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V 사업 속앓는 삼성, QD 주력화 어렵고 QNED는 뜬구름 (IT조선)
사실 코로나가 없었으면 삼성이 이정로도 몰릴(?)일은 없었을 것 입니다.
원래라면 LCD 산업의 구조조정이 있다치더라도 패널 가격의 급격한 상승장은 없었을 것이고, 중국 패널 업체들의 영향력이 커질 가능성은 낮았습니다. 차이나스타 같은 곳에 LCD 라인을 확실하게 확보하고 느긋하게 QD디스플레이건 마이크로 LED건 QNED건 연구해서 싼 LCD를 마켓팅 파워로 이익율 높게 잡아서 가고 다음에 프리미엄을 추구할 수도 있었을 것 입니다.
하지만 뭐 그런 세상은 오지 않았습니다.
반도체 시장의 부족으로 가격의 상승 덤으로 LCD 패널 수요가 늘면서 패널 제조사들의 협상력 강화.. 거기다가 경쟁사의 OLED 패널 증산까지 여러 일이 한꺼번에 터졌습니다.
그러다보니 원래라면 느긋하게 준비해도 될 문제들이 큰 압박으로 다가왔습니다.
QD디스플레이는 OLED를 디스했다보니 뭔가 이건 아닌데 이야기가 나오게 되고, 마이크로 LED는 언제 양산성이 오를지 모릅니다. 언젠가 준비한다는 QNED같은 퀀텀닷 발광 소자는 그냥 언젠가의 이야기일 뿐입니다. 보통 이런식으로 문제들이 같이 터지진 않는데 이게 같이 터지고 있다는 것이 문제입니다.
사실 OLED TV 같은 신기술의 영역을 빨리 안 간것은 결국 기존 LCD기반으로 마켓팅 분칠으로 잘 나갔기 때문이었고 잘 나다가보니 딱히 빠르게 준비할 필요가 없었을 뿐인데 이런 이야기가 나오게 되네요. 과연 삼성전자 TV 사업부(VD)가 어떤식으로 위기를 넘길지 궁금해집니다. 사실 위기같은건 아닐 수도 있겠지만요.
사실 코로나가 없었으면 삼성이 이정로도 몰릴(?)일은 없었을 것 입니다.
원래라면 LCD 산업의 구조조정이 있다치더라도 패널 가격의 급격한 상승장은 없었을 것이고, 중국 패널 업체들의 영향력이 커질 가능성은 낮았습니다. 차이나스타 같은 곳에 LCD 라인을 확실하게 확보하고 느긋하게 QD디스플레이건 마이크로 LED건 QNED건 연구해서 싼 LCD를 마켓팅 파워로 이익율 높게 잡아서 가고 다음에 프리미엄을 추구할 수도 있었을 것 입니다.
하지만 뭐 그런 세상은 오지 않았습니다.
반도체 시장의 부족으로 가격의 상승 덤으로 LCD 패널 수요가 늘면서 패널 제조사들의 협상력 강화.. 거기다가 경쟁사의 OLED 패널 증산까지 여러 일이 한꺼번에 터졌습니다.
그러다보니 원래라면 느긋하게 준비해도 될 문제들이 큰 압박으로 다가왔습니다.
QD디스플레이는 OLED를 디스했다보니 뭔가 이건 아닌데 이야기가 나오게 되고, 마이크로 LED는 언제 양산성이 오를지 모릅니다. 언젠가 준비한다는 QNED같은 퀀텀닷 발광 소자는 그냥 언젠가의 이야기일 뿐입니다. 보통 이런식으로 문제들이 같이 터지진 않는데 이게 같이 터지고 있다는 것이 문제입니다.
사실 OLED TV 같은 신기술의 영역을 빨리 안 간것은 결국 기존 LCD기반으로 마켓팅 분칠으로 잘 나갔기 때문이었고 잘 나다가보니 딱히 빠르게 준비할 필요가 없었을 뿐인데 이런 이야기가 나오게 되네요. 과연 삼성전자 TV 사업부(VD)가 어떤식으로 위기를 넘길지 궁금해집니다. 사실 위기같은건 아닐 수도 있겠지만요.
덧글
LG 제일 싼올레드 > 삼성 제일 비싼 TV
입니다. LCD는 번인과 밝기 말고는 (거의) 무조건 올레드보다 안 좋아요.
QNED, QD디스플레이, QLED
등인데요. 그나마 QNED 설명은 있네요.
"QNED 기술은 나노로드라고 부르는 긴 막대기 모양의 청색 LED를 발광 소자로 삼는다. 무기 소자가 빛을 내는 구조로, 이론상으로는 유기 화합물을 채용한 OLED와 대척점을 이룬다. 긴 수명과 적은 잔상(번인), 낮은 전력소모가 장점이다. 생산 원가도 QD디스플레이 보다 저렴한 것으로 알려졌다."
올레드에 대응하는 진짜 자발광은 QNED라고 부르나 봅니다. 그러면, QD디스플레이, QLED 등은 또 뭔가요?
QNED > QD-OLED >> QLED
네요. 하지만 삼성은 앞의 2개는 양산을 못 하고 있고요.
아이패드 올레드 탑재 -> 중소형 올레드 생산 늘고 싸짐 -> 타블렛이나 노트북에 올레드 많이 쓰임 -> LCD 수요 줄어듬 -> LCD 값 내림
이라는 과정을 거쳐서요.
애플, 아이패드에 OLED 채택 확정...중소형 OLED 투자 기대
입력2021.05.31. 오후 4:02
수정2021.05.31. 오후 5:38
윤건일 기자
https://n.news.naver.com/article/030/0002947897
삼성에겐 LG의 WOLED 같은 대형 OLED 양산할 무기가 없기 때문이겠죠.
옴니아 > 소형 OLED기술을 이용해서 대형 OLED 만들기로 했는데 결국 소형과 대형은 너무 요구조건이 달라서 수율이 나오지 않아서 실패했습니다.
올해 초부터 생산량 90% 줄여
TV용 등 기존 계약 물량 일부만 생산
1분기 전 세계 출하량, 전분기 대비 8%↓
윤진우 기자
입력 2021.06.04 06:00
삼성디스플레이가 기존에 계약된 물량 외에는 모니터용 액정표시장치(LCD) 패널 생산을 사실상 중단한 것으로 확인됐다. 사업 철수를 본격화한 것이다.
삼성디스플레이는 올해 초부터 모니터용 LCD 생산량을 기존과 비교해 90% 이상 줄였다. 업계 관계자는 “모니터용 LCD 계약이 체결된 물량까지만 생산하는 것으로 알고 있다”라며 “사업을 유지하기 위한 새로운 패널을 생산하지는 않는다”라고 했다.
삼성디스플레이는 올해 들어 노트북용 OLED 패널 생산을 확대하는 등 모니터용 LCD 패널 생산의 빈자리를 채워나가고 있다. 삼성디스플레이는 지난 1월 올해 노트북용 OLED 패널을 10종 이상으로 확대하겠다고 선언했고, 지난달에는 OLED가 탑재된 삼성전자 노트북이 실제 출시되기도 했다. 삼성디스플레이는 LCD가 중심인 노트북용 패널 시장에서 OLED로의 전환을 선점해 나간다는 계획을 세웠다.
업계에서는 삼성디스플레이가 올해 하반기 모니터용 LCD 생산을 완전히 중단할 것으로 보고 있다.
https://biz.chosun.com/it-science/ict/2021/06/04/M6PU3JC7QVDTVNOBOT7ERK4ES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