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블릿 모바일에 VA ???? 디스플레이 이야기

얼마 전에 유튜브에서 연관 검색 결과로 테크노 어쩌구라는 한 IT 유튜버 채널을 소개해 줬습니다. 갤럭시 탬 A8 제품 소개였는데.. 여기서 이상한 말이 나왔습니다. 뭐냐면..



태블릿 화면이 VA패널로 추정된다는 글 이었습니다.

갤럭시 S7 FE의 예를 들면 저런 이야길 하는데..



나무위키의 갤럭시 탭 S7 FE 글에서도 저런 이야기가 나오네요. 제가 아는 상식선으로는 VA패널이 딱히 태블릿에 쓸 이유가 없는데 왜인지 신기했기 때문입니다. VA패널은 특성상 액정이 수직으로 서있기 때문에 내충격성에 매우 취약하단 말이죠. 괜히 VA가 모바일이나 태블릿에서 사양화 된게 아닌데 왜 VA??? 싶었습니다.



당장 나무위키에서 말하는 차이나 스타의 홈페이지 가봐도 모바일에서 태블릿 그리고 노트부 패널은 FFS(Fringe-Field Switching) 즉 IPS의 사촌인 기술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딱히 저런데 갤럭시 탭을 위해서만 VA로 태블릿 패널을 만든가? 뭔가 이상하죠?

물론 절대라는 것은 없으니 VA가 맞을지도 모르겠습니다만... 이건 좀 이상한 말입니다. 하여간 실제 패널 모드가 궁금해지네요

덧글

  • Sharpness 2022/04/25 08:32 # 답글

    기존에 모바일에 쓰이지 않았던건 아니라서요. 글구 내구성이라기보다는 충격에 흐트러짐이 생기는거라서요.
    VA를 쓰면 미니LED를 굳이 안써도 낮은가격으로 상당히 좋은 화면을 구현할 수 있으니 환영이네요.
    이 경우 광각패시브레이어가 포함이 가능하면 무적권했으면 쓰겠구요... 삼성은 양아치같이 이걸 급나누기로 쓰다보니.. 이젠 좀 기본값으로 쓰였으면하구요
  • Sharpness 2022/04/25 08:48 #

    이거 좀 찾아보니까 IPS맞네요. 그냥 저가 IPS패널입니다. 예전에 한성컴퓨터 같은 노트북에 쓰이는 밝기 저하 심한 저질시야각 IPS패널이네요
  • 노태문재앙 2022/04/25 10:50 # 삭제

    VA 화면이 더 좋으면, 모니터에 (거의) 안 쓰는 까닭은 뭔가요?
  • 로리 2022/04/25 11:24 #

    액정 배향 뮨제로 내충격성 문제도 있지만 VA는 단가 문제에서도 한계가 큽니다. 모바일 용도로 시야각이 중요한데 그걸 극복하려면 시야각 보상필름이 IPS보다 더 들어가야 하니까요. 때문에 노트북이나 태블릿 그리고 모바일용은 IPS모드로 거의 통일 되었죠 모바일이나 노트북 한정으로는 VA는 그닥 가성비가 좋을 수가 없다 봅니다
  • RuBisCO 2022/04/25 17:37 # 답글

    내충격성 문제는 패널 자체보다도 기기 섀시 설계가 더 크지 않나 싶습니다. 당장 신형 서피스 계열이나 아이패드 에어쪽의 디스플레이의 내충격성이 IPS 임에도 심각한걸 생각하면...
  • 로리 2022/04/25 17:42 #

    아 여기 내충격성은 패널을 눌렀을때 변화 이야기 입니다 ^^
  • muhyang 2022/04/25 18:01 # 답글

    VA는 시야각 문제로 픽셀을 나눠야 하기 때문에 모바일 기기에 어울리는 고해상도는 만들기 어렵습니다. 그나마 근접한 게 샤프의 모바일ASV인데 사실상 자사 기기밖에는 사용하지 못하고 사장된지 오래고, 저 제품 또한 아마 FFS일 겁니다.

    위에서 언급된 '광시야각패시브레이어'가 어떤 의도로 쓰인 건지 모르겠습니다만 시야각 보상필름이라면 VA는 원래 보상필름 없이는 눈뜨고 볼 시야각이 안나옵니다. 들어는 있되 원가 문제로 필름이 충분히 정밀하게 만들어지지 않았겠죠.(여기서 돈을 안아끼면 차라리 OLED가 싸게 먹힙니다) FFS에서도 색감에 민감한 세트메이커에서는 보상필름을 적극적으로 씁니다.

    RuBisCO님/
    위에서 말하는 내충격성은 내구성이 아니라 화면을 터치할 때 TN,VA에서 반짝임이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요새 VA 패널에서는 그다지 두드러지지는 않습니다만 예전에는 IPS에서 홍보 포인트로 쓰기도 했습니다.
댓글 입력 영역
* 비로그인 덧글의 IP 전체보기를 설정한 이글루입니다.



2019 대표이글루_IT