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S와의 엑스박스 시리즈 S 인터뷰 내용 및 보도 요약 (루리웹)
The big Xbox Series S interview: why Microsoft made an entry-level next-gen console (유로게이머)

해당 기사는 어째서 성능이 아직도 출중한 XBOX ONE X같은 기기가 있음에도 시리즈 S같은 저가형 신형 콘솔을 만들어야 했는가에 대한 유로게이머 디지털 파운드리와 마이크로 소프트간의 인터뷰입니다만... 이 기사의 진짜 의미는 "현재 나온 차세대 콘솔 제품들의 가격 인하가 어렵고, 다시금 PS4 PRO나 XBOX ONE X같은 업그레이드형 콘솔이 나올 수 밖에 없는 이유"에 가까운 인터뷰가 되었다고 봅니다.
위의 인터뷰에서 보듯...
현재의 반도체 미세 공정은 매우 비쌉니다. 과거에서는 반도체 미세공정을 하면 자연스럽게 실리콘 크기가 줄면서 가격도 줄고 전력 소모나 여러 가격 하강의 이점이 있었는데, 7나노에 들어서면서 전력소모 이슈를 제외하고서는 제조 비용이 줄어들지 않는 문제가 걸려 있습니다.
저 기사의 인터뷰에서는 그 문제 때문에 16나노의 XBOX ONE X의 7나노 저가형을 만드는 것보다 신규로 XBOX 시리즈 S 같은 저가형 콘솔을 만들었다는 이야길 하지만... 이 말은 곧 현재의 XBOX 시리즈 X나 PS5에도 같이 적용된다는 이야기이기도 합니다. 현재의 반도체 미세화 경향이 이어진다면 PS4 슬림이나 XBOX ONE S같은 가격인하 제품이 나오기에는 단가가 맞지 않고 결국 이윤을 보장받기 위해서는 현재의 499달러 콘솔을 계속 만들어야 하니 PS5 PRO(?)나 엑스박스 시리즈 X2(?)가 나와야 한다는 이야기이기도 합니다.
물론 반도체 공정 비용 경향은 얼마든지 바뀔 수 있고 현재의 콘솔이 저가형이 나올 2~3년 뒤에 3나노쯤(?)되는 시기의 공정 비용이 바뀌면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는 이야기입니다만 아무래도 어렵지 않을까 싶습니다. 과연 가격 인하가 될지 궁금하네요
The big Xbox Series S interview: why Microsoft made an entry-level next-gen console (유로게이머)

해당 기사는 어째서 성능이 아직도 출중한 XBOX ONE X같은 기기가 있음에도 시리즈 S같은 저가형 신형 콘솔을 만들어야 했는가에 대한 유로게이머 디지털 파운드리와 마이크로 소프트간의 인터뷰입니다만... 이 기사의 진짜 의미는 "현재 나온 차세대 콘솔 제품들의 가격 인하가 어렵고, 다시금 PS4 PRO나 XBOX ONE X같은 업그레이드형 콘솔이 나올 수 밖에 없는 이유"에 가까운 인터뷰가 되었다고 봅니다.
- 엑스박스 360 세대가 끝날 무렵, CPU와 GPU가 하나의 칩으로 통합되었고 공정 미세화가 이루어지면서 실리콘 비용이 절감되었다.(90나노 -> 32나노)
- 프로세서 성능은 트랜지스터 수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지만 트랜지스터당 비용이 줄지 않는다면, 더 많은 로직을 가진 새로운 칩은 비록 오늘날의 프로세서보다 더 작더라도 제작하는데 훨씬 더 많은 비용이 들 것이다.
왜냐면 7nm 공정은 16nm 공정에 비해 비용 효율적이지 않다. 7nm 비용도 감소하고 있지만 승산이 없었다. 그래도 낸드 플래시 모듈 비용이 양호한 속도로 감소하고 있었지만, 그것이 원가 절감으로 이어질지 미지수였다.
위의 인터뷰에서 보듯...
현재의 반도체 미세 공정은 매우 비쌉니다. 과거에서는 반도체 미세공정을 하면 자연스럽게 실리콘 크기가 줄면서 가격도 줄고 전력 소모나 여러 가격 하강의 이점이 있었는데, 7나노에 들어서면서 전력소모 이슈를 제외하고서는 제조 비용이 줄어들지 않는 문제가 걸려 있습니다.
저 기사의 인터뷰에서는 그 문제 때문에 16나노의 XBOX ONE X의 7나노 저가형을 만드는 것보다 신규로 XBOX 시리즈 S 같은 저가형 콘솔을 만들었다는 이야길 하지만... 이 말은 곧 현재의 XBOX 시리즈 X나 PS5에도 같이 적용된다는 이야기이기도 합니다. 현재의 반도체 미세화 경향이 이어진다면 PS4 슬림이나 XBOX ONE S같은 가격인하 제품이 나오기에는 단가가 맞지 않고 결국 이윤을 보장받기 위해서는 현재의 499달러 콘솔을 계속 만들어야 하니 PS5 PRO(?)나 엑스박스 시리즈 X2(?)가 나와야 한다는 이야기이기도 합니다.
물론 반도체 공정 비용 경향은 얼마든지 바뀔 수 있고 현재의 콘솔이 저가형이 나올 2~3년 뒤에 3나노쯤(?)되는 시기의 공정 비용이 바뀌면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는 이야기입니다만 아무래도 어렵지 않을까 싶습니다. 과연 가격 인하가 될지 궁금하네요
덧글
새로운 세대 GPU가 나오면, 사골 칩 값을 내려 계속 찍지 않고 단종하지요. 대신에 최신 기술을 적용한 저가형 버전을 새로 만듭니다. 이렇게 해야, 최신 기술이 들어간 GPU가 더 빨리 퍼지고, 구닥다리 GPU 지원하느라 SW 발전이 늦어지는 걸 막을 수 있습니다.
아이폰도 마찬가지입니다. 얼마 전까지는 구형 아이폰을 저가형으로 팔았지요. 그런데 이제는, 매 세대마다 저가형~고가형 라인업이 최신 기술 담고 나옵니다. iOS를 보면 더 명확한데, 애플은 무려 6s도 iOS를 계속 최신으로 업데이트 해 주고, 대신 옛 iOS 지원을 끊어 버립니다. 이러면 앱도 옛 iOS에 발목 안 잡히고, 최신 iOS만 생각하고 만들 수 있지요.
정리하면, 아이폰이나 VGA 분야 제품 갱신 모델을 따르는 듯 합니다.
만약 엑박을 업무용 PC처럼 쓴다면, 사골도 괜찮을 수 있습니다. 그런데 구형 엑박은 CPU가 재규어라, 업무용으로도 라이젠2 쓰는 신형 엑박 저가형에 짓밟힙니다.
그리고 일정 시간이 지나면 기계가 느려지게 한 후 새 기계를 사게 하고...
이 작은 게 1테라라니 ㄷㄷㄷ.jpg
http://mlbpark.donga.com/mp/b.php?p=1&b=bullpen&id=202012030050225108&select=&query=&user=&site=donga.com&reply=&source=&sig=h6jjSY-1j3HRKfX2hgjXGg-Yhhlq