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니 투데이의 단독 보도로 엄청난 이야기가 나왔습니다.
바로 삼성전자가 LGD의 OLED TV패널을 받는다는 엄청난 소식 입니다. 현재 LCD TV의 최대의 적은 바로 수익률 입니다. 이전에도 수익률이 좋진 않았지만서도 일단 LCD패널값이 워낙 쌌기 때문에 허용할 수 있는 부분이 있었지만 코로나로 인한 수요 증가와 패널 제조사들의 구형 라인 정리같은 부분들이 섞이면서 패널 가격이 올라갔다는 점입니다.
예전에도 말했지만 결국 LCD TV에서 프리미엄 추구는 소비자들에게 좋은 반응을 얻긴 어렵기도 하고, 삼성 전자 입장에서도 중국 패널사에게 주도권을 주고 갈 수는 없다는 것이 문제 입니다. 다만 QD-OLED는 아직 양산 궤도에 오르지 않았고 위험성도 큰게 문제이기 때문에 이 딜의 헛소리는 아니긴 합니다.
하지만 이렇게 중요한 이야기가 뒷 소식으로 빠져나오는 것을 보면... 이건 또 삼성전자 VD가 삼성 디스플레이에 대해서 장난치는 언플용 같단 인상도 지우기 어렵습니다. 삼성 디스플레이는 지금 잠시 가격이 올랐다고 해도 LCD TV패널 시장 수요에 그리 큰 기대를 잡고 있지 않고 현재의 대형 LCD 라인 유지는 결국 QD-OLED패널 공급을 삼성전자 VD에 인질로 삼은 것이니까요.
즉 삼성전자가 QD-OLED는 당장 하면 망할 것 같으니 패스 하면서 중국 제조사에 호구 안 잡히면서 삼성 디스플레이에 우리는 플랜B(LG OLED)가 있다고 하는 것 같기도 하단 말이죠. 정말로 이건 가능할지 어떨지 하나도 모르겠습니다. 개인적으로는 이 딜이 성공해서 삼성의 OLED TV가 나왔으면 하네요. 다만 확률은 그렇게 높지 않다고 봅니다.
PS. 그런데 이제 디스플레이 보도는 국내언론사 보도들이 해외로 수출되는 형태가 정착되었네요. 격세지감입니다.
덧글
매장에 가 보니, 삼성 제일 비싼 TV보다 올레드 제일 싼 모델 화질이 더 좋아 보이네요. 명암비 덕인지, 밝기가 더 낮은 올레드가 훨씬 밝은 LCD보다 더 밝게 느껴져요.
이제 LG 뿐 아니고, 소니, 파나소닉, 도시바, 후나이, 비지오, TCL등이 올레드 TV 만드는데, LCD 만으로는 후나이나 TCL 등에게도 화질로 털릴 판입니다.
미니LED는 검정에서 이득이 있는것이지 시야각에서 색상틀어짐 까지 잡아주는것은 아니죠.
말은 주워 담을 수 없는데 말이죠. ㅋㅋㅋㅋ
저라면 삼성에 패널 안 줄 거 같은데 LG가 대인배군요.
물량이 얼만데
http://www.hwbattle.com/bbs/board.php?bo_table=news&wr_id=148338
미니LED 쓰는 아이패드 나왔네요. LED는 1만개인데, 디밍존은 2,596 개 밖에 안 되네요. 디밍존마다 LED 4개 씩 들어가는 듯. LED 1개마다 디밍존 안 만드는 까닭은 뭘까요?
------------------
업계소식 | Apple, M1 칩 기반 Liquid Retina XDR 디스플레이 탑재 iPad Pro 공개
작성자 나중에 작성일21-04-21 09:49 조회57회 댓글3건
가장 중요한 변화는 역시나 디스플레이로 Mini-LED 방식을 탑재하여 1만개의 LED 를 사용하여 1,000 nits 의 최대 풀스크린 밝기를 제공하고 최고 밝기는 1,600 nits 를 자랑합니다. 로컬 디밍존이 2,596 개로 음영 표현에서 놀라운 성능을 발휘하게 되는데 Apple 은 이것을 Liquid Retina XDR 이라고 하고 있습니다.
ProMotion 120Hz 디스플레이를 지원하고 P3 와이드 컬러 대역 표현이 가능하며 팩토리 캘리브레이션 상태로 출고됩니다.
http://www.hwbattle.com/bbs/board.php?bo_table=news&wr_id=148416
기사입력 2021.04.26. 오전 6:02 기사원문 스크랩
‘애플 신제품 화면=한국 기업’ 공식 깨져
LG디스플레이, 대만과 납품가 경쟁에 부담
中 이어 대만도 LCD 시장서 韓 밀어내는 시도
삼성·LG, 중소형 OLED로 승부수
애플 아이패드 프로의 미니LED는 대만 에피스타에서 공급하고, 디스플레이 칩 실장(회로에 칩을 부착하는 공정)과 모듈은 TSMT가 담당한다. 미니LED·모듈과 붙는 LCD 패널은 대만의 디스플레이 업체 AOU가 맡는다.
‘리퀴드 레티나 XDR 디스플레이’라는 이름이 붙은 12.9인치 신형 아이패드 프로의 화면에는 BLU에 1만개 이상의 미니LED가 들어갔다. 이를 통해 최대 1000니트(1니트=1㎡에 촛불 1개를 켜놓은 밝기)의 전체화면밝기, 최대 1600니트의 최대 밝기를 낸다. 명암비는 100만대 1이다. 애플이 미니LED를 적용한 것은 아이패드를 포함, 전 제품 최초다.
다만 애플은 삼성디스플레이와 LG디스플레이에 OLED 패널 개발을 의뢰한 것으로 알려졌다. 정확한 라인업은 파악되지 않았지만, 업계는 내년 출시할 기기부터 삼성과 LG가 개발한 OLED 패널 적용이 시작될 것으로 전망한다.
해당 OLED는 변형이 자유로운 플렉시블과 형태가 고정된 리지드 OLED를 섞은 하이브리드 방식이 될 것으로 관측된다. 삼성디스플레이가 2022년부터 먼저 공급하고, LG디스플레이는 2023년부터 공급망에 합류할 것으로 보인다.
또 애플은 올해 하반기 출시가 예상되는 아이폰13(가칭)의 디스플레이 주사율을 기존 60㎐에서 120㎐로 끌어 올리기 위해 저온다결정산화물(LTPO) 박막트랜지스터(TFT) OLED를 채용할 예정이다. 이 패널은 현재 삼성디스플레이만 양산할 수 있다.
https://news.naver.com/main/ranking/read.nhn?mode=LSD&mid=shm&sid1=001&oid=366&aid=0000707135&rankingType=RANK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