ハイセンス、BT.2020色域を107%カバーするレーザーテレビ (와치 임프레스)

하이센스는 이전부터 레이져 단촛점 프로젝터를 발매해왔는데, 이번에 대형사고를 치는군요. 바로 RGB광원을 사용해서 레이져 단촛점 프로젝션 TV를 만들었습니다. 다 아시다시피 영상업계의 숙원은 ColorGamut을 BT2020 표준까지 넓히는 것 입니다. 하지만 LCD는 애초에 탈락이고 WOLED 역시 컬러필터 효율 문제로 개멋 향상은 어렵습니다. 퀀텀닷 소재를 사용하면 광색역에 더 유리하지만 LCD에 필름 투과로는 WOLED나... 이고 QDCF는 아직 가능성의 영역이고.. 자발광 퀀텀닷이라면? 정도를 기대하고 있는게 현실입니다. 심지어 마이크로 LED로 아직 안 됩니다..
그런데 사실 모두들 이걸 한방에 해결할 물건이 있다는 것은 알고 있습니다. 바로 레이저 광원 입니다. 청색광 레이져를 컬러필터에 통과시키는 방법을 사용하는 것만으로 DCI-P3 표현이 가능한데 이게 RGB 삼색광 레이져를 사용하면 그냥 바로 BT2020 정복이라는 것이죠. 결국 파장의 물리학 문제니까요.
하지만 RGB 레이져 광원은 비싸고, 에너지 소모도 크고, 안전 문제도 있고 좌우지간 아직 연구소 레벨을 못 벗어난다 싶었는데, 이걸 하이센스가 해버리네요.

75인치 85인치 두 인치의 제품군이 있고,(스크린자체가 레이져다 보니 전용 광학 스크린을 써야할듯) 350니트, 430니트로 밝기역시 준수합니다. 당연히 놀라운 BT 2020 대비 컬러개멋에서 107% 라는 엄청난 부분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물론 아직 가격은 나오지 않았지만 개방형 프로젝터형태라는 점이나 RGB 레이져 광원을 생각하면 절대 싸게 나올리는 없다고 봅니다.
하이센스가 이런걸 하네요. 재미있는 시도인데 DLP라는 이야기가 없이 DMD 솔루션만 나오는 것을 보면 TI 모듈이 아니고 아무래도 뭔가 독자적인 DMD 모듈이 아닐까 합니다. 잘 되었으면 합니다. 실물도 보고 싶습니다.그런데 내장 스마트 카메라는 좀 무서운데?

하이센스는 이전부터 레이져 단촛점 프로젝터를 발매해왔는데, 이번에 대형사고를 치는군요. 바로 RGB광원을 사용해서 레이져 단촛점 프로젝션 TV를 만들었습니다. 다 아시다시피 영상업계의 숙원은 ColorGamut을 BT2020 표준까지 넓히는 것 입니다. 하지만 LCD는 애초에 탈락이고 WOLED 역시 컬러필터 효율 문제로 개멋 향상은 어렵습니다. 퀀텀닷 소재를 사용하면 광색역에 더 유리하지만 LCD에 필름 투과로는 WOLED나... 이고 QDCF는 아직 가능성의 영역이고.. 자발광 퀀텀닷이라면? 정도를 기대하고 있는게 현실입니다. 심지어 마이크로 LED로 아직 안 됩니다..
그런데 사실 모두들 이걸 한방에 해결할 물건이 있다는 것은 알고 있습니다. 바로 레이저 광원 입니다. 청색광 레이져를 컬러필터에 통과시키는 방법을 사용하는 것만으로 DCI-P3 표현이 가능한데 이게 RGB 삼색광 레이져를 사용하면 그냥 바로 BT2020 정복이라는 것이죠. 결국 파장의 물리학 문제니까요.
하지만 RGB 레이져 광원은 비싸고, 에너지 소모도 크고, 안전 문제도 있고 좌우지간 아직 연구소 레벨을 못 벗어난다 싶었는데, 이걸 하이센스가 해버리네요.

75인치 85인치 두 인치의 제품군이 있고,(스크린자체가 레이져다 보니 전용 광학 스크린을 써야할듯) 350니트, 430니트로 밝기역시 준수합니다. 당연히 놀라운 BT 2020 대비 컬러개멋에서 107% 라는 엄청난 부분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물론 아직 가격은 나오지 않았지만 개방형 프로젝터형태라는 점이나 RGB 레이져 광원을 생각하면 절대 싸게 나올리는 없다고 봅니다.
하이센스가 이런걸 하네요. 재미있는 시도인데 DLP라는 이야기가 없이 DMD 솔루션만 나오는 것을 보면 TI 모듈이 아니고 아무래도 뭔가 독자적인 DMD 모듈이 아닐까 합니다. 잘 되었으면 합니다. 실물도 보고 싶습니다.
덧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