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amsung is opening up Tizen OS to other TV brands (SamMobile)

삼성이 10월 26일 SDC21 이벤트에서 자사의 스마트 TV OS인 타이젠을 타사에 열어주겠다는 이야길 했습니다. LG가 자사의 Web OS를 개방하겠다는 이야길 했고(기사링크) 그 대응이 아닐까 싶습니다.
다양한 OTT 서비스들이 늘어나고 있고 결국 그런 OTT 서비스 회사들이 지속적으로 스마트 TV의 지원을 하게 만들려면 점유율이 중요하기 때문에 삼성도 LG도 이런 자사 OS를 개방하는 형태로 가는 것이 아닐까 싶습니다.
이런 부분들이 참 재미있는 부분들이 있는데, 유튜브나 넷플릭스처럼 이미 시장에 우위를 가진 OTT 서비스는 들어가는 트래픽이 크기 때문에 그 부분을 아끼기 위해서 AV1 같은 신코덱을 더더욱 지원하고 레거시를 겆어내려고 하는데 신규진입자인 애플의 경우 LG전자의 2016, 17년 모델에 대해서 애플 TV+ 서비스가 앱을 지원하기로 한 사례도 있다는 것을 생각하면 결국 점유율이 중요하다 생각을 하게 됩니다.
정말 잘 되었으면 합니다.

삼성이 10월 26일 SDC21 이벤트에서 자사의 스마트 TV OS인 타이젠을 타사에 열어주겠다는 이야길 했습니다. LG가 자사의 Web OS를 개방하겠다는 이야길 했고(기사링크) 그 대응이 아닐까 싶습니다.
다양한 OTT 서비스들이 늘어나고 있고 결국 그런 OTT 서비스 회사들이 지속적으로 스마트 TV의 지원을 하게 만들려면 점유율이 중요하기 때문에 삼성도 LG도 이런 자사 OS를 개방하는 형태로 가는 것이 아닐까 싶습니다.
이런 부분들이 참 재미있는 부분들이 있는데, 유튜브나 넷플릭스처럼 이미 시장에 우위를 가진 OTT 서비스는 들어가는 트래픽이 크기 때문에 그 부분을 아끼기 위해서 AV1 같은 신코덱을 더더욱 지원하고 레거시를 겆어내려고 하는데 신규진입자인 애플의 경우 LG전자의 2016, 17년 모델에 대해서 애플 TV+ 서비스가 앱을 지원하기로 한 사례도 있다는 것을 생각하면 결국 점유율이 중요하다 생각을 하게 됩니다.
정말 잘 되었으면 합니다.
덧글
일단 타이젠이나 웹OS는 유명 OTT들은 다 지원해서 꽤 편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