VR 대응
    컨트롤러

    · 햅틱 기술 탑재
    · L2 · R2 버튼에 저항을 느끼게 적응 트리거를 채용
    물리적 미디어

    · Ultra HD Blu-ray
    게임 디스크 용량은 100GB로

    https://bbs.ruliweb.com/news/board/1001/read/2199459?page=2
  • 오디오프로세서 2019/10/09 16:50 # 삭제

    두번째 이노베이션은 이번에 새로 도입한 어댑티브 트리거라고 불리는 L2·R2버튼의 진화입니다. 게임 개발자 여러분은 플레이어가 취하는 액션에 맞추어 트리거의 저항력을 프로그램할 수 있게 되고, 또한 햅틱 기술과의 조합에 의해, 지금까지 이상으로 다채로운 액션을 보다 리얼하게 재현할 수 있게 됩니다. 예를 들면, 활을 쏘는 감각이나, 울퉁불퉁한 암장의 지형에서 오프로드 차량을 단번에 가속시킬 때의 감각을, 보다 선명하게 재현할 수 있게 됩니다.
    //
    저항력 프로그램이면 아무래도 MR댐퍼? 공기 스프링 쓰면 압축공기 등으로 스프링 계수를 바꿀 수 있지만, 전기를 많이 먹고 압축공기 저장통이 있어야 합니다. MR 댐퍼도 자동차 서스펜션 등엔 많이 쓰지만, 오일을 씁니다.
  • 로리 2019/10/10 10:17 #

    다른 와이어드 번역을 제가 안 본것도 아니고 이런 반복적인 붙여넣기 글을 쓰시는 이유를 모르겠습니다. 그냥 뒤에 컨트롤러에 대한 의견만이면 모를까요
  • RuBisCO 2019/10/14 09:51 #

    무슨 프로세싱파워 부족에 허덕이느라 콘솔에 전용 하드웨어 떡칠을 하던 고리짝시절도 아니고 잉여 자원이 차고 넘치는 21세기에 그게 별 메리트인지는 글쎄요.
  • 에스j 2019/10/10 11:28 # 답글

    플스는 홀수로만 갖고 있는데(세계적으로 잘 팔린 건 짝수...), 과연 소니는 그 빌어처먹을 컨트롤러 디자인을 어떻게 할런지... 어차피 진동 라이센스 비용 나가겠다 디자인도 라이센스해서 써줬으면 좋겠네요. 아오.... 어떻게 플스1으로부터 디자인 발전이 없는 건지.
  • 로리 2019/10/10 13:16 #

    듀얼쇼크 아날로그 스틱 위치를 디자인 코드로 보는 것 같아서.. 쉽지 않을 것 같긴 합니다.
  • RuBisCO 2019/10/14 09:54 # 답글

    단일칩으로 나올지 칩렛들을 기워올리는 식으로 나올지 궁금하긴 한데 과연 가격상승을 억제할 수 있을런지...
    하드웨어 스펙이 단가가 엄청 오를거 같은데 말이죠.
  • 로리 2019/10/14 15:09 #

    그래도 499 가 리밋이니 좀 두고봐야죠
  • 작은바위 2019/10/14 18:08 # 삭제 답글

    리모트 플레이의 엑스페리아 제한 해제는 반대로 모바일사업부에 독이 될 수도 있을 것 같은데 말입니다. 그냥 기존처럼 iOS만 풀어줘도 될 것 같은데 말이죠. 어차피 게임은 아이폰 이라는 공식이 박혀있으니까요.

    그나저나 루머로 떠돌던 ReRam 은 어떻게 될 지 궁금하네요.
  • 로리 2019/10/15 15:13 #

    뭐 소니 모바일 사업부는 언제 털어낼지 모른다는 것이죠..
댓글 입력 영역
* 비로그인 덧글의 IP 전체보기를 설정한 이글루입니다.



2019 대표이글루_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