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의 보급형 TU7000 나쁘지 않아 보인다. 디스플레이 이야기

TU7000: Samsung neue Crystal UHD 4K Smart TVs 2020 (4K Fime)

누구나 TV를 산다면 최고급 QLED 8K TV라던가 프리미엄 OLED TV 같은 것을 원할 것 입니다. 하지만 우리는 인정해야 하는 부분들이 있습니다, 바로 돈이 없다 입니다. 8K OLED나 QLED는 커녕 4K 해상도의 QLED 확산시트를 가진 제품조차도 사실 벌벌벌 떨게 만드는 고급품이긴 합니다. 당연하지만 각 TV 회사들은 그런 사람들을 위한 저렴한 제품들도 언제나 준비를 하는 것이지요.



QLED를 사용하지 않는 U 시리즈도 이제 MU, NU를 거쳐 TU까지 나오게 되었습니다. 당연하지만 비싼 QLED 확산시트는 사용하지 않았습니다만, 나노 크리스탈(NanoCrystal) 코팅을 사용한 크리스탈 UHD 라는 명칭으로 제품을 소개하고 있습니다. 이미지 프로세서도 크리스탈 프로세서 4K라고 따로 부르고 있고 말이죠.



이 제품이 훌륭한 제품이냐라던가 고화질을 추구하는 제품이 아니지만 기본적으로는 매우 사용성이 좋은 제품이란 점은 인정해야 한다고 봅니다. 타이젠 OS를 통한 최신 VOD 앱서시스들에 잘 대응하고 있고, HDMI 2,0b인 것은(그것도 2개만 있어서 T_T) 매우 아쉽지만 eARC지원이라던가 ALLM(Auto Game Mode) 지원이라는 점도 좋습니다.



딱 봐도 화질부분에서는 부족한 지점이 꽤나 있지만(엣지BLU, HDR10+ 미지원등) 타이젠 최신의 지원이라던가 구글 어시스턴트나 알렉사 지원이라던가 애플 에어플레이2 지원이라던가.. HDMI 2.0 이지만 VRR이나 게임 모드 지원 eARC출력 같은 편의기능적인 지점에서는 충분히 점수를 받을 자격이 있습니다. 그리고 65인치 제품이 549달러 밖에 하지 않는다는 점은 정말로 큰 장점입니다.

화질적인 부분들을 좀 포기하고 스마트 TV지원 부분과 편의성 그리고 가격을 잡는다는 목표로 만든 제품이고 무난하게 목표를 달성하지 않았나 생각을 합니다. 최근 중국제 4K 제품군들을 생각하면 그런 친구들과 어떤식으로 차별화화 가격경쟁을 하겠다는 삼성의 타겟팅이 잘 들어나는 지점이기도 하고요. 결국 성능 발전을 생각하면 쉬이 가격을 떨어뜨릴 수 있는 프로세서쪽에 투자를 하고 패널 같은 쪽이나 프라스틱 하우징 같은 것으로 돈을 최대한 아끼고 가격경쟁력을 확보하겠다는 것인데 방향성이 재미있긴 합니다.

국내 발매시 가격도 궁금하고 말이죠. 잘 되었으면 합니다.

덧글

  • USB 2020/02/09 18:31 # 삭제 답글

    USB가 2.0이네요.
  • USB 2020/02/09 18:32 # 삭제

    확실히 프로세서는 돈 크게 안 쓰고도 좋은 걸 넣을 수 있지요.
  • 로리 2020/02/09 18:32 #

    영상 재생은 아무래도 타이젠을 통한 네트워크 재생을 해라는 거겠죠
  • USB 2020/02/10 13:07 # 삭제

    이왕이면, USB 3.1 A형+C형 2개는 있어야지요. 랜은 아마 기가겠고요. 무선랜은 와파5인데, 이왕이면 6이 더 좋겠네요.
  • USB 2020/02/10 13:09 # 삭제

    구글 어쩌구도 지원하면 좋겠는데, 사양엔 없네요. 예를 들어, 스마트폰에서 유튜브 영상을 볼 때, TV에 영상 주소만 넘겨주면 TV가 알아서 재생합니다. 물론 영상에 대한 제어는 스마트폰에서 다 되고요.
  • 로리 2020/02/10 15:16 #

    미디어 캐스트 기능은 사양에 들어갈 이유도 없을 정도로 그냥 내장일껍니다. ^^

    USB 재생이 그리 없고 녹화기능이 그닥 필요 없으니... 3.0 이상 지원은 돈만 든다고 봤을 듯 하네요
  • 5thsun 2020/02/09 22:22 # 답글

    https://www.samsung.com/us/televisions-home-theater/tvs/crystal-uhd-tvs/65-class-tu7000-4k-uhd-hdr-smart-tv-2020-un65tu7000fxza/

    이미 출시 중이네요.

    36개월 무이자 할부까지 해서,

    미국 국내 발송만 하는거 같아서 안타깝습니다. ㅠ.ㅠ
  • 로리 2020/02/10 03:04 #

    기다리면 국내에 나오겠죠
  • teese 2020/02/10 12:05 # 답글

    필요한 정도의 스팩이랑 가격인데...
    한국에선 100넘기겠죠;;
  • 로리 2020/02/10 15:14 #

    솔직히 그렇게 되면 별 경쟁력이 없죠
  • Fedaykin 2020/02/10 12:30 # 답글

    한번 사면 십년은 쓰는디 삼성은 왜 계속 hdmi 2.0을 못넘는걸까요. 동급 lg는 2.1 잘 넣어주던디
  • 로리 2020/02/10 15:15 #

    동급은 LG도 아마 HDMI 2.0일껍니다..
  • dhunter 2020/02/12 10:21 # 삭제

    LG는 LG대로 펜타일이라 PC용으로 쓰기 애매하지 않을까? 생각때문에 좀 꺼려지더군요.
  • USB 2020/02/12 13:18 # 삭제

    서브픽셀로 장난 치면, 대문짝 만하게 적어둬야 합니다. 안 하면, 사기죄로 재드래곤이나 구광모 콩밥 먹여야 합니다. 몇 끼만 먹여도, 다시는 사기 안 칠 겁니다.
  • USB 2020/02/12 13:19 # 삭제

    엘쥐가 TV용 LCD 판넬에 독을 풀었어요. RG-BW 따위를 만들어서, TV 고를 때마다 서브픽셀 확인하느라 진이 빠집니다. 일단 구광모는 이걸로 콩밥 좀 먹어야 합니다.
  • 로리 2020/02/12 13:20 #

    M+가 원래라면 HDR에 저전력을 생각해서 잘 나왔으면 참 좋은 기술인데 역시 수건을 만들어야 행주로 쓰지 생각을 들게하는 건이었습니다
  • Fedaykin 2020/02/14 15:32 #

    그러네요, lg도 비슷한 급에는 hdmi 2.1이 아니군요 ㅠ 작년에 lg 9000 라인에는 hdmi 2.1을 어찌어찌 넣었는데 삼성은 안넣은걸 보고 아쉬웠던 기억이 있는지라 헷갈렸네요.

    lg에 wrgb 장난질은 욕 많이 먹어야죠 ㅠ 그거땜시 패널 일일히 알아보느라 진짜 귀찮더군요
  • 로리 2020/02/15 02:23 #

    LGD도 상위 제품은 모르겠지만 저런 보급형에 쉬이 들어가지 않겠죠
  • USB 2020/02/19 21:37 # 삭제

    TV가 M+ 인지 아닌지 알아볼 방법이 뭐가 있을까요? 모델명으로 검색해서 사용기 등을 뒤져보는데, 너무 오래 걸리네요.
  • 뢀라 2020/04/08 14:35 # 삭제 답글

    eARC 채널이면 돌비애트모스 스펙 있는 사운드바 연결하면 호환 될까요?
  • 로리 2020/04/08 17:44 #

    그 부분까진 잘.... 그건 삼성에 정식 문의 하심이... 싶습니다.
댓글 입력 영역
* 비로그인 덧글의 IP 전체보기를 설정한 이글루입니다.



2019 대표이글루_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