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U7000: Samsung neue Crystal UHD 4K Smart TVs 2020 (4K Fime)
누구나 TV를 산다면 최고급 QLED 8K TV라던가 프리미엄 OLED TV 같은 것을 원할 것 입니다. 하지만 우리는 인정해야 하는 부분들이 있습니다, 바로 돈이 없다 입니다. 8K OLED나 QLED는 커녕 4K 해상도의 QLED 확산시트를 가진 제품조차도 사실 벌벌벌 떨게 만드는 고급품이긴 합니다. 당연하지만 각 TV 회사들은 그런 사람들을 위한 저렴한 제품들도 언제나 준비를 하는 것이지요.

QLED를 사용하지 않는 U 시리즈도 이제 MU, NU를 거쳐 TU까지 나오게 되었습니다. 당연하지만 비싼 QLED 확산시트는 사용하지 않았습니다만, 나노 크리스탈(NanoCrystal) 코팅을 사용한 크리스탈 UHD 라는 명칭으로 제품을 소개하고 있습니다. 이미지 프로세서도 크리스탈 프로세서 4K라고 따로 부르고 있고 말이죠.

이 제품이 훌륭한 제품이냐라던가 고화질을 추구하는 제품이 아니지만 기본적으로는 매우 사용성이 좋은 제품이란 점은 인정해야 한다고 봅니다. 타이젠 OS를 통한 최신 VOD 앱서시스들에 잘 대응하고 있고, HDMI 2,0b인 것은(그것도 2개만 있어서 T_T) 매우 아쉽지만 eARC지원이라던가 ALLM(Auto Game Mode) 지원이라는 점도 좋습니다.

딱 봐도 화질부분에서는 부족한 지점이 꽤나 있지만(엣지BLU, HDR10+ 미지원등) 타이젠 최신의 지원이라던가 구글 어시스턴트나 알렉사 지원이라던가 애플 에어플레이2 지원이라던가.. HDMI 2.0 이지만 VRR이나 게임 모드 지원 eARC출력 같은 편의기능적인 지점에서는 충분히 점수를 받을 자격이 있습니다. 그리고 65인치 제품이 549달러 밖에 하지 않는다는 점은 정말로 큰 장점입니다.
화질적인 부분들을 좀 포기하고 스마트 TV지원 부분과 편의성 그리고 가격을 잡는다는 목표로 만든 제품이고 무난하게 목표를 달성하지 않았나 생각을 합니다. 최근 중국제 4K 제품군들을 생각하면 그런 친구들과 어떤식으로 차별화화 가격경쟁을 하겠다는 삼성의 타겟팅이 잘 들어나는 지점이기도 하고요. 결국 성능 발전을 생각하면 쉬이 가격을 떨어뜨릴 수 있는 프로세서쪽에 투자를 하고 패널 같은 쪽이나 프라스틱 하우징 같은 것으로 돈을 최대한 아끼고 가격경쟁력을 확보하겠다는 것인데 방향성이 재미있긴 합니다.
국내 발매시 가격도 궁금하고 말이죠. 잘 되었으면 합니다.
누구나 TV를 산다면 최고급 QLED 8K TV라던가 프리미엄 OLED TV 같은 것을 원할 것 입니다. 하지만 우리는 인정해야 하는 부분들이 있습니다, 바로 돈이 없다 입니다. 8K OLED나 QLED는 커녕 4K 해상도의 QLED 확산시트를 가진 제품조차도 사실 벌벌벌 떨게 만드는 고급품이긴 합니다. 당연하지만 각 TV 회사들은 그런 사람들을 위한 저렴한 제품들도 언제나 준비를 하는 것이지요.

QLED를 사용하지 않는 U 시리즈도 이제 MU, NU를 거쳐 TU까지 나오게 되었습니다. 당연하지만 비싼 QLED 확산시트는 사용하지 않았습니다만, 나노 크리스탈(NanoCrystal) 코팅을 사용한 크리스탈 UHD 라는 명칭으로 제품을 소개하고 있습니다. 이미지 프로세서도 크리스탈 프로세서 4K라고 따로 부르고 있고 말이죠.

이 제품이 훌륭한 제품이냐라던가 고화질을 추구하는 제품이 아니지만 기본적으로는 매우 사용성이 좋은 제품이란 점은 인정해야 한다고 봅니다. 타이젠 OS를 통한 최신 VOD 앱서시스들에 잘 대응하고 있고, HDMI 2,0b인 것은(그것도 2개만 있어서 T_T) 매우 아쉽지만 eARC지원이라던가 ALLM(Auto Game Mode) 지원이라는 점도 좋습니다.

딱 봐도 화질부분에서는 부족한 지점이 꽤나 있지만(엣지BLU, HDR10+ 미지원등) 타이젠 최신의 지원이라던가 구글 어시스턴트나 알렉사 지원이라던가 애플 에어플레이2 지원이라던가.. HDMI 2.0 이지만 VRR이나 게임 모드 지원 eARC출력 같은 편의기능적인 지점에서는 충분히 점수를 받을 자격이 있습니다. 그리고 65인치 제품이 549달러 밖에 하지 않는다는 점은 정말로 큰 장점입니다.
화질적인 부분들을 좀 포기하고 스마트 TV지원 부분과 편의성 그리고 가격을 잡는다는 목표로 만든 제품이고 무난하게 목표를 달성하지 않았나 생각을 합니다. 최근 중국제 4K 제품군들을 생각하면 그런 친구들과 어떤식으로 차별화화 가격경쟁을 하겠다는 삼성의 타겟팅이 잘 들어나는 지점이기도 하고요. 결국 성능 발전을 생각하면 쉬이 가격을 떨어뜨릴 수 있는 프로세서쪽에 투자를 하고 패널 같은 쪽이나 프라스틱 하우징 같은 것으로 돈을 최대한 아끼고 가격경쟁력을 확보하겠다는 것인데 방향성이 재미있긴 합니다.
국내 발매시 가격도 궁금하고 말이죠. 잘 되었으면 합니다.
덧글
USB 재생이 그리 없고 녹화기능이 그닥 필요 없으니... 3.0 이상 지원은 돈만 든다고 봤을 듯 하네요
이미 출시 중이네요.
36개월 무이자 할부까지 해서,
미국 국내 발송만 하는거 같아서 안타깝습니다. ㅠ.ㅠ
한국에선 100넘기겠죠;;
lg에 wrgb 장난질은 욕 많이 먹어야죠 ㅠ 그거땜시 패널 일일히 알아보느라 진짜 귀찮더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