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AMSUNG NEO QLED 8K, SAMSUNG NEO QLED 8K (삼성전자 미국)

삼성전자 미국에서 드디어 미니LED 기반의 QLED LCD TV인 NEO QLED 제품군의 프리오더를 시작했습니다. 4K, 8K 제품군들이 동시에 시작하는 군요. 8K 쪽은 뭐... 이거 당연하다면 당연한 높은 가격으로 나왔지만, 4K쪽은 상당히 저렴한(?) 가격에 나와서 놀랐습니다. (물론 OLED TV보다 더 비싼데 -_-;;;;;)
뭐 8K 제품군은 나쁜게 없는데 4K 제품군은 좀 아쉬운 부분이...

HDMI 4만 4K 120hz 입력이 되나 봅니다.. 8K야 HDMI 2.1이 아니면 8K 60P를 받을 수 없으니 원커넥트 박스에 저런 제한이 안 보이던데.. 4K쪽은 2020년 제품군처럼 제한을 두네요. 왜 저렇게 하는지..

물론 좋은 부분도 보이는데 바로 멀티뷰 기능입니다.
PIP 가 아니라 이건 앱과 방송 전반을 저렇게 멀티뷰로 볼 수 있고 설정할 수 있다는 것인데, 현재 TV들이 OTT서비스와 심지어 방송도 공중파로 본다기 보다 IPTV기반으로 앱을 설치해서 보는 케이스도 있는 것을 생각하면 좋은 대응이 아닌가 싶더군요.
사실 삼성 TV를 화질로서 주목하는 분들이 있지만 전 좀 미니LED에는 부정적인 부분이 있어서... 그닥이지만 삼성 TV가 가지고 있는 라이프 스타일적인 제안에 대해서는 훌륭하다고 보는 입장입니다. TV와 캠을 연결해서 헬스 트레이닝을 할 수 있게 한다던가 화상회의 솔루션으로 접근이나, 저런 앱들을 멀티 테스킹해서 다양한 정보를 보여주게 한다던가 장애인들을 위한 옵션 같은 것들 말이죠.
OLED쪽에서 evo패널쪽을 단 소니 제품군이나 G1 같은 제품 이야기가 풀리는 만큼 이제 빨리 삼성도 정보를 더 풀었으면 하네요. 잘 되었으면 합니다

삼성전자 미국에서 드디어 미니LED 기반의 QLED LCD TV인 NEO QLED 제품군의 프리오더를 시작했습니다. 4K, 8K 제품군들이 동시에 시작하는 군요. 8K 쪽은 뭐... 이거 당연하다면 당연한 높은 가격으로 나왔지만, 4K쪽은 상당히 저렴한(?) 가격에 나와서 놀랐습니다. (물론 OLED TV보다 더 비싼데 -_-;;;;;)
뭐 8K 제품군은 나쁜게 없는데 4K 제품군은 좀 아쉬운 부분이...

HDMI 4만 4K 120hz 입력이 되나 봅니다.. 8K야 HDMI 2.1이 아니면 8K 60P를 받을 수 없으니 원커넥트 박스에 저런 제한이 안 보이던데.. 4K쪽은 2020년 제품군처럼 제한을 두네요. 왜 저렇게 하는지..

물론 좋은 부분도 보이는데 바로 멀티뷰 기능입니다.
PIP 가 아니라 이건 앱과 방송 전반을 저렇게 멀티뷰로 볼 수 있고 설정할 수 있다는 것인데, 현재 TV들이 OTT서비스와 심지어 방송도 공중파로 본다기 보다 IPTV기반으로 앱을 설치해서 보는 케이스도 있는 것을 생각하면 좋은 대응이 아닌가 싶더군요.
사실 삼성 TV를 화질로서 주목하는 분들이 있지만 전 좀 미니LED에는 부정적인 부분이 있어서... 그닥이지만 삼성 TV가 가지고 있는 라이프 스타일적인 제안에 대해서는 훌륭하다고 보는 입장입니다. TV와 캠을 연결해서 헬스 트레이닝을 할 수 있게 한다던가 화상회의 솔루션으로 접근이나, 저런 앱들을 멀티 테스킹해서 다양한 정보를 보여주게 한다던가 장애인들을 위한 옵션 같은 것들 말이죠.
OLED쪽에서 evo패널쪽을 단 소니 제품군이나 G1 같은 제품 이야기가 풀리는 만큼 이제 빨리 삼성도 정보를 더 풀었으면 하네요. 잘 되었으면 합니다
덧글
LCD도 번인 시험에 맛이 가네요? 삼성 VA는 말짱한데, LG IPS는 맛이 가는 듯.
https://www.rtings.com/tv/learn/permanent-image-retention-burn-in-lcd-ol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