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VA는 대형 디스플레이에 거의 쓰이는가? 를 보여주는.. 디스플레이 이야기




LCD 액정 배향 방식 중에서 왜 VA 모드의 LCD들이 결국 대형 TV에 국한되었는가를 잘 보여주는 장면이 초반에 있네요. 바로 액정의 내충격성 문제... 저런 충격시 자국 문제가 크고... 시야각과 함께 저 문제 때문에 모바일하고 터치형 태블릿에서 한계를 가지게된... 사실 싼 모니터면 모를까 비싼 대형 티비 누름 자국 보여주는 사람이 없다보니 저런 영상이 나올려나 했는데 말이죠


덧글

  • 모니터 2020/10/28 16:01 # 삭제 답글

    고정식 모니터에선 (TV처럼) 별 문제 안 되는 단점인데, 이상하게도 모니터도 IPS가 압도적으로 많네요.
  • 로리 2020/10/28 16:02 #

    그 외에도 IPS가 시야각 장점도 큽니다.
  • 새벽안개냄새 2020/10/29 19:25 # 답글

    구리구리한 암부 표현 때문에 IPS를 별로 좋아하지는 않는데 VA도 나름 단점이 너무 많으니..

    해답은 역시 OLED겠죠 ㅎㅎ
  • 로리 2020/10/30 14:19 #

    하지만 번인과 ABL이 기다리죠 ^^
  • 백라이트 2020/10/30 14:56 # 삭제

    요즘은 (로컬 디밍) LCD도 전력/발열 때문인지, ABL 제한이 있는 듯 하더군요; 일부 흰색과 전체 흰색 밝기가 다릅니다. CPU도 작동하는 코어수가 많아질수록 전력/발열 때문에 클럭이 내리는데, 백라이트도 켜지는 갯수가 많을수록 밝기가 떨어지나 봅니다.
    어쨌든, 올레드와 (로컬 디밍) LCD 둘 다, 전원과 냉각만 잡으면 ABL은 올릴 수 있을 텐데요.
댓글 입력 영역
* 비로그인 덧글의 IP 전체보기를 설정한 이글루입니다.



2019 대표이글루_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