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zio reveals 2020 line-up of 4K LCD TVs with FALD, HDMI 2.1, FreeSync (플랫패널즈HD)

미국에서만 유통되는 비지오사의 TV도 2020년 모델들이 발표되었습니다. 이번에 OLED 라인이 발표된 것도 있지만 역시 비지오의 메인은 LCD이고 FALD 가성비가 좋은 제품들이 주력이죠. 퀀텀닷 기반으로 돌비비젼과 HDR10+ 라는 HDR표준의 지원 HDMI 2.1 지원으로 플래그 쉽 제품은 3000cd/m의 피크 휘도 792개의 디밍존을 가지고 있고 저가 제품은 600cd/m의 휘도를 가지고 30개의 디밍존을 가지고 있고.. 그냥 밝기, 디밍존, 패널 리플레시레이트(입력이 아니라 그냥 패널자체의) 모션성능 같은 쪽만 등급을 나눌 것 같았는데요.
아주 창의적인 등급 나누기가 적용되어 있습니다. 바로 VRR(Variable Refresh Rate)의 적용 리플래시 레이트의 차이를 준 겁니다. HDMI 2.1에 VRR 적용으로 프리싱크 모드가 되어 있으니, 난 화질도 별 신경 안 쓰고 저가 TV 사서 게이밍만 해야지 하려고 하는 분도 많을껀데.. 플래그 쉽고 프리미엄 라인인 P시리즈와 P시리즈 X만이 프리싱크 48Hz-120Hz 지원을 하고, 보급형인 M과 V시리즈는 48Hz-60Hz으로 VRR 리플레시 레이트 제한을 걸어놨습니다.
즉 프리싱크나 지싱크 호환모드로는 60Hz 가 한계란 이야기이고 이 이상 넘어가면 테어링 발생.... 120Hz 프리싱크나 지싱크 사용하려면 고급 Tv사라는 이야기입니다.. 이거 너무하는 군요. 이런 창의성을 발휘할 줄은 몰랐습니다. 그런데 비지오 혼자만이 이런 형태 지원은 아닐 것 같고.. 타 회사들도 비슷하게 갈 것 같네요. HDMI 2.1 달고 뭐하는 건지 T_T
아 물론 TV는 매우 좋습니다. 한국에서 구입할 수 없지만요

미국에서만 유통되는 비지오사의 TV도 2020년 모델들이 발표되었습니다. 이번에 OLED 라인이 발표된 것도 있지만 역시 비지오의 메인은 LCD이고 FALD 가성비가 좋은 제품들이 주력이죠. 퀀텀닷 기반으로 돌비비젼과 HDR10+ 라는 HDR표준의 지원 HDMI 2.1 지원으로 플래그 쉽 제품은 3000cd/m의 피크 휘도 792개의 디밍존을 가지고 있고 저가 제품은 600cd/m의 휘도를 가지고 30개의 디밍존을 가지고 있고.. 그냥 밝기, 디밍존, 패널 리플레시레이트(입력이 아니라 그냥 패널자체의) 모션성능 같은 쪽만 등급을 나눌 것 같았는데요.

아주 창의적인 등급 나누기가 적용되어 있습니다. 바로 VRR(Variable Refresh Rate)의 적용 리플래시 레이트의 차이를 준 겁니다. HDMI 2.1에 VRR 적용으로 프리싱크 모드가 되어 있으니, 난 화질도 별 신경 안 쓰고 저가 TV 사서 게이밍만 해야지 하려고 하는 분도 많을껀데.. 플래그 쉽고 프리미엄 라인인 P시리즈와 P시리즈 X만이 프리싱크 48Hz-120Hz 지원을 하고, 보급형인 M과 V시리즈는 48Hz-60Hz으로 VRR 리플레시 레이트 제한을 걸어놨습니다.
즉 프리싱크나 지싱크 호환모드로는 60Hz 가 한계란 이야기이고 이 이상 넘어가면 테어링 발생.... 120Hz 프리싱크나 지싱크 사용하려면 고급 Tv사라는 이야기입니다.. 이거 너무하는 군요. 이런 창의성을 발휘할 줄은 몰랐습니다. 그런데 비지오 혼자만이 이런 형태 지원은 아닐 것 같고.. 타 회사들도 비슷하게 갈 것 같네요. HDMI 2.1 달고 뭐하는 건지 T_T
아 물론 TV는 매우 좋습니다. 한국에서 구입할 수 없지만요
덧글
프로세서로 등급 나누기도 억지로 만들었나 싶네요. 프로세서 원가라야 얼마 안 할 텐데, 이걸 또 등급을 나누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