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DMI 2.0 devices are now HDMI 2.1 devices: "HDMI 2.0 no longer exists" (플랫패널스 HD)
몇년 간 디스플레이계에서 가장 큰 화두가 무엇인가? 물어보면 역시나 HDMI 2.1입니다.
8K 60P 지원과 4K 120P의 지원, VRR과 같은 가변 재생 화면 주사율, 저지연 모드, eARC와 같은 오디오 연결까지 HDMI 2.1는 사용자들에게 새로운 미래를 말해줬고 그리고 이걸 지원 못하는 디스플레이는 "낡은" 디스플레이라고 말하게 하려고 했습니다. 사실 가전업체들의 모임인 HDMI 포럼은 이 HDMI 2.1 인증을 빡빡하게 해서 디스플레이 장비들의 판매를 촉진하려고 한 여러 정황들이 보이긴 합니다.

하지만 문제는 HDMI 2.1의 벽이 너무 높았다는 점에 있습니다.
엄청난 대역폯과 기능들이 필요한 구조다보니 HDMI 풀스펙을 감당하는 디스플레이가 쉽게 만들어지지 않았습니다. 물론 여러가지 요인들이 있지만 삼성과 같은 세계 1위의 디스플레이 제조업체에서 나오는 프리미엄 TV조차 엔트리급은 겨우 1개의 HDMI 2.1 단자를 가지고 있을 뿐이고 4개의 단자를 모두 지원하는 LG조차 엔트리급의 다시 등급을 나눠서 HDMI 단자가 4개가 아니라 3개인 제품들을 만들고 있으며 소니같은 업체의 프리미엄 제품군도 HDMI 2.1단자에서 2개만 풀 스펙을 지원한다던가 하고 있습니다.
네, 중소기업요?
48Gbps의 풀스펙을 못 써서 18Gbps 제품군을 가지고 우리도 4K120P 반쯤 지원해용 하면서 울어야 하는 처지입니다. 이게 반도체 수급이 잘 되면야 결국 내부 TMDS 모듈을 바뀌는 것을 기대할 수 있었지만 그런 미래는 없어진 것 입니다. 결국 이 기술적 난이도를 다 못 맞추는 기업들이 늘다보니 한다는 이야기가 HDMI 2.1의 전체 스펙을 못 맞춰서 기술적 이슈들을 처리하면 HDMI 2.1 딱지를 주겠다는 사기를 공식적으로 인정하겠다는 이야기가 나오게 된 것 입니다.
이 문제는 이해 못할바는 아닙니다.
정말로 대역폯이 너무 높았고 기술적 난이도도 장난 아니다라는 점도 이해합니다. 4K 120P나 8K 60P 구현이 가정 레벨에서 한다는 것은 보통일이 아니라는 이야기도 업체 입장에서 이해합니다. 그런데 소비자 입장에서 이건 너무 불합리한 이야기가 됩니다. 내 TV나 모니터가 4K 해상도로 120Hz를 지원한다고 했는데 스펙을 잘 봐서 이게 4:4:4 지원인지 4:2:0 지원인지 뚤어지게 봐야 한단 이야기이고 가변 화면 주사율이나 자동 저지연 모드등의 HDMI 2.1의 빠진 제품을 살 수 있단 이야기이기도 합니다.
이런 식 이야기는 사실 이더넷 지원때도 FHD지원때도 있었는데 역시나 HDMI 포럼은 사람을 실망 시키네요. 결국 소비자가 더 알아보고 공부하고 제품을 사는 수 밖에 없을 듯 합니다. 결국 운영 조직이 가전사들의 모임이다보니 이렇게 되네요. 장기적으로야 반도체 기술은 발전할 것이고 기술 난이도는 내려오고 할 것이긴 하지만 씁쓸한 일입니다.
그저 소비자에게도 제조사에게도 좋은 방향으로 일이 되었으면 합니다.
몇년 간 디스플레이계에서 가장 큰 화두가 무엇인가? 물어보면 역시나 HDMI 2.1입니다.
8K 60P 지원과 4K 120P의 지원, VRR과 같은 가변 재생 화면 주사율, 저지연 모드, eARC와 같은 오디오 연결까지 HDMI 2.1는 사용자들에게 새로운 미래를 말해줬고 그리고 이걸 지원 못하는 디스플레이는 "낡은" 디스플레이라고 말하게 하려고 했습니다. 사실 가전업체들의 모임인 HDMI 포럼은 이 HDMI 2.1 인증을 빡빡하게 해서 디스플레이 장비들의 판매를 촉진하려고 한 여러 정황들이 보이긴 합니다.

하지만 문제는 HDMI 2.1의 벽이 너무 높았다는 점에 있습니다.
엄청난 대역폯과 기능들이 필요한 구조다보니 HDMI 풀스펙을 감당하는 디스플레이가 쉽게 만들어지지 않았습니다. 물론 여러가지 요인들이 있지만 삼성과 같은 세계 1위의 디스플레이 제조업체에서 나오는 프리미엄 TV조차 엔트리급은 겨우 1개의 HDMI 2.1 단자를 가지고 있을 뿐이고 4개의 단자를 모두 지원하는 LG조차 엔트리급의 다시 등급을 나눠서 HDMI 단자가 4개가 아니라 3개인 제품들을 만들고 있으며 소니같은 업체의 프리미엄 제품군도 HDMI 2.1단자에서 2개만 풀 스펙을 지원한다던가 하고 있습니다.
네, 중소기업요?
48Gbps의 풀스펙을 못 써서 18Gbps 제품군을 가지고 우리도 4K120P 반쯤 지원해용 하면서 울어야 하는 처지입니다. 이게 반도체 수급이 잘 되면야 결국 내부 TMDS 모듈을 바뀌는 것을 기대할 수 있었지만 그런 미래는 없어진 것 입니다. 결국 이 기술적 난이도를 다 못 맞추는 기업들이 늘다보니 한다는 이야기가 HDMI 2.1의 전체 스펙을 못 맞춰서 기술적 이슈들을 처리하면 HDMI 2.1 딱지를 주겠다는 사기를 공식적으로 인정하겠다는 이야기가 나오게 된 것 입니다.
이 문제는 이해 못할바는 아닙니다.
정말로 대역폯이 너무 높았고 기술적 난이도도 장난 아니다라는 점도 이해합니다. 4K 120P나 8K 60P 구현이 가정 레벨에서 한다는 것은 보통일이 아니라는 이야기도 업체 입장에서 이해합니다. 그런데 소비자 입장에서 이건 너무 불합리한 이야기가 됩니다. 내 TV나 모니터가 4K 해상도로 120Hz를 지원한다고 했는데 스펙을 잘 봐서 이게 4:4:4 지원인지 4:2:0 지원인지 뚤어지게 봐야 한단 이야기이고 가변 화면 주사율이나 자동 저지연 모드등의 HDMI 2.1의 빠진 제품을 살 수 있단 이야기이기도 합니다.
이런 식 이야기는 사실 이더넷 지원때도 FHD지원때도 있었는데 역시나 HDMI 포럼은 사람을 실망 시키네요. 결국 소비자가 더 알아보고 공부하고 제품을 사는 수 밖에 없을 듯 합니다. 결국 운영 조직이 가전사들의 모임이다보니 이렇게 되네요. 장기적으로야 반도체 기술은 발전할 것이고 기술 난이도는 내려오고 할 것이긴 하지만 씁쓸한 일입니다.
그저 소비자에게도 제조사에게도 좋은 방향으로 일이 되었으면 합니다.
태그 : HDMI
덧글
이더넷 부분도 1Gbps로 올려도, 별 문제 없겠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