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스플레이 포트 2.0이 내년부터 인증을 시작한다고 합니다. 디스플레이 이야기

16K/60p HDR対応の「DisplayPort 2.0」'20年認証開始。DisplayHDRは有機EL/microLEDにも (와치 임프레스)



이전에 나왔던 디스플레이 포트 2.0이 내년부터 인증을 시작한다고 합니다. DSC 압축을 사용한 출력으로 16K(15360 × 8460) / 60Hz / 10bit / 4 : 4 : 4 / HDR 영상 전송이 가능한 어마어마한 규격으로 PC 정도만이 아니라 게이밍 콘솔에서 VR기기 자동차, 대형 프로젝터, 스마트폰에서 사이니지까지 다양한 용도의 사용을 상정하고 있다고 합니다.



물론 HDMI 같은 규격이 있다보니 과연 DP가 성공할 수 있을지 잘 모르는 것이 현실이긴 합니다. VESA의 경우 그렇게 강제적 규정이 아니다보니, 당장 4K HDR모니터에 가격을 이유로 HDR 전송이 안 되는 DP 1.2 를 넣어서 HDMI 2.0b로만 HDR전송이 가능한 모니터들이 많은 것을 생각하면 말이죠.



이번 DP 2.0부터 고무적인 부분은 역시 차세대 USB규격인 "USB4"의 DP 수신이 필수 지원으로 들어간다는 점입니다. 지금까지 DP의 보급에는 PC외에는 재대로 된 지원이 없었다는 점이지만 이렇게 USB같은 범용 어뎁터로 가게 되면 자연스럽게 기기들의 지원이 늘 것이니까요. 다만 케이블에 대해서는 USB-C형 같은 작은 것 말고도 기존 DP 케이블 유지를 원하는 사람들이 꽤나 있어서 이 부분은 좀 더 두고봐야 할 듯 합니다.





그리고 이번에 디스플레이 HDR 인증도 1400, 트루블랙 400, 500 이라는 인증이 더 생겼습니다.
즉 피크 휘도 1400cd/m² 이상의 고성능 모니터 제품을 위한 인증과 현재 노트북용 OLED나 OLED TV패널을 사용한 제품과 후에 나올 마이크로 LED 같은 제품을 위해서 트루블랙이라는 자발광 인증 제도도 만들었습니다. 역시 이런 것 보면 기업 친화적인 VESA란 말이죠. 이제 스슬 OLED패널을 사용한 노트북이나 OLED TV패널을 사용하는 모니터들이 나올 예정이다보니 이렇게 새로운 인증을 만들어서 대비하는 것 같습니다.

2020년 인증이 시작된다고 해도 결국 1년 이상은 걸리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포트 2,0 제품을 보는 것은 2021년이나 그 후가 될 것 이지만, 8K이상의 디스플레이나 혹은 다수의 멀티 디스플레이 연결 같은 쪽을 위해서 나올 미래를 보자면 이 것도 미래의 일만은 아닐 것 입니다.

제발 HDMI 를 이겨서 VESA가 천하를 차지하길 바랍니다.

덧글

  • 경음부제외전부중립 2019/11/16 00:23 # 답글

    DP4랑 선더볼트3랑 비교하면 어떤게 더 대역폭이 큰 건가용?

  • 로리 2019/11/17 10:55 #

    DP4가 더 크긴할껍니다. 아마..
  • Eraser 2019/11/16 02:16 # 답글

    2.0규격에서도 DSC 사용하는건가요?
  • 로리 2019/11/17 10:55 #

    안쓰면 10K 60P라고 합니다.
  • USB-C 2019/11/16 16:28 # 삭제 답글

    USB-C는 거의 만능 커넥터가 되네요. 썬더볼트에 DP까지 들어갑니다. 이러다 흐드미도 USB-C 에 얹어 보내는 규격 나올까요?
  • USB-C 2019/11/16 16:50 # 삭제

    그런데, USB4는 겨우 40Gbps인데 DP2는 77.4Gbps 네요. USB-C 단자를 써도 제 속도가 나오나요?
  • 로리 2019/11/17 10:56 #

    그건 잘 모르겠습니다.
  • PPOI 2019/11/19 16:44 # 답글

    저도 DP 규격만 놓고 보면 참 마음에 들지만, 워낙 오랫동안 HDMI가 가전기기를 중심으로, 심지어 대다수 노트북조차 장악을 했기에 쉽지 않은 싸움이라 봅니다. HDMI가 신생 규격도 아니고, 이미 20여년간 이어져 온 규격으로 계속 발전해 왔고 케이블도 너무 구하기 쉬운 터라 DP가 HDMI를 이긴다고 하기 보다는 의미있는 점유율을 차지한다에 목적을 둬야 할 것 같습니다. 당장 이 분야에 주축인 TV가 DP 채택을 거의 안 하는 마당에 현재는 계란으로 바위치는 격이죠.
  • 로리 2019/11/19 16:46 #

    뭐 실제 그게 문제이죠. 일단 USB4 기술에 DP가 같이 올라탈 수 있다면 장기적으로는 꽤나 유리할 수 있다고 보긴 합니다. 그래도 DP 규격을 이끄는 VESA가 무료나 공개로 기술을 푸는 대신 마인드도 널널해서 인증 책임 같은 부분에서 한계가 크다보니.... 아무래도 TV같은 AV시장에 표준으로 가기 어려운거 같아요 T_T
댓글 입력 영역
* 비로그인 덧글의 IP 전체보기를 설정한 이글루입니다.



2019 대표이글루_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